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BIM을 활용한 흙막이 시스템을 개발하고 소개한다.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서 흙막이 BIM 시스템을 이루는 기술들 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요소 기술들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요소 기술로, 선행 연구 및 표준 등을 활용해 BIM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범용성과 재사용성을 확보하였다. 두 번째로, 토공 2D 기반의 토공 물량 산출법들을 분석하고 흙막이 BIM 시스템으로 활용하되 추가 로 IDW 보간법을 활용하여 지형 생성 및 토공량 산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세 번째로, 물량 산출을 위한 4가지 수식을 제안하여 객체 마다 각각 다르게 물량 산출법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이후, 시스템에서 산출되는 물량산출서와 2D 기반 물량산출서와의 비교와 검 증을 통해서 시스템이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과 한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4,000원
        2.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tools have not only increased the use of technology in the design process, but also increased the need for more information standard systems. The object classification system consists of 327 types of construction results obtained from 25 kinds of facilities, 174 types of parts, and 207 types of construction parts. In the previous study, the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was developed into 4 major classifications, 13 middle classifications, 58 small classifications (category), and 333 attribution information of roads and river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input the property information according to such extensive object classificat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external applications such as Revit plug-ins has created a need to automate specific and repetitive tasks. Therefore, following the BIM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an attribute input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 system to enhance the productivity and convenience of the BIM users.
        4,000원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and its subordinate agencies have recently established various policies for the application of BIM and are implementing these policies, and are increasing project orders with the application of BIM. Developed countries where they have earlier adopted BIM provide BIM standards and guidelines at the national level to support BIM implementation by private-sector constructors. Domestic BIM standards and guidelines, however, have been lacking details on upper-level standards that have to be presented by ordering agencies, thereby limit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thereof. This study aims to provide BIM practice manual development measures to ensure the facilitation of the writing of BIM outputs and their delivery in the road sector. METHODS: This study first analyzed domestic BIM standards and guidelines, and examined BIM processes in the existing BIM guidelines to determine the major works required in each stage of the implementation of road construction projects. Further, the study determined those matters that were required in working BIM but were not specified in existing BIM guidelines. Those derived contents have been reflected in the definition of the configuration system in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BIM practice manual, and in the contents on the road sector, and the details of each configuration system have been specified. RESULTS : The proposed BIM practice manual for the road sector is a technical guide on BIM guidelines published by public ordering agencies, and provides the basic requirements and methods required for the writing of BIM models. Further, the manual provides working procedures and detailed methods for writing BIM to enable working-level staffers on BIM projects to construct BIM data. The proposed BIM practice manual was configured with considerations for domestic civil-sector BIM technology levels and will be further developed and improv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BIM technology. CONCLUSIONS : In an effort to respond to the changing domestic construction technology environment, and to apply and activate BIM,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BIM standards and guidelines, and defined a working BIM manual configuration system and its detailed configuration method. The findings and improvements are presented as a BIM practice manual on development measures in the road sector. This manual is expected to minimize the repetitive trials and errors and design errors in the construction of road-sector BIM model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in the creation of BIM outputs and their delivery, and to enhance the quality and utilization of the outputs. Further, the proposed manual is expected to provide and share information on the practical cases for BIM, to bolster the capabilities of design engineering, to ensure the linkage with relevant agencies, and thus to expand the diffusion of BIM in a virtuous cycle.
        4,300원
        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목이나 건축공사와는 달리 조경분야의 프로젝트는 공정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BIM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접 분야인 건축, 토목 공사에서 BIM은 보편화 되고 있으며, 이를 고려할 때 향후 조경분야에서도 BIM 환경구축 및 도입은 필수적일 것이다. 특히 조경 BIM의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향후 조경분야 BIM 도입을 위해서는 조경 BIM 세부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 BIM 도입 가능성의 검토와 세부 공종 도출을 통해 조경 BIM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경분야의 BIM 활용 방안 및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한 내용이 도출되었다. 또한 대지분석 BIM, 공간계획 BIM, 조경요소계획 BIM의 3개 분야로 나뉜 조경 BIM 공종을 도출하였으며, 각 공종 분야는 다시 총 7개 부분의 31개 요소로 세분화되어 조경 BIM 세부 공종 내용이 도출되었다. 향후 본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조경 프로젝트에 BIM을 도입하여 효율적인 조경 프로젝트 수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로 분야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LCC(Life Cycle Cost)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도로 설계 및 시공 자료의 관리와 유지관리 단계에서 재활용에 관련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에서 IT 기술 발전에 따라 3차원 설계 기술을 토목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발주처와 관련 기관에서 이루 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본 소프트웨어 교 육과 2달간의 BIM 소프트웨어 사용 후 38명의 차장 이하 엔지니어에게 토목 설계 분야별 BIM 적용 가능 성에 관련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수행 결과는 그림 1 및 그림 2와 같다. 본 논문 작성을 위해 설문에 응 한 엔지니어는 설문 대상 38명 중 35명다. 설문 조사 결과 토목 분야에서 현재 BIM 도입 및 적용의 경우 그림 1과 같이 시각화에 대한 적용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물 설계와 관련된 BIM 적용 효과가 다음으로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아직 지표면 및 횡단작성과 관련하여 BIM 기술을 적용 하는 것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토목 엔지니어링 분야의 BIM 도입을 위해 필요한 준비사항에 대한 설문 결과 그림 2를 살펴보면 엔지 니어에 대한 BIM 소프트웨어 교육이 가장 급선무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계 프로세스 정립과 관련한 의견도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아직은 BIM 도입 초기인 것을 감안하여 BIM 소프트웨어 구입과 BIM 소프 트웨어를 원활하게 작동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시각화 결과물 도출을 위한 컴퓨터 업그레이드 준비도 필 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설문 조사는 당사의 설계 엔지니어에 대한 교육 및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수행 되어 전체 토목 엔지니어사에 대한 BIM 활용 자료로는 부족하지만 향후 본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추가 설문을 수행한다면 토목 엔지니어링 분야의 BIM 도입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