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부산연안으로 유입되는 부하량 삭감에 따른 해역의 수질개선 정도를 예측하였다. 모델링 결과에 의하면 COD, T-N, T-P 모두 수영만 연안과 낙동강 하구에서 뚜렷한 개선을 나타냈으며, 수영만을 제외한 만 중부에서 만 동쪽까지 는 수질개선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부산연안이 남해에 위치한 다른 해역에 비해 개방형경계를 가지고 있어서, 물질교환이 빠르 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수질개선을 위한 본 해역의 삭감 COD 부하량은 타 해역에 비해 적었고, 총 유입부하량에 대한 삭감비율 또한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 적용한 부하삭감량을 적용하면 수영만, 낙동강 하구부근에서 뚜렷한 수질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동강 하구역과 부산연안해역에서 분변계 대장균의 계절적, 해역별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2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계절 조사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부산연안해역의 오염 정도와 해역의 지리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25개 정점을 5개의 구역(I, II, III, IV, V)을 나누어 평가하였다. 조사기간 중 수온과 염분은 각각 7.50~27.64℃와 16.82~34.82 psu의 범위로 관찰되었고, 수온은 전형적인 온대지역의 특성을 보였다. 염분은 2014년 하계 구역 IV에서 구역 III까지 광역해역에 걸쳐 저염분화 현상이 나타나, 대장균의 증식을 가속화시켰다. 대장균 E. coli 는 2015년 추계 정 점 1(지역 I)에서 6,000 cfu l-1로 최고치를 기록되었고, 외측 구역 III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관찰되었 다. 수온은 대장균 E. coli 과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지만(p >0.05), 상대적으로 고수온조건 에서 대장균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대장균 밀도는 염분농도와 음(r =-0.53 p <0.05)의 상 관관계를 보였고, 해역의 저염분화 현상은 대장균의 증식 및 유지에 중요한 촉진제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부산연안해역에서 하계 집중강우로 인한 육상기원 담수 유입으로 분변계 대장균이 지역 IV과 지역 III에서 현저하게 영향을 미쳤고, 계절에 관계없이 수영만에서 높은 대장균 밀도가 관찰되어 오염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4,000원
        5.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uggested a vegetation restoration plan for a coastal area where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targeting the whole area of Dalmaji-gil, located in Haeundae, Busan. After distinguishing if it would be a proper site for the operation of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by analyz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the current status of land owners, the target species for vegetation restoration was determined, and the facilities and programs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patial division of the biosphere reserve. The basic direction is as follows. First, is the expansion of green space and the securement of life habitats downtown. Second, is the conservation of core areas by separating the conserved area from the space for use. Third, is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resting space and the reinforcement of an ecological educational progra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vegetation restoration plan of a coastal area, fully utilizing the existing vegetation of the subject area, by suggesting the land use and flow plann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vegetation restoration) plan, life habitats establishment plan, planting plan, and hydrologic plan, facilities, maintenance, and monitoring plan based on the basic direction.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ecosystem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surrounded by the ocean on three sides.
        6.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심지의 열섬(Heat Island)현상과 연안지역의 해풍(海風)의 영향 때문에, 부산, 인천, 목포 등 연안도시의 도심지역과 연안지역의 각 외기 상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외기조건은 건물의 냉방부하, 난방부하, 전력소비량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에너지절약을 위한 건물설계와 운전방법개발을 위해서는 각 지역에 위치한 건물의 에너지소비특성을 파악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지역 아파트의 전력소비량에 주목하였고,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위치한 세대수가 100세대 이상인 22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기간별, 기능별 전력소비량을 조사하였다. 22개 아파트 전체의 세대내 최대전력소비량은 8월에 발생하고 있으나, 공용 최대전력소비량은 1월에 발생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한편 연안지역에서는 여름철에 해풍에 의한 자연환기로 인해 냉방용 전력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조사결과에서는 여름철에 최대부하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해풍에 포함된 염분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창문을 닫고 전기구동 에어컨으로 냉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7.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purpose of safety identification,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seaweeds collected from Busan Gijang coastal area were investigate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metals had a level of as high as the order of manganese (2.76 ppm)>zinc(2.11 ppm)>copper(0.59 ppm)>arsenic (0.092 ppm)>lead(0.06 ppm)> mercury(0.03 ppm)>cadmium(0.026 ppm). The contents of manganese and zinc were highly detected from P. elliptica, copper and mercury from agar, cadmium from sea mustard and arsenic from wild sea mustard, respectively. The metal contents of seaweeds varied with kinds of samples, but high level for the safety can be found in these samples. Because P. elliptica had shown a clear selectivity for both manganese and zinc, this seaweed could be useful as a bioindicator for these two metal pollution.
        8.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산 해안지역에서 친수공간벨트를 계획하기 위해 친수공간벨트 및 이에 관련된 친수공간클러스터의 개념을 제시하고 개별 친수공간들을 워터프런트 그린웨이를 통해 체계적으로 연결시켜 친수공간벨트를 계획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부산 해운대구 해안지역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적용사례를 제시한다.
        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해안 도시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홍수 재해 발생시 예상될 수 있는 피해에 대해 적절한 홍수예경보 및 피난대책을 수립하고자 대표적인 해안 도시 하천의 특성을 가지는 부산시 온천천 유역을 대상으로 수치지도에서 각종 지형자료를 추출하였고 수문 GIS 자료를 구축하였다. 강우 분석은 강우의 공간적 특성을 대상유역인 온천천에 티센망을 이용하여 고려하였으며 강우의 시간적 분포는 Huff의 2분위, 6차 회귀다항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홍수예경보 발
        10.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ertical structure of atmosphere was observ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by vertical downward mixing of residual ozone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at the Busan coastal area. Airsonde and pilot balloon measurements were made at Gamcheondong and the Kimhae airport for April 26∼27, 1996. The vertical profile of potential temperature showed a residual layer between 510m and 1800m from 2100LST April 26 to 0900LST April 27. The downward mixing of ozone in the residual layer of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was confirmed from vertical profile of mixing ratio near 600m in the morning. The thickness of the sea breeze layer was 900m at 1500LST April 26. Thereafter, it become to be lowered with time. A low level jet was measured near 900m at 0300LST on April 27 from a pibal measurement. Early morning sharp increase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at the Busan coastal area was caused by vertical downward mixing of ozone concentration rather than by photochemical reaction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