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da /s/ is the most extensively studied phonological segment in Hispanic dialectology and sociolinguistics. However, the coda /s/ in Peruvian Andean Spanish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his study examines the variation in syllables and word-final /s/ in the city of Cusco, Peru. The statistical analysis of 2400 tokens from 24 sociolinguistic interviews reveals that the Spanish of Cusco is located within the conservative dialects with the predominant use of the sibilant [s] and that coda /s/ weakening is conditioned by linguistic factors, such as word position and the following phonological context. Additionally, younger speakers and those who have higher levels of education weaken codal /s/ more frequently than older generations and speakers with lower levels of education.
        6,600원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지하다시피 우리말에서 차용해 활용되고 있는 한자음에는 지금까지도 중국 고대 한어의 특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러한 인과 관계를 밝히기 위해 지난 연구에서 입성운자를 중심으로 양주방언과 우리말 한자어 입성운미의 대응관계를 살펴 본 바 있으나, 중국은 지역적으로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사용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중국 의 특정 지역만을 가지고 한ㆍ중 양국의 入聲韻을 살피기에는 역부족인 측면이 있 다. 이에 본고에서는 광동어에도 고대한어의 입성운과 양성운이 잘 보존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광동어를 중심으로 우리말 한자어의 음운 대응관계를 고찰해 보았 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광동어 일명 粤语와 우리말 한자음의 형성을 조사하 였고, 그 다음으로 중고음과 粤语의 대표 방언인 廣州話와 우리말 한자어 간의 발음 의 대응관계를 정리 및 분석하여 음운학의 연관성을 밝혀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粤 语 중에는 우리말의 한자음과 유사하거나 똑같은 경우가 적지 않은 바 광동지역의 학생들이 우리말을 학습할 때 두 언어 간에 나타나는 음운의 유사성을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그 대응관계를 이해한다면 보다 쉽게 우리말을 배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 라고 기대해본다.
        5,200원
        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입성(入声)이란, 중세 중국어(中古汉语)에서는 평성, 상성, 거성, 입성으로 이루어지는 4성 성조체계의 일부분을 말하며, 현대 중국어(现代汉语)에서는 중세 중국어의 입성에 연원을 두는 ‘성조 범주(调类)’를 가리킨다. 본 논문에서는 광둥 메이센 방언(广东梅县话(커자 방언, 客 家话)), 푸젠 푸칭 방언(福建福清话(민 방언, 闽语)), 베이징 방언(北京话(북방 관화, 北方官 话))의 입성에 대하여 간략히 기술하고, 최적성이론을 통하여 이 세 방언에서 입성의 실현 양상이 왜 달리 나타나는가에 대하여 설명을 시도하였다. 10개의 제약조건 Ident(Place), Ident (Cons), MAX, DEP, Ident(Manner), No-CodaOral, No-CodaCons, No-Coda, No-MonoCoda, No-CodaObs 간의 제약등급관계에 따라, 메이센 방언에서는 중세 중국어의 입성 운미가 유지되었고, 푸칭 방언에서는 3개의 구강 파열음이 모두 성문 파열음으로 수렴되었으며, 베이징 방언에서는 운미가 모음으로 변하거나 탈락되었다
        4,900원
        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반진동은 지진원, 지각감쇠 및 지반의 증폭특성 등 3가지 주요 인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지반 증폭특성은 지진원 및 지각감쇠를 신뢰성 있게 평가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평/수직(H/V) 스펙트럼 비를 이용하여 각 관측소의 지반증폭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주파수 영역에서 H/V 스펙트럼 비를 구하는 방법은 Nakamura(1989)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되었으며, 초기에는 상시미동의 표면파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최 근에 와서 강진동의 전단파 에너지 등으로 확장되면서 지반 증폭특성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당저수 지 인근에 4개의 관측소에서 관측된 6개의 가속도 지반진동을 이용하여 H/V 스펙트럼 비를 분석하였고 각 지반진동의 S파, Coda파 및 배경잡음 각각으로부터 분석된 지반증폭 특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4개 관측소는 각각의 우월 주파수 대역(YDS: ~11 Hz, YDU: ~4 Hz, YDD: ~7 Hz)에서 관측소 고유의 증폭특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도출 결과 와 다른 방법을 통해 구한 결과의 비교 평가는 국내 지반의 동적특성 및 지반분류 연구에 유익한 정보가 될 것으로 판 단된다.
        4,200원
        5.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산단층이 지나는 한국 남동지방 지각의 QP-1 및 QS-1를 한국자원연구소가 설치한 9점의 지진관측소 자료를 바탕으로 확장 Coda 규격화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1994년 12월부터 2000년 2월에 일어난 근지지진에서 707개 지진기록에 대하여 1∼2, 2∼4, 4∼8, 8∼16및 16∼32Hz의 대역필터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각 관측점의 QP-1는 (7±2)×10-3에서 (5±4)×10-4으로, QS-1는 5±4)×10-4에서 (5±2)×10-4로 주파수가 1.5Hz에서 24Hz로 늘어남에 따라 줄어드는 주파수 의존성이 보인다. 이들 값의 지수 회귀선은 QP-1가 0.009(±0.003)f-1.05(±0.14), QS-1가 0.004(±0.001)f-0.75(±0.14))이다.
        4,300원
        6.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단일 산란이론을 이용하여 경상분지에서 얻어진 국소 미소지진의 자료를 1.5-1.8Hz 사이의 주파수 영역에서 몇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대역 통과 필터링을 g여 coda 파의 진폭 감쇠로부터 Q값을 결정하였다 Coda Q 값은 Qc=Q0 fn 형태의 주파수 의존 양상을 보여주며 Q0 값은 83.9-155.9 n 값은 0.76에서 1.05 사이로 나타났다 산란 감쇠와 고유감쇠를 고려하여 감쇠가 순전히 산란에 의해서만 일어난다고 가정했을 때 최소 평균 자유경로를 51.-56km 이고 비탄성 감쇠계수는 0.0093-0.0098 로 나타났다 진앙과 관측소간의 경로가 단층지역을 지나는 것이 다른 경로를 지나오는 것보다 높은 감쇠와 강한 주파수 의존성을 보여준다.
        4,000원
        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진설계기준이 국내 고유의 지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특히 고진동수 구간에서 실제 관측된 가속도 스펙트럼 값이 내진설계기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등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되어 왔다. 지반증폭 특성을 분석할 때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본 연구는 지반진동의 수평/수직 비율을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최근 배경잡음, S파 및 Coda파 등에 적용되어 지반의 동적인 증폭 특성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후쿠오카 지진으로부터 관측된 지반진동의 Coda 파 및 배경잡음을 분석하였고 결과를 일련의 후쿠오카 지진의 S 파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2005년 3월 20일 발생한 후쿠오카 본진을 포함하여 규모 3.9 이상의 모두 15 개 중규모의 후속 지진으로부터 국내 관측소에 관측된 각각 267 개 지반진동 자료의 Coda 파 및 배경잡음을 분석하여 국내 8 개 주요 지진관측소 지반의 동적인 증폭특성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지진관측소마다 저 진동수 및 고진동수 특성, 관측소 고유의 우월진동수가 서로 상이하여 관측소 고유의 증폭특성을 보여주었다. 대다수 관측소는 S파 및 배경잡음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와 많은 부분이 유사함을 보여 주었다. 물론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다른 방법을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와 비교할 경우 주요 국내 지진관측소지반의 동적 특성 및 지반분류 연구에 많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