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ear pest, Cacopsylla jukyungi (Hemiptera: Psyllidae), is one of the most damaging insect to commercial pears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developed eight microsatellite markers specific to C. jukyungi and genotyped 132 individuals collected from 11 localities throughout South Korea. Populations showed lower observed heterozygosity than expected heterozygosity and slightly or highly positive values of inbreeding coefficients, suggesting that C. jukyungi is subjected to inbreeding. The nationwide expansion of pear orchards and the replacement with a popular new cultivar during the last 50 years, which may have accompanied the spread of C. jukyungi-bearing pear grafts and scions, are likely sources of such facilitated dispersal. Thus, a management strategy against unintended anthropogenic dispersal of the pear psyllid will be required for better control of C. jukyungi.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에 피해를 주는 해충 중 하나인 주경배나무이는 2~3월 경 배나무의 거친껍질 밑에서 겨울을 난 후 나무 위로 올라가 산란하는데, 이 때를 월동 후 방제적기로 한다. 월동 후 방제에는 주로 기계유유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저온피해가 자주 발생하거나 나무의 세력이 약한 농가는 방제 후에 언피해 발생을 우려하여 살충제를 살포하거 나 방제를 하지 않는다. 월동 후 발생밀도를 조절하지 못할 경우 생육기에 피해가 커지기 때문에 기계유유제를 대체할 수 있는 약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2023년 2월 EU 수출 대상 농가에는 아바멕틴 성분의 살충제 사용을 제한하는 규제가 발표되어 생육기에 발생하는 주경배나무이 여름형 성충에도 아바멕틴 성분을 대신하 여 적용 가능한 약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주경배나무이 대상 등록 약제 중 아바멕틴, 아세타미프리드, 이미다 클로프리드, 설폭사플로르를 시험약제로 선정하였으며, 약제검정 결과 겨울형 성충에는 아세타미프리드 > 아 바멕틴 > 이미다클로프리드 > 설폭사플로르, 여름형 성충에는 아바멕틴 > 설폭사플로르 > 이미다클로프리드 > 아세타미프리드 순으로 살충률이 확인되었다. 살충력 추가 검정 및 여름형과 겨울형 성충의 충체 특성을 비교 한 후 기계유유제 및 아바멕틴 성분 대신 사용이 가능한 약제 성분을 권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omenclatural changes are provided for Sorbus-feeding Cacopsylla moiwasana (Kuwayama, 1908) species group. Thirteen Palaearctic Cacopsylla species have been recorded from Sorbus L. (Rosaceae), and of these, seven species restricted to East Asia. Among the East Asian species, four Japanese species, i.e. C. elegans Inoue, 2004, C. jezoensis (Miyatake, 1963), C. midoriae (Miyatake, 1963) and C. moiwasana (Kuwayama, 1908), assigned to C. moiwasana species group. Above the latter three species very similar to each other, allopatrically distributed, and all or some of them could be synonymous. The present investigation of the type material resulted in confirmation that Psylla jezoensis and P. midoriae should be treated as junior synonym of P. moiwasana. The following synonyms are proposed: Cacopsylla moiwasana (Kuwayama, 1908) = Psylla jezoensis Miyatake, 1963, syn. nov., Psylla midoriae Miyatake, 1963, syn. nov. The species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
        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ear psyllids are of major economic concern in Korea. In the literature five nominal species, including two West Palaearctic taxa, are reported from the Peninsula. The Korean pear psyllids, member of the large genus Cacopsylla, are reviewed here to comprise four species. Previous Korean records of C. pyrisuga (Foerster) are misidentification of C. burckhardti Luo et al. whereas those of C. pyricola (Foerster) concern C. maculatili Li and probably C. jukyungi (Kwon) stat. rev., comb. nov. (from Psylla). The latter, that is commonly found in pear orchards, occurs also in Japan where it was misidentified as C. chinensis. The differences between C. jukyungi and C. cinereosignata syn. nov. reflect seasonal dimorphism. For this reason, we synonymise the two. C. maculatili and C. qiuzili Li are shown to represent the winter and the summer form of the same species and are, therefore, synonymised as C. maculatili = C. qiuzili syn. nov. C. jukyungi and C. sandolbaea (Park & Lee) are redescribed, a key to the adult of the four species and short biological notes are provided.
        10.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ur new species of the genus Cacopsylla Ossiannilsson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based on adults and fifth instar immatures. Cacopsylla spp. nov. are associated with Malus baccata (L.) Borkh. (Rosaceae), Crataegus pinnatifida Bunge (Rosaceae), Aralia elata (Miq.) Seem. (Araliaceae), Pittosporum tobira (Thunb.) W. T. Aiton (Pittosporaceae) respectively. Short biological notes are provided.
        11.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syllids are a serious pests of pears cultivated in temperate and subtropical regions. Pear psyllids are a member of the large genus Cacopsylla (Psyllidae: Psyllinae). Among the 28 psyllid species that infect pear trees, Cacopsylla chinensis (Yang and Li, 1981) is considered the most harmful. Recently, we found new pear psyllid pest affected Korean pear (Pyrus pyrifolia var. culta) orchards. The psyllid is morphologically identical to C. chinensis and is herein reported as a new record. In this study, we conducted DNA sequence analysi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leucine tRNA-cytochrome oxidase II (COI-tRNALeu-COII) and 16S rDNA regions to demonstrat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C. chinensis from pear orchards in Korea, and those recorded from China, Taiwan and Japan. The sequence of the COI-tRNALeu-COII and 16s rDNA regions were equivalent from Korea. Comparison of nucleotide sequences and phylogenetic analysis differentiated Korean psyllids from the Chinese and Taiwanese C. chinensis, but Korean and Japanese psyllids were closely related. Th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and Japanese C. chinensis are genetically homologous. It is presumable that these individuals descended from a single colony that was probably introduced recently.
        1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는 최근 들어 배과원에 발생량이 증가 하면서 그 피해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꼬마배나무이를 방제하기 위한 살충제들이 많이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방제 효과 또한 우수한 것으로 평가 되고 있다. 본 실험은 배나무 잎에서 흡즙을 하는 꼬마배나무이의 섭식행동을 관찰하고, 살충제 처리에 따른 섭식행동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꼬마배나무이가 배나무 잎을 흡즙할 때에 나타나는 EPG파형은 PA, PB, PC1, PC2, PD, PE1, PE2, PG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일상적인 상태에서 꼬마배나무이의 섭식양상을 EPG패턴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체관부를 섭식하는 패턴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약제를 처리하였을 경우 약제별로 EPG패턴의 시간적인 양상과 출현빈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약제를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섭식을 하지 않는 파형인 Np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데 가장 길게 나타난 것은 benfuracarb를 처리하였을 때이다. 뿐만 아니라 식물체에 구침이 침투할 때에 나타나는 파형인 PA가 달라지는데 flonicamid를 처리하였을 때 가장 오랜 시간이 경과되었다. 한편, 체관부 섭식형인 꼬마배나무이가 물관부에서 섭식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 때에 나타나는 EPG파형인 PG에 소요된 시간이 처리약제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deltamethrin과 fenitrothion을 처리하였을 때 물관부 섭식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다. 이는 침투성 약제의 침투이동경로로 생각되는 체관부를 피하여 섭식하는 행동으로 추론할 수 있다
        1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꼬마배나무이 (Cacopsylla pyricola)에 저항성 품종육성을 위한 육종재료를 선발코자 월동형 성충수, 단과지내의 산란수, 과총엽내의약충수 및 수관 전체적인 그을음 발생정도를 15개 종 및 종간잡종133개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월동형 성충수는 Pyrus.calleryana 4.6마리, 단과지내 산란수는 P. calleryana 0.3개, 과총엽내약충수는 P. calleryana 0마리, 그리고 그을음 발생정도는 P.betulaefolia, P. calleryana, P. communis, P. hybrid (P.pyrifolia × P.communis), P. lindleyi 0으로 발생 및 피해정도가 가장 낮았으며 종간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전체적으로 대목으로 이용하고 있는 콩배인P. calleryana와 P. betulaefolia가 조사 대상 유전자원 중 가장 높은 항객성(antixenosis)을 보였으나 품질개량에 많은 기간이 요구됨에 따라 실용적으로는 서양배(P. communis) 중 ‘Conference', 'Cascade','Bosc', 'Winter Nelis' 가 가장 낮은 발생 및 피해정도를 보여 꼬마배나무이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좋은 육종재료로 판단되었다.
        4,000원
        1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는 최근 들어 배과원에 발생량이 증가하면서 그 피해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꼬마배나무이를 방제하기 위한 살충제들이 많이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방제 효과 또한 우수한 것으로 평가 되고 있다. 본 실험은 이러한 살충제들의 살포에 따른 꼬마배나무이의 섭식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방제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작용기작이 서로 다른 침투이행성 살충제 3종을 선발하여 약효에 대한 생물검정을 실시하였고, 섭식행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EPG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배는 신고이며, 살충제는 작용기작이 서로 다른 carbamate계통의 benfuracarb, neonicotinoid계통의 imidacloprid, pyridincarboxamid계통의 flonicamid를 사용하였다. 꼬마배나무이에 대한 약효는 3가지 약제간의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시간 동안 기록된 꼬마배나무이의 EPG 패턴을 분석하여 보면, 탐침 횟수, 첫 체관부 섭식 시간은 무처리구와 3가지 약제간의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총 구침을 빼고 있는 시간(Np), 총 체관부 섭식 시간(PD+PE1+PE2), 체관부 섭식 횟수는 무처리구와 3가지 약제의 유의성은 나타났지만, 3가지 약제간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총 물관부 섭식 시간(PG)은 무처리구와 3가지 약제의 유의성이 나타났고 3가지 약제간 유의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살충제의 계통이 다르고, 살충기작이 다르다고 하여도 해충이 받아드리는 독성분에 대한 반응은 거의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1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ear psylla, Cacopsylla pyricola Foerster (Homoptera: Psyllidae), is a serious insect pest of commercial pear crops. The species, which resides on pear trees throughout its life cycle, is rapidly spreading in some regions of the world. Given the life cycle, it is unclear how such a rapid spread has been facilitated. Presently, the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e species including genetic diversity and gene flow was studi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dispersal and field ecology of the species. Pear psylla was collected from several pear orchards in Korea. The 658-bp region of mitochondrial COI gene and the 716-bp long complet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ITS2) of the nuclear ribosomal DNA were sequenced. Unlikely other previously studied insect pests, the COI-based genetic diversity of the pear psylla was extremely low (maximum sequence divergence of 0.15%). This finding allowed us to conclude that the species may have been introduced in Korea relatively recently, possibly with the phenomenon of genetic bottlenecks. ITS2 sequence-based analyses of phylogeny, population differentiation, gene flow, and hierarchical population structure all concordantly suggested that the pear psylla populations in Korea are neither genetically isolated nor hampered for gene flow. These genetic data are concordant with the dispersal of an overwintering winterform morph outside the non-pear habitat in the fall and the possibility of subsequently longer distant dispersal.
        17.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 배를 가해하는 나무이과(Psyllidae) 해충은 배나무이(Cacoosylla pyrisuga)와 꼬마배나무이(C. pyricola) 두 종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정확한 생태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꼬마배나무이의 생태를 구명하여 방제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월동생태 및 발생소장, 온도발육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꼬마배나무이는 겨울형 성충태로 배나무 거친 껍질 밑에서 월동하였으며, 월동성충은 2월 중순경부터 활동을 시작하였다. 성충과 약충이 배나무 잎이나 과실을 흡즙하면서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피해가 발생하였다. 꼬마배나무이의 포장발생 정도는 이상저온이었던 1993년에는 연중 다발생되었고, 한발고온이었던 1994년에는 7월 이후 발생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기온이 평년수준이었던 1995년에는 7~8월에 발생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9, 10월 발생이 다시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꼬마배나무이 알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15, 20, 25, 30, 에거 각각 13.33, 9.32, 7.82, 6.60, 7.75일 이었으며, 1영에서 5영까지 온도별 발육기간은 15, 20, 25, 에서 각각 33.75, 23.77, 15.21, 17.40일 이었다. 고온영역에서 꼬마배나무이의 발육기간은 증가하였고 사망률도 증가하였다. 또한 온도와 꼬마배나무이 발육율과의 관계를 비서형 발육모형과 선형발육모형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