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loptilia Hübner, 1825 is one of the largest genera in Gracillariidae. 314 species have been known around the world. To date, 19 species were known from Korea. In the present study, one species, C. acericola (Kumata, 1966), is newly recognized from South Korea. Caloptilia acericola was first described from Japan and it also distribute Russian Far East. The name of this species was derived from the genus name (Acer, Aceraceae) of its host plant. We redescribed with illustrations of adults and genitalic structures to distinguish the species from the congeneric species in South Korea.
        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loptilia Hübner, 1825 is one of the largest group in Gracillariidae. 314 species have been known around the world. To date, 15 species were known from Korea. In the present study, four species of Caloptilia are newly recognized from Korean insect fauna: C. fidella (Reutti), C. hidakensis Kumata, C. illicii Kumata, and C. pulverea Kumata. All of 19 Korean species, including four newly recognized species, are redescribed with illustrations of adults and genitalic structures.
        3.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한국産 Caloptilia屬(가는나방科)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우리 나라에서의 분포를 밝히고, 이들의 계통학적 체계를 수립함과 동시에 생활사 및 생 태 특성 등 관련 응용분야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수립코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 국적인 채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종별 분류학적 특성의 조사와 생태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번 연구 수행과정에서 한국産 Caloptilia屬은 총 15종으로 정리되며 각 종들에 대한 검색표, 기재문 및 도해도 등이 작성되었다.
        4.
        200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loptilia schisandrae Kumata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with redescription of adult and illustration of the genitalia of both sexes. Larvae of the species caused damages on young plants of Schisandra chinensis(Turcz.).
        3,000원
        5.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주요 녹차재배지에 발생하는 동백가는나방(차굴나방 전가칭. Caloptilia theivora (Walshingham))의 생활사와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백가는나방은 야외 사육상 조건에서 년 6세대 경과하였는데, 난에서 우화까지의 평균기간은 봄.가을에는 32.1~38.6일, 여름에는 24.8~32.7일이었으며, 성충수명은 봄.가을에 8.4~14.5일, 여름에는 6.3~8.6일이었고 산란수는 55~71개였다. 유충의 연중 발생소장을 보면, 1992~1993년에는 5월 중순에 발생 peak를 보이기 시작하여 3~4회의 peak가 나타났으나 1994년에는 발생량이 감소하여 초기에는 뚜렷한 발생 peak가 나타나지 않다가 9월 하순~10월 초순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잎에서 용태로 월동하였다. 동백가는나방의 유증기생봉으로는 Stenomesius japonicus (Ashmead). Sympiesis ringoniellae Kamijo, S. dolichogaster Ashmead와 Elasmus sp.등 4종이 채집 동정되었으며, S. dolichogaster가 우점종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