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untries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share the Chinese Zodiac that assigns twelve animals to each year a person is born based on the order of arrival, so-called Tti. The twelve animals reflec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life and are regarded as more special than other animals. Thus, the animals are used in idiomatic expressions as a vehicle to more properly describe human feelings and thought. This study therefore analyzed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twelve animals to explore the Chinese perception about the animals. The study result can be summarized as below: The representative semantic features of the twelve animals are as follows: [Villain], [Thief], [Misdeed], [Harmful], and [Heinous] for Rat; [Big] for Ox; [Villain], [Ferocious], [Cruel], [Heinous], [Foe], [Causing Fear], [Causing Risk], [Harmful], [Aggressor], and [Predator] for Tiger; [Agile] and [Quick] for Rabbit; [Emperor], [King], [High Status], [Authority], and [General] for Dragon; [Villain], [Aggressor], [Greedy], [Cunning], [Heinous], and [Vicious] for Snake; [War] and [Military] for Horse; [Weak], [Sacrifice], and [Dangerous Situation] for Sheep; [Nominal] for Monkey; [Small], [Slight], [Trifling], and [Useless] for Rooster; [Shabby], [Vulgar], [Bad], and [Foolish] for Dog; and [Shabby], [Vulgar], and [Wicked] for Pig. The negative semantic features were dominant in all animals except the dragon, which is consistent with a tendency that the animals are generally used to emphasize the negative aspects of a person.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animals are also presented in various domains of action, psychology, personality, morality, size, episode, speed, status, position, geographical features, attitude, shape, living, means, situation, etc.
        5,500원
        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음양 사상과 결합된 십이지 문화는 선인들의 우주관, 생사관을 담 고 있으며 풍수지리에서 궁합, 토정비결에 이르기까지 우리일상에 깊 이 스며들어있다. 게다가 우리는 태어난 해에 따라서 띠가 정해지니 동물과 사람을 가깝게 생각했다. 십이지는 시간이나 방위를 상징하는 데 우주의 운행원리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의 실체를 나타낸 것으로 인간의 생년월일이 운명을 좌우한다고 여기기도 했다. 십이지에 등장 하는 열두 동물은 단순히 감상이나 장식용으로 그리기도 했지만 각 동물이 특별한 상징을 담고 있다. 본고에서는 십이지를 중심으로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동물화 를 살펴보고, 사신도, 해치 등 상상 속 동물 그림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우리 옛 그림에 등장하는 동물화는 실제 하는 동물뿐 아니라 신화나 전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동물들도 있어서 상상력을 중시하 는 현대회화가 추구하는 바와 일치하여 앞으로의 연구가치가 높다. 동물화를 통해 살생보다는 그림으로 대신한 <호피도>나 개의 오륜 (五倫)까지 생각하는 선인들이 생명을 대했던 마음을 공감할 수 있었 으며, ‘자연합일사상(自然合一思想)’과 천지 만물과 내가 하나라는 ‘만물재동사상(萬物齋同思想)’을 바탕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옛 그림에는 있지만 멸종한 호랑이처럼 토종동물들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다. 기쁜 소식을 전하는 것으로 여겼던 까치가 유해동물로 간주 되는 현대사회의 생명경시 현상을 되돌아보게 되었다.
        8,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