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대학캠퍼스의 구성원의 풍부한 감성․기억․체험을 통해서 습득된 캠퍼스의 시각과 청각의 경관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는 심리적 요인을 찾아내어 경관 평가를 위한 의미구조를 파악하는 것, 그리고 대학 캠퍼스의 시각과 청각 경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 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는 데 목표가 있다.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시각과 청각의 경관 이미지에 대한 평가요인과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시각 경관의 이미지는 활력․정취, 매력성, 청결성, 현대성, 통일성, 복잡성, 개방성의 7가지 요인이 관여하고, 시각 경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는 매력성> 활력․정취>청결성>현대성>통일성>개방성의 순으로 구성된다. 청각 경관의 이미지는 정감, 활기, 평온성, 변동성의 4가지 요인이 관여하고, 청각 경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는 정감>평온성>활기>변동성의 순으로 구성된다. 종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 경관의 만족도가 청각 경관의 만족도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로부터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의 구성원들이 파악하는 시각과 청각의 경관 이미지의 표현이 어떤 의미나 가치를 나타내고 있는지 확인가능하며, 심리적 경관의 이미지를 어떻게 물리적 가치로 치환해 낼 수 있는 지는 추후의 과제로 남아있다. 이 연구는 이제까지 양적으로 크게 성장해 온 대학캠퍼스의 경관의 문제를 보다 질적인 측면으로 확대하고 다가올 미래의 경관 문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시도이다. 또한 지금까지 시각에만 머물러 있거나 의존해 왔던 경관 연구를 청각이라는 소리풍경(soundscape)의 문제로 확대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경관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7,000원
        4.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xillofacial region is susceptible to damage because facial bone is promin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cidence, etiology, seasonal distribution, and patterns of maxillofacial injuries and investigate the percentage of bone fractures on CT scans by patient’s gender and ag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1,483 patients who had maxillofacial injuries and visited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of Chonnam National Hospital were evaluated. Age, gender, etiology, seasonal occurrence, frequency of fracture, and the pattern of bone fracture were analyzed by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SPSS Inc., Chicago, IL, USA). Male to female ratio was 2.82:1. The most common causes of injury were falls or collisions (male 40.09%, female 48.2%), followed by traffic accidents and violence. The number of injuries related to sporting accidents, assult, and industrial accidents was higher in male patients than that of female patients. With regard to the seasonal occurrence, 434 cases (29.26%) occurred in the summer, while 306 cases (20.63%) occurred in the winter. In this study, 946 patients (63.79%) were identified to have facture and 537 patients (36.21%) were found to be without fracture on CT scans. The orbital bone (41.38%) was the most commonly fractured in the mid facial structures. The most common fracture site in the mandible was the body of the mandible (23.13%). The patterns of maxillofacial injuries were various based on gender, age, cause of injury, and season.
        4,000원
        5.
        201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dney cells of canine embryos were separated into single cells using collagenase and dispase. Primary culture was conducted using these cells. To remove fibroblasts, these cells were treated with edetate disodium dihydrate (Na2EDDA), and pure epithelial cells were separated. Recombinant retrovirus particles that manifest teromerase were produced and inoculated into primary culture cells to produce immortalized canine cell strains (JNUCK-1 and JNUCK-2).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d cell strains, the growth curve, maximum cultured households, and expressed proteins (keratin) were identified. The JNUCK-1 and JNUCK-2 cell lines showed division ability until the 30th generation without growth retardation. JNUCK-1 and JNUCK-2 cell lines clearly expressed telomerase until the 25th generation. The canine distemper virus (CDV) was inoculated into the JNUCK-1 and JNUCK-2 cell lines, as well as in the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cell line. The maximum titer of CDV from the JNUCK-1 cell strain was about 200 times higher than that from the MDCK cell strain. However, the JNUCK-2 cell strain produced a lower titer than the MDCK cell strain. We established a new canine kidney epithelial cell line (JNUCK-1) that could produce CDV with high titer.
        4,000원
        6.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수의 연구 활동과 성과를 바탕으로 교수의 역량이 대학의 기술이 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기술이전 경험이 있는 이공계 분야 교수 80명의 개별 데이터를 수집하여 논문 질적 수준, 특허활동, 정부지원 연구비 규모, 민간 연구비 규모, 임용 전 산업체 경력, 임용 후 경력, 연구팀 규모가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대학에서 교수의 특허활동, 민간 연구비 규모, 교수 임용 후 경력이 기술이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5,400원
        7.
        200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