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mhansanseong fortress (南漢山城) is not Eupchi (邑治) created for ages but the new settlement of public and military administration as Baedo (陪都) to defend capital territory. Namhansanseong has Jinsan (鎭山) that is named Cheongnyangsan (淸凉山) and its government office building was located in the main place, also a periodic five-day market was being held in the center of fortress. This study is find out the transition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 on Namhansanseong by the relocation of Eupchi in the 17th century. The conclusion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in change of government office in the late Choson dynasty is to move Yi-a, administrative complex (貳衙) around Yeonmugwan (演武館). Since 1795, the 19th year of King Jeongjo (正祖), this was fixed by the end of the Choson dynasty on the unification of Magistrate which is also Defense Commander. In the second place, the military office on Jungyeong (中營) that is Junggun's (中軍) place of work was abolished by the reform of Junggun system. Thirdly, transition of the end of the Choson dynasty is the abolition of Sueoyeong (守禦營) and the realignment of government offices. Namely, the administrative agency was moved to Haenggung (行宮) after the collapse of unification in 1895. Also former military offices was changed to police administration on Gwangju-bu (廣州府), Gwangju county level unit.
        4,900원
        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rticle sums up the achievements and shortage of the Han-Chinese language documents’ digitization, introduces the originality and programme of the associated retrieval system of ancient linguistics documents in Korea,and testifies about theoretical Value, practical function and academic significances of the associated retrieval system of ancient linguistics documents in Korea.
        5,200원
        4.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조선시대 귀신과 요괴는 어떤 모습이었으며 어떻게 변모해 갔는가 하는 궁금증에서 시작하였다. 이에 필기와 야담집, 그리고 몽유록과 소설 등에서 관련 기록을 살펴보았다. 귀신․요괴의 형상이 구체적으로 표현되기 시작한 것은 서사 적 이야기가 많이 수록된 조선초기 필기서인 용재총화 였는데 여기에서는 초자 연적 현상에 대한 설화적 경이를 주로 담고 있었다. 이후 임병 양란을 거치면서 문학작품에는 귀신과 요괴의 형상이 훨씬 구체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으니 강도 몽유록 의 그로테스크한 귀신의 형상과 어우야담 에 실린 풍부한 요괴담이 그것 이다. 이들 작품은 참혹한 귀신과 요괴의 모습을 통해 부패하고 부정한 현실에 대해 비판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귀신의 형상은 18세기로 오면서 약화되었다. 그렇다고 이 시 기에 귀신담 자체가 약화된 것은 아니었으니 천예록 의 경우는 작품의 반 이상 이 귀신담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조선후기 강고해진 유교이념에 의해 귀신담은 주로 조상의 제사와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었고 요괴나 그로테스크한 귀신의 모 습은 필기․야담집에는 거의 사라지게 된다. 대신 19세기 이후 고전소설에는 원 귀형 여귀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뒤이어 1900년대 이후 완성된 여귀의 원형이 된다. 19세기 원귀형 여귀들은 이전 설화 속 여귀의 계승이며 조선후기 가부장적 이념 하에 여성에게 가해진 폭압을 의미한다. 1900년대 초중반에 가면 외국 영화의 영향과 60년대 이후 폭발적 인기를 끌었 던 전설따라 삼천리 의 영향으로 한국 공포 영화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된 다. 반복적으로 영화화 되었던 장화홍련전 의 경우 초기에는 고전소설의 내용과 동일하게 가정비극적 성격을 지녔다면 후기로 갈수록 공포영화적 기법이 확대되 어 괴기스런 원귀의 모습을 보인다. 바로 그것이 현재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그로테스크한 여귀의 형상이다. 현재 우리에게 친숙한 여귀의 모습은 근대 시각 문화가 발달한 1960년대 이후의 산물이다.
        6,000원
        6.
        199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ollowing demonstrates similariti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food culture. The facts have been discover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records kept by Korean Communication Facilities and Japanese Envoys. Both countries used the numbers 7, 5, 3, in food treats. Both demonstrated Da do(茶道) style during banquet. Japanese Na-ra-dae(奈良臺) is similar to Korean Sue-bae-sang(壽杯床). Both countries had a Kan-ban(decorative table, 看盤) and Mi-soo(wine and someatables, 味數) during banquet. The composition of the table may be the same for both Korean Geo-sick-oh-kwa-sang and Japanese 3Jeup(soups) 15Che(dishes). Agasang is a Kan-ban(decorative table) of Choson's Da-do(茶道) style.
        4,800원
        7.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nalyze cookery of meal in reception dishes of Choson dynasty, studied historic book 'Youngjeob Dogam Euigwae' described feast dishes for Chinese envoy in Choson Dynas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Kinds of dishes served a meal generally were noodles(麵), bun stuffed with seasoned meat and vegetables(饅頭), steamed bread(床花), soup(湯), fried fish and meat(煎魚肉), dried fish and meat(切肉), minced raw meat(肉膾), slices of boiled meat(片肉), stew(蒸, 乾南), rice cake(餠), patterned savory cake(茶食), various fruits preserved in honey(正果), fried cake made of wheat flour, honey and oil(造果), fried glutinous rice cake(强精), rice gruel(粥), salted fish shrimp and etc, jerked meat(佐飯), meat fish and others broiled with seasoning(炙), cooked potherbs and potherbs(菜), pickled vegetables(沈菜), fruits(實果), soysauce mixed with vinegar and pinenut meal(醋醬), mustard(茶子), soybean sauce(民醬), honey(追淸), honey water(水正果, 正味子水) and etc.
        4,000원
        8.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nalyze reception dishes of Choson Dynasty, studied historic book 'Youngjeob Dogam Younhyangsek Euigwae' (1634, 1643 year) described feast dishes for Chinese envoy in Choson Dynas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number of sets to be arranged on the table for Chinese envoy were 91 sets, 49 sets, 37 sets at welcome party (下馬宴, 翌日宴, 別茶啖) and 91 sets at farewell party (上馬宴) in 1643 year. 2. The number of fresh meal to be arranged on the table for Chinese envoy were 102 kinds described in the took of 1643 year. 3. A reception dishes (下馬宴, 上馬宴 ) of Choson Dynasty was the same wedding feast dishes of Choson Dynasty.
        4,600원
        9.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nalyze food material and table wares in daily reception dishes of Choson Dynasty, studied historic book 'Young jeob Dogam Zabmulsek Euigwae' (1609, 1643 year) described the daily reception dishes for Chinese envoy in Choson Dynas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od material for reception Chinese envoy were vegetable, pickled vegetable, soup (?水), brown seaweed, kelp, green seaweed, garlic, pine mushroom, mushroom, driedfish, fish egg, shrimp, pork, pheasant, fowl, salted fish shrimp and etc, various fruits preserved in honey, green peajelly, buck wheat jelly and bean curd. 2. The table wares were rice bowl(鉢里), small bowl of porcelain(甫兒), water bowl(大貼), plate(貼是), small dish(鍾子), small earthen ware jar(東海), jar(缸), pottery(甕), table(盤), chopsticks(?), washbowl(洗面盆), earthen ware steamer(甑), kettle(釜), brazier(爐), measuring cup(升), unit of measure(合), meter(稱子), spoon(匙), chest (函), lid(蓋), large rice bowl(所羅) and bowl(椀).
        4,000원
        10.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nalyze daily reception dishes of Choson Dynasty, studied historic book 'Youngjeob Dogam Zabmulsek Euigwae'(1609, 1643 year) described the daily reception dishes for Chinese envoy in Choson Dynas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aily meal consisted of a table for rice gruel(早飯), daily meal(3時飯) and fruit table(茶啖). 2. A table for rice gruel, taken before breakfast was arranged rice gruel(粥) noodles(麵), soup(湯), fish and meat(肝南), cake(餠) and etc. 3. Daily meal was arranged cooked rice(飯), soup(湯), salted fish shrimp and etc(?), jerked meat(佐飯). pickled vegetables(醬?), meat fish and others broiled with seasoning(炙), and etc. 4. Fruit table was arranged noodles(麵), soup(湯), fried cake made of wheat flour, honey and oil(造果), fruits(實果), various fruits preserved in honey(正果), dried fish and meat(切肉), honey water(水正果) and etc.
        4,000원
        11.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nalyze reception dishes of Choson Dynasty, studied historic book ‘Youngjeob Dogam Younhyangsek Euigwae’ (1609, 1634, 1643 year) described feast dishes for Chinese envoy in Choson Dynas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east dishes consisted of the first main feast dishes (下馬宴, 上馬宴), the second main feast dishes (翌日宴, 請宴 and etc) and the third main feast dishes (別茶啖). 2. 下馬宴, 上馬宴 were arranged in four kinds of tale, the first one called the main table, the second the right side table, the third the left side table, the fourth the confronting side table. Dishes of main table were oil and honey pastry and fruits. Dishes of the second table and the third table were oil and honey pastry, and small cake made of honey and rice with patterns pressed in it. Dishes of the fourth table were cooked vegetable, dried slices of meat seasoned with spices, cooked meat, and fried fish. In feast, Chinese envoy drank 11 cups (1609 year) and 5 cups (1634 year) of liquor. At the first cup they abalones soup, others in a small round table (初味), a small boiled meet (小膳) and a large boiled meat (大膳), at a second cup eat (二味), at third cup eat (三味)..., at eleventh cup, they eat (十一味) and fruits.
        4,300원
        12.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nalyze reception dishes of Choson Dynasty, studied historic book 'Youngjeob Dogam Younhyangsek Euigwae' (1609, 1634, 1643 year) discribed feast dishes for Chinese envoy in Choson dynas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east dishes consisted of the first main feast dishes (下馬宴, 上馬宴) the Second main feast dishes (翌日宴, 請宴 and etc) and the third main feast dishes (別茶啖). 2. 翌日宴 were arranged in two kinds of table, the first one called the main table, the second the confronting side table. Dishes of main table were oil and honey pastry and fruits. Dishes of the second table were cooked vegetable, dried slices of meat seasoned with spices, cooked meat and fried fish. In feast, Chinese envoy drank 11cups (1609 year) and 5 cups (1643 year) of liquor. At the first cup they abalones soup, others in a small round table (初味), a small boiled meat (小膳) and a large boiled meat (大膳), at the second cup eat 二味, at third cup eat 三味... at the eleventh cup, they eat 十一味. 3. 別茶啖 (1643 year) were arranged in one kind of table. Dishes of the table were oil and honey pastry, fruits, honey water, dried fish and meat, cooked meat and fish, and cooked egg. In feast, Chinese envoy drank 5 cups and eat 一味~五味.
        4,000원
        13.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lcome reception for chinese envoy had been very important affairs for Chosun Dynasty. The procedure for the reception was described in Youngjeob Dogam. The events of each visit of Chinese envoy were also recorded in Youngjeob Dogam Euigwae. Among them, only the records of the year of 1609, 1610, 1626, 1634, 1637, 1643 are existing.
        4,000원
        14.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nalyze reception dishes of Choson Dynasty, the author studied historic book-Youngjeob Dogam Mimiunsek Euigwae (1609, 1610 year) in which the reception dishes for Chinese envoy in Choson Dynasty were described. The resce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Youngjeob Dogam Mimunsek collected food items and necessities for reception of Chinese envoy from each administrative machinery, and they included cerials, fruits, seasonings, teas, wines, tablewares, medicines, etc. 2. The guest roms for Chinese envoy were arranged with table, chest, jar, wine glass, tableware, chopstick, spoon, incenseburner, brazier, candlestick, lantern, cloth, etc.
        4,500원
        15.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nalyse reception dishes of Choson Dynasty the author studied historic book-Youngjeob Dogam Bansunsek Euigwae (1609, 1626, 1634 year) in which the daily reception dishes for Chinese envoy in Choson Dynasty were describ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aily food items for reception of Chinese envoy were refined rice wine, rice, large fish, fish, Zogi, Driedjogi, mullet, pork, beef, chicken, egg, salt, soysauce, sweet soy sauce, refined soy sauce, sesame oil, vinegar, bean curd, stone leek, parsley, ginger and gaslic etc. 2. The daily tablewares used for reception of Chinese envoy were ricebowl (bari), small bowl of porcelain (boa), water bowl (daejeop), soup bowl (tang gi), plate (jeopsi), small dish (jong gi), small earthen ware jar (dong hae), jar (hang), pottery (ong gi), wine glass (jan), water cup, chopsticks, kettle, cauldron, bottle, table, knife, napkin, dish towel, brazier, washbowl and meter etc.
        4,200원
        16.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reviewed in many ways. And Great efforts have been made to form a culture suitable for the Koreans. With these tendencies, th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foods has been greater. So this paper is intend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kinds, materials and cooking processes of the rice cakes needed for ancestral worship rites in the court of Choson Dynasty. The work is centered around the Tae-sang-ji written by Lee kun-myong in 1873-the 10th year since king kojong's coming to the throne. And we study such literatures on foods and cooking processes as Kyugon-si-ui-bang, Yo-rok, Jungbo-Sallim-Kyungjae, Kyuhap-Chongso, Si-ui-jon-so and so on. The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Cooking processes and materials of Korean rice cakes in Choson Dynasty were various and had traditional characteristics. Rice cakes necessarily needed for various rites were called pyun especially when they were used for ancestral worship. And many different kinds of Pyun were used according to seasons. There were nineteen kinds of rice cakes used for ancestral worship in the court: Gu-i-Byung, Bun-ja-Byung, Baek-Byung and so on. The six; Gu-i-Byung, Bun-ja-Byung, Sam-sik-Byung, Yi-sik-Byung, Baek-Byung and Huk Byung were essential for the great rites at Jong-myo and Young-nyung-Jeon and so they were highly thought of. Main materials of these six were rice, glutinousrice, sorghum and wheat flour. Cooking processes of the rice cakes above mentioned can be classified into frying, beating, boiling, steaming, etc. Powder for covering rice cakes was made of bean, pine nut, sesame and red bean, of which bean was made the greatest use of. If was very wise of them to use these kinds of powder, for they supply protein and lipid of which rice cakes are destitute and they also add colors and good tastes to rice cakes. But Korean traditional rice cakes are less used as the thought of rites has changed and various kinds of desserts have been developed. And yet there is no denying the fact that even now rice cakes play a great role in traditional formalities.
        4,000원
        17.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인재 강희안의 회화에 대한 제화시를 통하여 인재의 회화에 대해 행해진 평가를 위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인재는 조선 초기 시서화 삼절로 인정이 되었는데, 서거정이나 성간의 글 그 리고 그의 친동생이 강희안의 글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시와 글씨도 지금은 그리 많이 전하지 않는데, 그림도 전하는 것이 매우 적다. 현재 알려진 것은 많아야 네 폭 정도이고, 한 집안에 전해온다는 병풍을 합쳐도 십여 폭 남짓 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조선 초기 인재와 교유하던 문 인들의 문집에 전하는 제화시에는 인재의 그림에 대한 것이 많은데, 이것을 통 해 보면 상당히 많은 그림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전부라고 할 수는 없 지만, 12폭 8폭 등 여섯 건의 병풍이 있고, 가리개에 그려진 그림, 그리고 개인 이 소장하고 있는 화축 등 적어도 78폭 이상의 많은 그림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은 묵죽도 등에서 보듯 묵화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홍시, 자색 가지, 노란 오이 등이 등장하는 것을 통하여 채색의 그림도 있었으며, 스스로 사물을 보고 그린 그림 이외에 중국의 그림을 보고 모사한 것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을 소장하고 제시한 사람들은 당시 이름이 크게 알려진 저명한 인사들로 서거정, 아우 강희맹, 신숙주 등 사대부와 일암과 같은 승려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림을 평한 내용은 대략 세 가지 형태로서, 첫 번째는 그림의 내용을 자세히 묘사한 것이 있고, 두 번째는 인재의 그림을 통하여 얻은 감흥을 노래한 것이 있고, 세 번째는 인재의 그림을 통하여 사람들이 지향하는 도덕적, 윤리적 가치를 발현한 것 등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1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친은 국왕의 8촌 이내의 친족이다. 조선시대에는 종친에게 종반직 을 수여하여 왕실구성원으로서 품위를 지킬 수 있도록 대우하였다. 종 친은 친진되어 종친의 지위에서 벗어나면 과거를 통해서 관직에 진출 할 수 있었다. 이것은 왕실구성원에서 사대부가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종친이라 하여 사회·경제적 지위가 한결같지 않았다. 관직 진 출의 통로인 문과·무과·생원진사시 합격자를 고루 배출한 왕자군파는 94개 왕자군파의 51%에 지나지 않는다. 과거합격자를 배출한 왕자군 파 내에서도 여러 갈래 지파로 나뉘기 때문에 사대부가로 정착한 집안 이 많은 편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정종의 10남 덕천군파 이유간 가계가 종친에서 사대부 가로 더 나아가서는 문관관료 가문으로 성장해간 과정을 통해서 종친 에서 사대부가로 변모해갈 수 있었던 요인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덕 천군 이후생은 정종의 아들로 태어나서 친왕자로서 봉군되지 않았다. 이후생은 덕천정이란 종반직에 처음 제수된 후 1460년(세조 6)에 봉 군되었다. 그의 아들 이효백·이효숙·이효성·이효창 등은 모두 무예가출중하였으며, 장남 이효백과 3남 이효성은 세조 때에 무과에 급제하였 다. 덕천군 가문은 종친으로서 세조·예종·성종·연산군·중종 등 여러 국 왕의 신임을 받아 당대에 봉군되어 핵심 위치에 있었다. 게다가 덕천군 집안은 명문가문과 혼인하여서 정치·경제·사회적으로 확고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유간은 덕천군 장남 신종군 이효백-장남 완성군 이귀정-4남 함 풍도정 이계수 가계 계통이다. 함풍도정 이계수의 아들 이수광이 이유 간의 부친이다. 이수광은 종친의 지위에서 벗어난 정종의 5세손이었 다. 그는 관직에 나가지 못하였고, 국왕 친족이 들어갈 수 있는 특수 군종인 충의위에 입속되었다. 그에게는 3남 2녀가 있었는데, 3남인 이 유간이 생원시를 거쳐 관직에 나감으로 사대부가로서의 기반을 마련하 였다. 이유간이 관직에 나갈 수 있었던 요인은 생원 획득과 그를 문음으로 추천할 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수광이 정종의 5대손으로 충의위에 소속되는 데 그쳤기 때문에, 이유간과 그의 형제들이 가문을 배경으로 문음에 추천되기는 어려웠다. 이유간은 생원을 획득하여 문음 추천 대 상이 되었고, 그를 추천해 줄 현직 관원이 있었다. 즉 과거와 종친 가문 출신이었기에 형성된 왕실 친인척 그리고 관료 가문과의 인적 네트워 크가 그를 기신하여 관계로 진출할 수 있게 한 바탕이었다. 게다가 이유 간의 아들 이경직·이경설·이경석이 모두 과거에 합격하여서 관계로 나감으로써 이유간 가계가 사대부 가문으로 성장해갈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이 되었다. 장남 이경직은 광해군대 관료 생활을 시작하여 어려움 이 있긴 했으나 인정반정 이후에는 평탄하게 관료 생활을 하여 당상관 에 올랐다. 3남 이경석은 문과에 급제한 후 7년 만에 당상관에 올른 탁월한 엘리트 관원이었다. 성공적으로 사대부가로 자리 잡은 후에도 이경직·이경석 후손은 지속적으로 생원진사시 그리고 문과에 합격하였다. 한 집안에서 3~4 대 연속적으로 문과급제자가 배출되기는 어려운 일이었다. 이경직·이경석 후손은 번갈아가며 각 세대마다 끊임없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 러나 이들은 소론 핵심 관료이었기 때문에, 숙종 후반 과옥과 영조대 나주 괘서사건 등 노론과의 정쟁으로 집안이 멸문지경에까지 이르렀 다. 이러한 정치 상황에서 이경직 후손 중에는 학문에 몰두하여 양명학 을 연구하는 강화학파로 이름난 집안도 있었다. 18세기 후반 정조대 이유간 가계는 다시 문관 관료가 배출되기 시작하여 19세기 외척 세도 정치기에도 문관관료 가문으로서의 위상을 지켜갔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