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정서지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요인인 정서인식명확성이 노인들의 낮은 사회적 상호작 용 불안을 예측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경로에서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노 인 217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자존감,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 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정서인식명확성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매개분석 결과, 자존감은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매개한 반면, 자기효능감은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다. 즉,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개인의 자존감을 높여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줄이지만, 이러한 매개효과는 자기효능감을 통해서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었다. 이 결과는 노년기에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는 명확한 정서인식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것이 특히 건강한 자기 개념 중 자신에 대한 존중감을 높이기 때문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5,200원
        2.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동안 적용한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 만족도, 보고자신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이며 2개 대학교에서 임상실습을 6주 이상 완료한 3학년을 편의 추출하였다. 대상자 수는 SBAR 보고교육을 받은 103명과 교육을 받지 않은 113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등으로 분석하였다. 의사소통명 확성과 의사소통능력은 양의 상관관계(r=.52, p<.001)가 있었고, 보고자신감은 의사소통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r=.53, p<.001)가 있으며, 의사소통능력은 보고자신감과 양의 상관관계(r=.46, p<.001)가 있었다.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명확성(β=.29, p<.001), 의사소통만족도(β=.43, p<.001), 보고자신감(β=.15, p=.009)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49.0%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에게 임상실습 중 실무능력을 파악하여 보고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교육적 제도와 교수방법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4,600원
        4.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like many occupations, a salesperson’s performance is measured primarily by the extent to which he/she meets weekly, quarterly, and annual objectives. Long-term objectives, such as sales, profit, customer satisfaction, and market share quotas are driven by the achievement of short-term and more frequent quota targets, such as the number of leads generated or the number of sales meetings held. In addition, the sales process itself is defined by the achievement of “steps,” such as identifying prospects, securing meetings, identifying needs, overcoming resistance, and gaining commitment.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sales agent’s need for achievement (NFA) and its influence on performance outcomes. To date, the research and anecdotal evidence have produced a few models that examine the outcomes of NFA, each explaining respective aspects of variance (Amyx and Alford, 2005; Riipinen, 1994; Hansemark, 1997). Extant literature in NFA domain provides a support for a lin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FA and performance (Amyx and Alford, 2005). However, results are mixed concerning NFA’s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C). Past literature contends that NFA will positively influence commitment (Steer, 1977; Morris and Snyder, 1979; Sager, 1991). However, in a recent empirically study, NFA was found not to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commitment and satisfaction (Amyx and Alford, 2005). Further, Johnson and Stinson (1975) empirically demonstrated that NFA negatively influence satisfaction. Contrarily, recent studies have argued that NFA positively influences satisfaction (Behrman and Perrault, 1984; Bluen, Barling, and Burns, 1990). An important variable often examined as key intervening variable in examining performance outcomes in management and sales domains is role clarity (Lang, Jeffrey, Bliese, and Adler, 2007). Role clarity is an indicator of the extent to which people understand their fit and purpose within an organization (Netemeyer, Maxham and Pullig, 1990; Fisher and Gitelson, 1983; Jackson and Schuler, 1985). This relative sense of fit and purpose may help explain the mixed results regarding the link between NFA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salespeople with a high NFA perform better than those with a low NFA (Amyx and Alford, 2005). Organizations have a vested interest in retaining higher performing salespeople, and both job satisfaction (J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been linked to retention. Given these relationships and the achievement-oriented nature of the sales job,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if any, between NFA and two outcome variables, namel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explores direct influence of NFA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Next, the study investigates how role clarity moderates the influence of NFA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