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21.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수십년간의 산업화로 인해 인간중심의 하천 개발이 이루어진 결과, 하천의 직강화 및 복개화 등 오수 및 하수의 배출구로만 활 용되어 집중호우 등의 수해가 반복되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해 하천 및 제방의 사면을 각종 공법을 통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있으나, 관련 기 준에서는 비탈높이, 최소비탈경사 등 최소한의 기준만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홍수해 방지를 위한 가장 중요한 특성인 소류력에 대한 검토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규모의 인공실험하천에서 다공성콘크리트 호안블록을 설치하고, 유입유량을 조절하여 각 실험조건에 따른 유속 및 수심을 측정하여 소류력을 평가하였다. 다공성콘크리트블록의 압축강도 및 공극률 시험결과 압축강도는 16.6~23.2 MPa의 범위로 측정되었고, 실측공극률은 10.1%로 나타나 국내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소류력 시험결과 한계소류력은 47.202 N/m2으로, 하천설계실무요령에서 제시된 급류부의 소류력 범위인 67 N/m2은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블록 및 기반층의 유 실이나 손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기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볼때 그 이상의 소류력에도 저항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을 추정하여 볼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실험조건 등을 조정하여 실질적인 한계소류력 측정을 위한 실험을 다시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22.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중구조물은 구조물 마루가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아 자연경관을 해치지 않으며 해수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1990년대부터 유럽과 일본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연안침식 저감 등을 목적으로 수중구조물의 설치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수중구조물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해외자료를 이용하여 설계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중구조물의 기하학적 제원 및 제체 구성재료 등에 따른 해안수리특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함과 동시에 수중구조물 피복재의 안정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수중구조물 설계시, 피복재의 안정중량 산정에는 방파제에 적용되는 피복재 안정중량 산정식을 황요하고 있는 실정으로 수중구조물의 안정중량 산정식은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콘크리트블록과 Tetrapod를 적용한 피복재의 안정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콘크리트블록의 거치방법에 따른 안정성도 비교 평가하였다. 수리실험은 2차원 수로에서 진행되었으며, 불규칙파를 적용하였다. 향후 입사각에 따른 피복재 안정성 및 제두부구간의 안정성 검토를 위한 3차원 실험과 해안수리특성 실험도 진행예정이다.
        23.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pending on the speed up of railway noise problem has become increasingly serious. In general, under the same conditions when the vehicle speed is 300km/h in a 400km/h increases, it is known that an increase in the noise level of 6 to 7dB. Railway Noise can be reduced by improving the vehicle and the track system. Also, the noise barrier and sound absorbing block may be a valid alternative to reduce railway noise. Here we propose a construction method of absorbing blocks are removable to allow maintenance.
        24.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SC거더교는 탁월한 안정성, 사용성 등의 특징으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량의 한 형식이다. 그러나, 긴장재 (강연선)의 시공오차나 곡률반경 등에 의하여 절곡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기며, 이는 국부적인 긴장력의 손실울 유발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설계와 시공과정에서는 긴장재의 국부적인 절곡으로 발생하는 긴장력의 손실에 대하여는 간과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PSC 거더 연속화 지점부에서 시공오차와 선형반경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긴장력 손실량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국부적 긴장력 손실을 감소시킬수 있는 공법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효용을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국부적 절곡에 의해 최대 10%의 긴장손실이 나타났고, 블록아웃 공법을 통해 손실률을 최대 약 5%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블록아웃 공법으로 연속화 교량의 긴장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25.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ompressive behavior of form-block-wall was studied through prism test. In the experiment, main variables are the difference in mix design of block and strength of grout concrete. Experiment result showed that the prism strength of form-block-wall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strength of grout and block. The initial stiffness in load-displacement curve varied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of block strength in low strength of grout concrete while there was not a difference of it in the case of high strength of grout concrete.
        26.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results of study, heat reduction ratio of concrete block increase as PCM content was increased. When considering the heat reduction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block, the proper content of PCM is thought to be 2.5%.
        2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외 철도의 경우, 선로의 노반과 사면·법면 등의 내하력을 넘어서는 대형 강우에 대하여 열차의 운전중지와 속도제한 등의 운전규제를 실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기준으로 설정되어 열차통제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다만, 한국철도공사의 강우자동경보시스템을 통하여 강우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열차운행을 위한 판단의 보조지표로써 활용되고 있다.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강우시 취약개소로 선정된 영동선과 경전선 구간 사면의 현장시험, 불포화함수측성 시험 등의 결과 및 문헌자료를 활용하여 강우침투해석 및 시간강우량에 따른 콘크리트블록 설치 현장사면의 안정해석으로 내강우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안전율 1.3에 따른 시간 강우정보를 역산하여 한국철도공사의 강우경보시스템에 활용되고 있는 열차운전규제 기준과 비교분석하였다. 이는 추가적인 검증 및 확장연구를 통해 현장적용이 가능한 불포화 개념의 열차안전규제 기준 마련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2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잠제(수중구조물)는 천단부분이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아 자연경관을 해치지 않으며 해수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1990년대부터 유럽과 일본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일본의“인공리프 리프 가이드 북”을 활용하여 설계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석마운드와 콘크리트 블록으로 피복된 불투과성 잠제에 대해 기하학적 형상별 전달특성을 수리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실험조건은 d0=0.3m, 0.4m, 0.5m; Rc=0.1m, 0.2m; W=0.25m, 0.5m, 1.0m, 2.0m, 3.0m; T1/3=1.0sec~3.0sec (ΔT1/3=0.2sec); H1/3=0.06m~0.22m (ΔH1/3=0.02m)이며, 파고전달율은 Kt=f(Rc/H1/3, B/L1/3, H1/3/L1/3, Rc/d0)의 함수로 제시된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상대 상단수심에 따라 파고전달율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일한 상대여유고 및 파형경사 조건의 경우에도 상대상단수심이 큰 경우에 파고전달율이 크게 산정되었다.
        29.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ompressive capacity of a new form-block-wall (FBW) was studied through both the prism test and compressive strength test for single form-block. In the experiment, main variables are the difference in mix design of block and in strength of grout concrete. The result of prism test show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FBW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strength of grout concrete while it was not influenced by the block‘s mix design difference.
        30.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results of study, water absorption ratio of concrete block decrease as HC content was increased. And flexural strength increase as HC content was increased by 2.5%. When considering the water absorption ratio and strength of concrete block, the proper content of HC is thought to be 2.5%.
        3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appropriate cross-section of the block as a drawback of hollow concrete block field work. Formed Concrete Block was evaluated by FEM Method in a variety of stress conditions in order to find the optimum cross-section. As a result, the block has higher vertical resistance than horizontal and the strength of it depends on the thickness of web.
        32.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발생되어왔던 연안역에서의 안전사고는 야간의 시인성과 관련된 사고사례가 상당수 존재한다. 이에 대한 예방차원으로 시인성 확보시설이 다수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진은 안전시설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1광원 다지점의 전력 소모량, 탄소배출 감소 등의 장점을 가진 발광체 인입형 콘크리트 블록을 개발·제작하였으며, 연안지역 현장시공을 통해 역학적·기능적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발광체 인입형 콘크리트 블록은 기존 콘크리트 경계블록 제원을 토대로 하여 길이 1m의 직육면체의 형태에 확산판 부착이 가능한 발광부와 발광체를 인입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제작되었으며, 제작된 블록을 실제 연안지역 현장 약 30m 구간에 설치하여 그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