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쌀가공산업의 활성화로 인해 떡류 시장은 활발해지고 있으나 떡의 저장성이나 보관성이 취약한 문제로 인한 유통상의 제한으로 시장개척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떡볶이 떡의 적합한 산 침지 조건을 설정하고자 떡볶이 떡 제조 시 가수량이 산 침지 후 수분함량, pH, 기계적 조직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떡의 산 침지 특성을 Peleg 모델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R2>0.9679). 모든 배합비의 떡과 산미료 농도에서 떡의 침지 시간에 따라 수소이온농도가 증가하였으며, 동일한 가수량의 떡에서는 5% 보다 10%의 산미료에 침지한 떡의 수소이온농도 값이 높았다. 이는 떡의 가수량과 산미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미료 확산 현상에 더 유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eleg 모델 식에서 K1과 K2의 값은 가수량이 높을수록 산미료 농도가 높을수록 더 작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가수량이 높고 산미료 농도가 높을수록 떡의 산미료 흡수 속도와 평형 수소이온농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분함량은 가수량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가수량과 pH가 동일할 때에는 산미료의 농도가 더 낮을 때 수분함량 증가율이 더 높았다. 동일한 pH에서 떡의 경도는 가수량이 높을수록 낮아졌으며 산미료가 떡의 조직을 연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떡의 가수량이 높을 때에는 pH가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떡의 색도는 산미료보다 수분 함량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 하여 배합비와 산미료의 농도에 따른 산의 확산도를 확인 하였으며, 배합비의 높은가수량 및 높은 산미료 농도에서 침지 시 침지에 의한 품질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
        2013.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veloping proper reduction strategies of indoor radon which have been an important issue in Korea requires proper information on source characteristics a phosphate gypsum board which is a common building material used for inter-wall thermal protection in Korea could be a major source of indoor radon level. This study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indoor radon concentration and the attribution of gypsum board content in building materials. In this study we valuated indoor/outdoor radon from 58 facilities sele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vailability of gypsum content in the building material across 8 different cities in Korea. Our results showed that indoor radon concentrations were 2 to 3 times higher than outdoor but those results were not significantly attributed from gypsum contents in the building material. Indeed, phosphate content in gypsum board did not significantly play a role in indoor radon level variations. It is concluded that physical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radon exhalation rate out of each building materials, as well as pathway from external sources (e.g., soil) needs to be identified to develop indoor radon reduction strategies.
        4,000원
        3.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가축분 시용 조건에서 교잡종중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는 장려품종 4종(P 988, Jumbo, TE-Hay-grazer, NC+ 855)을 공시하여 생육시기별, 잎과 줄기의 부위별 질산태 질소 함량과 당도 및 가축 기호도 등을 구명하였다. 가축분은 톱밥과 50:50으로 섞은 발효분으로 ha당 우분 40톤, 돈분 및 계분은 30톤을 파종 보름전 시용하였으며, 파종은 ha당 30kg의 종자를 휴폭 50cm로 1995년 4월 21일에 실시하
        4,000원
        4.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가축분 퇴비 시용조건에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Sorghm bicolor (L.) Moench)의 시용수준별, 생육시기별, 잎과 줄기 부위별 질산태 질소 함량과 당토 및 가축 채식률 등을 구명하고자 Pioneer 988 품종을 공시하여 1995년도에 실시하였다. 가축분은 톱밥과 50:50으로 섞은 발효분으로 시용수준은 ha당 우분 퇴비 50, 100, 150톤, 돈분 퇴비 20, 40, 80톤, 계분 퇴비 10, 20, 40톤을 파종 보름전
        4,000원
        5.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고기능성 채소 생산을 위한 배양액내의 적정 셀레니움 농도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벨기에의 채소연구소에서 허브재배를 위해 개발된 양액을 이용하여 각각 Na2SeO4를 0, 2, 4, 6, 8mg/l농도로 처리하였다. 배양액내 셀레니움의 농도가 국화과 식물인 향쑥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저농도의 처리는 생육을 향상시켰으나 6mg/l이상의 고농도 처리는 생육을 감소시켰다. 엽록소의 함량은 셀레니움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는데 배양액 내의 selenate ion 농도가 높을수록 전체 엽록소함량도 증가되었다. 비타민 C의 함량은 좋은 생장을 보였던 4mg/l처리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으로 농도가 증가했을 때 비타민C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저농도의 selenate 이온 농도는 정유의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고농도에서는 정유의 함량이 감소되었다. 식물에 의한 셀레니움의 흡수는 배양액내의 selenate 이온 농도가 증가할수록 촉진되었다.
        4,000원
        6.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itrogen(N) fertilization levels(0. 120, 240 and 360 kg/ha/y) on seasonal nitrate nitrogen(NO3-N) concentration and water soluble carbohydrate (WSC) content of grasses grown under shading cond
        4,000원
        7.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executed to evaluate the phenolic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rate, and the cytotoxic effect in human cancer cell, 3T3-L1 cell from C. lanceolata extracts at various ethanol concentratio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the C. lanceolata at various ethanol concentration showed the high amount in 70%, 100% ethanol extrac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rogressive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showed the highest in 100% ethanol extract. The cytotoxic effect against human cancer cell of the C. lanceolata was higher in 50% and 70% ethanol extracts. In particular, the cytotoxic effect in MCF-7 cell was relatively higher than in other cells. The IC50 (concentration causing 50% cell death) value showed the highest on MCF-7 cell (538.39 ㎍/㎖) in 70% ethanol extract, and exhibited significant activity against Hela cell (637.87 ㎍/㎖), Calu-6 cell (728.64 ㎍/㎖). The extract of 70% ethanol at 1,000 ㎍/㎖ exhibited a pronounced cytotoxic effect on 3T3-L1 cell comparable to that of the other extracts, and reduc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nging climate, especially water content(WC) and CO2 (CD) concentration could be effect on the growth of soybean and seed yield. So we evaluated the effects of WC and CD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wly developed soy cultivars in growth chamber. Ten soy cultivars evaluated in three [CO2] levels (CD1, 350; CD2, 500; CD3, 700ppm) and three water content (WC1: 30%, WC2: 40, WC3: 50%) in the pot in growth chamber. Increased [CO2] from 350 to 500 and 500 to 700ppm enhanced crop growth parameters greatly and grain yield, however, grown in CD3 enhanced plant height increasing speed, and shortened growing duration, however, they were grow very weakly and it resulted in lodging problem. High soil water content (WC3) hampered growth and yield of soybean in three CD treatments and the degree was lower in CD1 and CD2 than CD3. In this results we can conclude increasing [CO2] in Korean peninsular might be decrease lodging resistance, especially high moisture content, so, plant breeders and physiologists need to develop improved lodging resistance cultivars under high water content and high CO2 content.
        10.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changes of photosynthetic ability and cation content in barley cultivar seedlings cultured for 10 and 30 days with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containing 1/4 Hoagland solutions. At the highest NaCl concentration, the weight of dry matter and the shoot/root ratio (S/R ratio) were decreased. Thus, shoots were affected more than roots by NaCl treatment. The S/R ratio decreased more in 'Neulssalbori' than in 'Bunong' by the NaCl treatment. The. internal Na+ concentration increased greatly with the highest NaCl concentration, but K+ concentration in plants decreased with the highest NaCl treatment. The Ca2+ concentration had a small change with NaCl concentrations. Thus Na+ /K+ and Na+ /Ca2+ ratios increased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The chlorophyll content (%/dry weight) of seedlings decreased at higher NaCl levels except for Bunong in 30 day old seedlings. The photosynthetic ability decreased only for Neulssalbori in the 10 days NaCl treatment. The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had decreased in the 10 day old seedlings, but not with 30 day old seed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