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정시설은 자유형의 집행기관으로서 수형자에게 집단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장소이므로 질서가 엄정히 유지되지 않으면 아니 된다. 따라서 교정시설에 있어서 질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서는 수형자에게 일정사항의 준수를 강제하고, 위 반자에게는 징벌을 과할 수 있는 제도를 채용하지 않을 수 없다. 2007.12.21.「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2007.12.21 법률 8728호 제정)이 제정 되었다. 신법의 내용으로서는「근대화」「국제화」「법률화」라는 3가지 목표 아래, 구(舊)법 상에 일부 자리 잡았던「관리법」적인 것을「처우법」으로 성격의 전환을 이루려고 한 것은 높이 평가 할만하다. 그러나 교정시설에 있어서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규정을 두었다. 물론 이러한 규정은 수형자로 하 여금 사회생활상의 법규범을 준수하는 시민으로 만들기 위한 교정 상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런 의미에서 시설에서의 질서를 유지하여서는 강제권행사가 불가피하다. 그리고 신법이 특히 강제권행사(사전적․예방적 강제권행사이든, 사후적 제재이든)에서 수형자의 개선․재사회화에 유익한 것인 동시에 교정시설 내에 있어서 집단생활의 질서유지상 필요한 한도에 머물러야 한다는 원칙에 입각하였음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아직 미흡한 점이 있다. 따라서 현행법의 문제점(소지금지 물품 규정의 불확정성, 전자장비이용 계호규정의 명확성 요망 및 징벌규정의 구체화의 필요성 등 )을 보다 구체적이고 동시에 현실적인 입법의 필요성(소지금지 물품 규정 신설, 전자장비이용 계호규정 신설 및 징벌의 개선 등)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였다.
        6,300원
        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long as convicted prisoner is a citizen of the nation, his/her fundamental human rights must be guaranteed to the maximum ext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al spirit within the range of not becoming a barrier to accomplish a legitimate penological purpose. When we put too much emphasis on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prisoners insomuch as to disturb and violate the correctional order and regulations, however, it would not only cause life and physical safety of both prisoner and correctional officer to be threatened but to make eligible prisoners unable to return to society through correctional and reformative activities, which are basic and valid penological objectives, and also correctional institute unable to detain an offender in custody that is a premise of imprisonmen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ccomplish the ultimate penological goals so much as to make convict return to society, while the state should guarantee human rights of prisoners, and, at the same time, firmly establish correctional orders. But there are contradictory relationships between protection of convict rights and establishment of correctional orders, so that problems have risen in due 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o achieve harmonization between the two. Then, it would not be too much to say that to maintain discipline and order in correctional institution up to an appropriate level is the most basic premise for penological practices.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o establish correctional orders in a firm manner is essential for penological practices. If discipline and order is exceedingly strict in observance, however, convict will merely become an object to be controlled, thus that it would be not only difficult to achieve certain expected effects of correctional goals but to bring about worries to infringe human rights because of unwanted limitation of fundamental rights of individuals. So then, it is thought that to set up balanced relations between human rights protection and establishment of correctional order by harmonizing tensive relationships in between is an important task in contemporary correctional practices. In any case, limitation of fundamental human rights of convict, however, should not cross boundary that has been set in order to maintain an orderly prison life having secured physical custody of convict.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