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심리적 상태를 인식하고 대안적 행동을 탐색하며 삶의 목적을 재구성하는 등의 활동을 통하여 치유적 상담경험과 더불어 범죄 심리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교정상담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정의 목적은 수용자가 자신의 행동을 성찰하고 사회적응 능력을 배양하며 재범을 막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정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최근 범죄율이 증가하고 특히 강력 범죄의 재범률이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교정상담이란 정서적으로 불안한 수용자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심리・행동적 문제를 상담자의 관심과 이해를 통해 이성적인 판단력을 회복시켜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여 추후 정상적인 사회인으로 적응할 수 있게 돕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 상담의 목적과 기능, 그리고 수용자의 심리・행동적 특성, 교정의 요소를 고려하여 효과적 교정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CORRECTION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CORRECTION의 각각의 알파벳은 수용자 혹은 잠재적 범죄 고 위험군을 대상으로 건강한 심리사회적 삶을 살아갈 수 있는 10가지의 핵심 역량의 영문 첫 글자로 구성하였다.
        5,100원
        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the importance of empathy in Corrective Counseling. This study referred to the importance of empathy in Corrective Counseling by clarifying the fact that Juvenile Delinquency is related to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which originates from the absence of appropriate caring empathy.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s highly correlated to aggression, which can be displayed as juvenile delinquency in adolescents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Juvenile delinquents commit misconducts as an attempt to compensate their weak and fragile narcissistic personality structure. Juvenile delinquency is an alternative way to overcompensate juvenile delinquents’s lower self-esteem and to recover their damaged self-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Kohut’s self-psychology, juvenile delinquents have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with fragile self-structure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absence of an appropriate child-rearing. Therefore, during the counseling sessions, the therapist is needed to be a selfobject to strengthen juvenile delinquent’s self-structure. Thus, when the therapist implements corrective counseling for juvenile delinquents, therapists’ empathy is an important element as a selfobject for the client.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empathy in corrective counseling for juvenile delinquents. In addition, there is need to develop the program of utilizing empathy for corrective counselor and train corrective counselors to be more empathic to juvenile delinquents.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