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만약...헬라가 텐 링즈를 발견한다면?>을 사례 로 의상 기호의 의미와 의복 문화의 이데올로기가 내러티브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함으로써 기호가 애니메이션 서사에 미치는 지도적 역할을 탐 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다양한 문화적 환경에서 의상의 색상, 스타일, 소재가 갖는 부가적 의미와 의상 기호가 갖는 이데올로기를 롤랑 바르트 의 기호학을 통해 분석하고, 애니메이션에서 의상 기호의 서사적 역할과 애니메이션의 주제적 아이디어 전달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는 애니메이션 작가들은 의상 기호를 활용하여 시각적 서사적 도움을 주 고 있으며, 기호의 통합을 통해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적 아이디 어를 설명하고, 관객이 애니메이션 속 플롯의 전개와 등장인물의 감정 변화를 이해하고 느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은 기호학이 애니메이션 서사와 통문화적 기호 사용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데 도 움이 되는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더 나은 애니메이션 작품 창작에 학술 적 지원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호를 의상 층면에만 한정함으로써 애니메 이션 전체의 시각적 의미 전달에 대한 지침으로서 많은 한계가 있다.
        5,5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문화부호는 문화의 개념적 특징의 하나이다. 문화를 인식하 고 연구하면서 문화부호 요소는 예술 창작에 대한 성패와 예술 가치를 나타내는 아주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문화 및 예술 창 작에 존재한 일부 기본적인 속성 관계는 모든 인류문화 생활 방식의 총합이다. 여기에는 경제, 정치 등 여러 시스템이 포함 되어 있다. 단지 예술은 그중 ‘심미’기능의 서브시스템만 대표 하지만 이 서브시스템의 형성은 전체 문화 체계와 밀접한 관계 가 있겠다. 이러한 어떤 사회의 심미적 관념 특징 형성은 그 사회의 모든 문화 서브시스템이 심미적 분야의 ‘단체 구현’이기 도 하기 때문이다. 예술작품은 문화 체계의 ‘단체 심미’이념으 로서 시시각각의 문화 중 ‘단체 심미’방식으로 문화 체계의 모 든 심미적 형태 관계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수한 예술 가가 자신의 작품으로 당시 사람들에게 공동으로 느낀 시대정 신을 실현하였다면, 이는 심미적으로 이 작품이 그 시대나 그 민족, 그리고 그 나라의 문화 기호 특징을 나타내었다고 말한 다. 이런 작품은 보통 예술 품격에서 아주 높은 예술적 감화력 이 있으며 역대 예술가들은 소중히 간주한다.
        5,500원
        3.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significance as a cultural symbolism of ‘rentouhu (人頭 壺),’ which is gourd-shaped earthenware with a human face sculpted on the spout and has been excavated in large quantities at the Neolithic sites in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the Yellow River in China. Although there have been brief descriptions on these artefacts due to their unusual shape,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f their significance as a cultural symbol. This study would like to argue that this object is a visual depiction of the origin myth that ‘humankind was born from a gourd,’ a myth that is widespread in China. The narrative of the origin of humankind from bottle gourd is universal and takes various forms in the origin myths of many ethnic groups in China, including the Han Chinese. It is also closely associated with the gourd, a device that enabled humankind to survive the disaster of the Great Flood. This paper draws on graphonomic, philological,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data to discuss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rentouhu (人頭壺).’ In particular, by clarifying the etymology of several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the character ‘yi’ (壹: one), this paper analyzes the traces of the myth of the origin of humankind from the calabash implicit in the etymology. Artefacts from Yinxu (殷墟), Anyang, Henan Province showing ‘a bird’s body with a human face’ discovered in the lower Yellow River region and the petroglyphs depicting the ‘flowers in the shape of human faces’ in Lianyungang (連雲港), Jiangsu Province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Huai River are also expressions of the myth of the origin of humankind and cultural symbols of ‘rentouhu.’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n-depth studies of the rentouhu as well as the origins of Chinese civilization. Beyond this, it will contribute to proposing a methodology of ‘Chinese character archeology,’ a convergence study involving graphonomy, philology, anthropology, and archeology.
        9,900원
        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文化는 사회의 발전을 이끄는 ‘소프트 파워’라고 일컬어지지만 물질적 토대와 정치적 변화로부터 온전히 홀로 설 수 없다. 中國 宋代 목축업과 조리기술의 발달은 양고기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육식문화를 만들어내었고, 이는 신분과 계급의 상승이라 는 무거운 상징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반해, 돼지고기는 저급한 식재료에서 식문화의 중요한 위치로 점차 받아들여져 신분·지역을 아우르는 문화우월감의 상징이 되었다. 본 논문은 宋代 육식문화의 발달과정을 문헌에서부터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당시 육고기에 대한 인식 변화와 문화 상징성을 고찰한 것이다.
        5,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