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정보화, 세계화, 지방화로 축약되는 세계사적 문명전환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로 지식기반경제의 문화콘텐츠 산업이 각광받으면서 잠시나마 주춤하던 이벤트 산업이 지역의 문화산업(축제와 관광)에 새로운 역할과 기능의 수단으로 그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이벤트가 산업의 장르를 막론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다시 활약할 수 있었던 것은 이벤트가 갖고 있는 특성으로, 원초적인 자극과 체험을 통한 오감 만족이기 때문이다. 그 원초적 자극과 체험이야말로 디지털시대에 대중을 감동시키는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뉴미디어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중요한 이벤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 이벤트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정리하여, 창조경제시대 문화융합의 선도적 역할로서 이벤트를 통한 창조경제 구현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recognition and historical background about western table decoration. For the study, the documentary study would be accomplished. the range of time was during Renaissance, Baroque, Rococo, and Neo-classic period, and the range of space was among Italy, France, and England. Styles for example architectures, interior designs, arts, and sculptures represented their own period, and had great influences on eating habits, and the eating habits would be influent on kitchen utensils. As a results of the fact, the structural elements and decoration of table would be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eriods of time. Today's food cultural trends consisted of consumption, taste, sense, and consumers' demands become diversified, so the paper would be an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new designs proper for our own modem sense that cope with modem feeling.
This study, targeting Deokbongmaeul, Choonchonmaeul, Hyodongmaeul and Kangsanmaeul, drew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culture resource utiliz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oject plans and performance reports and field surveys. First, Deokbongmaeul is a rural village with scattered Confucian facilities. Ipsanmaeul conforms to Confucian order and has an attractive housing area landscape. Hoechonmaeul has forest landscape and distinguishing intangible recourses like Maeji farmer's music and traditional techniques and legends. Hyodongmaeul shows folk resources and folk behavior like traditional play and techniques. Second, the history culture resources chosen from the project plans focus on intangible history resources like individual historic buildings & structures and customs & traditional techniques. Third, cultural historic village projects are categorized by repair and restoration of historic buildings and structures, development of experience program and building facilities and maintenance and establishing the village landscape elements. From the research results, it is explained that history culture resource utilization methods of cultural historic village project are hard to be expected to have the project results based on the landscape identities of four villages.
본 연구는 중학교 역사교과서에서 사용되는 역사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향상을 위해 연구자 자신의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행연구를 연구 방법론으 로 채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2013학년도와 2014학년도에 S여중 2학년 전 교생 180여명을 대상으로 역사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역사용어에 대한 이해 실태를 파 악하였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2013학년도에 자신의 수업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제 수업에서 역사용어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6개반을 3그룹으로 나누어 3가지의 학습방 법을 적용하였다. 2014학년도에는 2013학년도에 역사용어를 이해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던 학 생활동중심수업을 적용하였다. 셋째, 수업 후 교사의 수업일기와 학생들의 인터뷰를 통해 수업 후의 반응을 살펴보았으며, 2주후 학생들의 역사용어 이해도의 향상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탐 구형 평가(개념확인평가)와 지필고사 성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가 활동지, 동영상 등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공하여 수업하고, 학생들은 학습과 제를 통해 선행지식을 갖추어 학생활동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질 때 역사용어에 대한 이해도 가 향상되어, 학업성취도도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자는 2년 동안 본 연구를 통해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고 반성함으로써 수업을 개선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