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예비 마스터가드너를 선발, 정보를 전달하고 활동을 촉진시켜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실질적인 관리를 담당 하는 코디네이터 양성을 위해 데이컴 분석을 통하여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전문성 기준과 직무모형을 제시하였다. 1, 2차 데이컴 위원회를 통해 임무, 작업, 작업 요소를 도출하고 작업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확정하였다. 도출된 임무 및 작업 등을 바탕으로 마스터가드너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시군 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를 대상으로 직무 수행평가를 시행하였다.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분석 결과, <A. 정원문화 이해>, <B. 정원기술 이해>, <C. 봉사활동 이해>, <D. 교육과정 개발>, <E. 교육과정 운영>, <F. 교육사후 관리>, <G. 전문성 개발> 등 7개의 임무를 도출하였다. 또한 <A. 정원 문화 이해>의 4개, <B. 정원 기술 이해>의 4개, <C. 봉사 활동 이해>의 6개, <D. 교육과정 개발>의 6개, <E. 교육과정 운영>의 8개, <F. 교육 사후 관리>의 6개, <G. 전문성 개발> 의 7개 작업까지 총 41개의 작업과 173개의 작업 요소를 도출 하였다. 이를 토대로 작업과 지식, 기술, 태도의 관계를 분석 하고 매트릭스로 제작하여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 활동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역할과 활동 범위를 설정을 위한 직무모형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교육 표준화 기준을 수립하고 일자리 영역을 구축하는 등 후속 연구를 촉진 할 수 있는 토대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DACUM 기법을 통해 작업치료사 직무를 분석하고, 현재 국내 작업치료사가 임상현장에서 수행하고 있는 주 요 책무와 작업의 중요도와 수행빈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 분석을 위해 DACUM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DACUM 위원회를 구성하 였고, DACUM 워크샵을 통해 직무분석을 시행한 후, 수도권에서 근무하고 있는 국내 작업치료사 252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거쳐 수행작업(task)별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결과 :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치료사 직무의 정의와 4개의 책무(평가, 치료, 교육, 행정 및 관리), 21개의 수행작업 을 제시하였고, 각 수행작업에 대한 중요도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전체 수행작업 중 직무분석 위원회와 설문조 사에서 각 책무에서 중요한 항목을 결정한 결과 평가책무에서는 평가결과해석, 치료 책무에서는 치료실행, 교육에 서는 환자교육과 보호자교육, 행정 및 관리에서는 문서관리로 교육을 제외한 모든 책무에서 책무의 우선순위에서 일치하였다. 하지만 수행작업에 대한 중요도는 직위, 경력, 근무 종별등 직무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대학의 작업치료 교육과정, 분과학회의 교육과정 변경 또는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4.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국내 2년제 대학의 부사관 학과를 대상으로 고등직업교육기관에서 적용, 활용이 가능한 DACUM 기반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연구 방법은 PDCA 모형에 근거하 여 국내․외 문헌 고찰, 교육과정개발위원회, DACUM 직무 분석, 직무 모형, 결정 계수(중요 도, 난이도, 빈도), 기술 통계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과 단계별 개발 절차를 거쳐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 환경, 학교 및 학과의 요구 분석, 교육과정개발위원회 검토와 합의 내용에 근거하 여 학과의 인재양성유형과 교육 목표를 정의하였다. 둘째, 인재양성유형과 교육 목표를 토대로 학과의 직무인 ‘국방행정사무’ 를 정의하였다. 셋째, 직무의 정의를 토대로 직무의 모형을 설정, 배치(제1차)하여 6개(당초 9개)의 임무와 35개(당초 72개)의 작업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위원들의 검토 및 합의를 거쳐 최종 4개의 임무와 16개의 작업으로 배치(제2차)하였다. 넷 째, 직무 모형을 내용 타당도와 결정 계수에 근거하여 분석, 검증한 내용 타당도는 모두 1.00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였고, 결정 계수 또한 전체적으로 높은 순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작업 별 K-S-T(A)는 지식 20개와 기술 20개, 도구(태도)를 19개 각각 도출하였다. 여섯째, 작업별 K-S-T(A)에 근거하여 6개의 교과목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작업/교과목 연계표를 개발, 작성하였다. 일곱째, 작업/교과목 연계표에 근거하여 교과목 명세서를 개발, 작성하였다. 여덟 째, 개발한 교과목 명세서를 토대로 학습자들을 위한 학년․학기별 교육과정을 수립하였다. 또 한 DACUM 기반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 편제표와 경력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로드맵을 각각 개발, 작성하였다.
        6.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DACUM법을 이용하여 충북 지역의 차세대전지 관련 분야의 산업체 전문가의 요구분석과 산업 실태를 근거로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필요성과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개발연구, 전문가협의회, 워크숍, 교육과정개발위원회 등의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태양전지과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Duty(8개) 및 Task(148개)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교과목 Profile을 근거하여 1학년은 총 5교과목으로 학기당 15이수 단위의 공업입문, 태양전지기초, 기초제도, 전기전자회로, 전자기계공작이며 2학년은 총 4교과목으로 학기당 12이수 단위의 자동화설비, 태양전지 공정이론, 태양전지설비제어이다. 또한 3학년은 총 4교과목에 학기당 28이수 단위로 전자전산응용, 전력설비,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종합실무이다. 그리고 전문교과 이수단위 편성에 대한 학교 및 현장에서 수행하는 작업 내용과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문가 5명으로부터 검토 의견을 수렴하였고 그 내용들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