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두부 확산 텐서 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 DTI) 검사 시 Multi-band(MB) SENCE 기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신경학적 증상이 없는 지원자 10명(평균연령 34.7세)을 대상으로 Philps 3.0T MRI (Ingenia CX, Philips medical system), 32channel head coil을 사용하여 DTI검사를 시행하였다. 영상 파라미터는 Matrix=112×109, FOV=224×224mm, voxle size=2×2×2, SENSE factor=2, NEX=2, 확산 자기장 방향은 15개로 하였다. Multi-band factor(MBF)를 0, 2, 3, 4로 적용함에 따라 TR은 6041, 3481, 2381, 1961(ms)로 감소하였고, TE는 75, 84, 86, 94(ms)로 증가하였다. MBF 변화에 의한 검사 시간을 측정하고, 영상의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fraction anisotrophy(FA) map 좌, 우 꼬리핵(Putamen)과 앞 방사관(Anterior corona radiate, ACR)에 ROI를 설정하여 FA를 측정하였다. 같은 위치의 b0 영상에서는 SNR을 측정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Duncan 사후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 MB SENSE를 시행하지 않았을 때 scan time은 3분 51초(100%)가 소요되었고, MBF가 2일 때 2분 27초(63.64%), MBF가 3일 때 1분 51초(48.05%), MBF가 4일 때, 1분 37초(39.39%)였다. MBF가 2일 때 FA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0.05), MBF가 3, 4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 론 : MRI를 이용한 인체 대뇌피질 영역에서의 기능과 신경섬유로의 위치확인 및 가시화(visualization) 방법은 신경기전의 회복연구를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RI, fMRI)과 DTI 기법을 이용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검사의 경우 긴 검사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그러나 검사시간의 증가는 환자의 움직임을 야기하고 이에 따른 검사 정확성의 감소를 가져온다. 본 연구를 통해 MB SENSE를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를 기준으로 MBF가 2일 때 FA의 차이가 없었으나, 검사시간은 36.37%의 감소율을 보였다. 따라서 움직임이 많은 환자나 효율적인 검사시간을 요구하는 상황에 MB SENSE의 사용이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xial force of the bolt is very important for structural stability. To obtain stability of the structure, axial force of the bolt should satisfy the specification and be maintained over the time. Hence, It is important to the axial force of the bolt is measured and it manages. However, measuring of the axial force using sensors is very expensive. Torque method using frequently in the field is difficult to confirm accurately by the torque coefficient change. In this study, measuring of axial force using elastic force of the spring washer was studied. First, the relational formula is drawn about the pressure in which the spring washer model changes to the annular of the plane state. According to the axial force of the bolt, the necessity height of the spring washer is presented and the finite-element analysis model is recommended. The analysis model research, generally, the axial force of high strength bolt is confirmed. It expands to confirmation of the large caliber bolt.
        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경추 척수 손상 부위와 정도를 평가하는 데 DTI 기법은 현재 많은 임상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spinal cord를 영상화 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DTI 기법 중 2D ss-DWEPI에 IMIV(Interleaved Multisection Inner Volume) 방법을 접목한 2D ss-IMIV-DWEPI 기법은 위상 부호화 방향으로 공간적 범위를 감소하여 자화율 왜곡과 motion artifact 등을 줄이고 진단 시 병변 감별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DTI 기법 사용 시 2D ss-DWEPI에서 IMIV 기법을 적용 할 때와 기존 2D ss-DWEPI에서의 rFOV변화에 따른 FA 값과 ADC 값을 비교하고 영상의 질을 평가하여 IMIV 기법사용 시 DTI 기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cervical spine 검사 시 DTI sequence를 적용한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3.0T MR(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장비를 사용하였다. 코일은 phased-array spine coil과 neck coil을 사용하였다. DWEPI DTI는 TR/TE: 4000/65ms, FOV: 192mm, slice thickness: 2mm without gap, matrix: 128×32, 64, 128(rFOV 25%, 50%, 100%), NEX: 8을 사용하였다. 또한 ss-IMIV-DWEPI는 위와 같은 조건으로 matrix 128×32(rFOV 25%)를 사용하였으며 두 기법 모두 slice 수 10개, b factor 0, 500s/mm² 적용하였다. 영상 측정은 두 기법 모두 sagittal 영상을 얻어 cervical C1에서 T1까지 각각의 척추디스크 사이에 ROI를 그려 ADC, FA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고 2개 segment (C1∼C5, C5∼T1)로 나누어 영상의 motion artifact, distortion, 병변 검출 능력을 평가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ADC와 FA의 signal intensity를 측정한 평균값은 ADC에서 IMIV 560.7, rFOV100% 1261.3, rFOV50% 1387.3, rFOV25% 1321.9 로IMIV의 ADC 값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IMIV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rFOV50%에서 138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A에서는 IMIV 623.1, rFOV100% 578.7, rFOV50% 544.5, rFOV25% 495.7로 IMIV의 FA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ADC에서 IMIV와 rFOV25, rFOV50, rFOV100의 p-value는 statistical significant가 모두 0.05 이하였다. FA에서도 pvalue는 statistical significant가 모두 0.05 이하였다. IMIV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rFOV 변화에 따른 값들 모두 유의한 값을 얻었다. 정성적 평가는 방사선사 5명이 영상을 관찰하고 motion artifact, distortion, 병변 검출 능력 등의 전체적인 영상의 질을 점수화하여 5명의 점수를 평균화 하였다. ADC에서는 IMIV 기법을 적용한 경우 upper/lower spine segment 모두 3.8-4.8 사이의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rFOV25, rFOV50, rFOV100에서는 lower spine segment에서 1.2-2.0 사이의 낮은 점수를 받았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A에서는 IMIV 기법을 적용한 경우가 upper/lower spine segment에서 3.6-4.6 사이의 점수를 받았으며 rFOV25, rFOV50, rFOV100에서 1.4-1.8 사이의 점수를 받았다. 결 론 : 3.0T MRI Cervical spine 검사에서 small FOV DTI 사용 시 IMIV-DWEPI 기법을 사용한 DTI는 기존 DWEPI에 비해 긴 검사 시간을 가지고 있지만 motion artifact, distortion 등의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영상에서의 병변 검출 능력이 우수하므로 임상적 이용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13.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방암을 진단받고 수술 전 확산텐서영상에서 도출된 정량적 확산 지표인 비등방성 확산의 크기(FA)와 현성 확산계수(ADC) 값을 비교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보기로 하였다. 확산 그레디언트는 20방향(b-value, 0 및 1,000s/mm2)을 사용하여 정량적 확산 지표를 도출하였다. 정량적 분석은 피어슨의 상관분석, 정성적 분석은 급내 상관계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FAmin, FAmean, FAmax 평균값은 0.098 ± 0.065, 0.302 ± 0.142, 0.634 ± 0.236이고 ADCmin, ADCmean, ADCmax은 0.741 ± 0.403, 1.095 ± 0.394, 1.530 ± 0.447로 나타났다(p > 0.05). 병변 평가에서 Category 6이면서 시간대 신호 강도 그래프가 유실형(Pattern Ⅲ)의 경우는 FAmin, FAmean, FAmax 평균값은 0.132 ± 0.050, 0.418 ± 0.094, 0.770 ± 0.164이고 ADCmin, ADCmean, ADCmax는 0.753 ± 0.189, 1.120 ± 0.236, 1.615 ± 0.372로 나타났다. 정량적 분석 결과 ADCmean – FAmean, ADCmaximal – FAmax 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 = 0.001, 0.003). 정성적 분석 결과 내부 평가자의 경우 ADC 0.628(p = 0.001), FA 0.620(p = 0.001)이고, 외부 평가자의 경우 ADC 0.677(p = 0.001), FA 0.695(p = 0.0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형태학적 조직 검사를 바탕으로 동적 조영 검사에서 시간대 신호 강도 그래프는 유실(pattern Ⅲ: wash out) 형태이며, ADCmean 1.120 ± 0.236, FAmean값이 0.032 ± 0.142로 피어슨 상관분석의 결과 음의 상관관계(Y=1.44-1.12X)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간대 신호강도 그래프의 형태와 ADC와 FA의 상호관계를 파악한다면 유방암에서 악성 질환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리라 생각된다.
        14.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기공명 확산텐서영상(DTI)을 이용하여 연령대에 따른 정상 뇌량의 신경섬유로 영상을 정량적으로 분 석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뇌질환이나 다른 질병이 없는 건강한 지원자 6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검사 방법은 TR: 6650 ms, TE: 66 ms, FA: 90°, NEX: 2, thickness: 2 mm, no gap, FOV: 220 mm, b-value: 800 s/mm², sense factor: 2, acquisition matrix size: 2×2×2 mm3로 하였고, 검사시간은 3분 46초이었다. 평가방법은 영상범위를 두 개저부에서 두정부까지 포함하여 color-cored FA map을 만든 후 뇌량의 슬부, 전체부, 후체부, 이행부, 그리고 팽대부 등 5개의 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각각 트래킹을 하여 신경섬유로의 길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뇌 량의 슬부에 대한 신경섬유로 길이는 20대: 61.8±6.8, 30대: 63.9±3.8, 40대: 65.5±6.4, 50대: 57.8±6.0, 60대: 58.9±4.5, 70대 이상: 54.1±8.1 mm, 전체부에서는 20대: 54.8±8.8, 30대: 58.5±7.9, 40대: 54.8±7.8, 50대: 56.1±10.2, 60대: 48.5±6.2, 70대 이상: 48.6±8.3 mm, 후체부에서는 20대: 72.7±9.1, 30대: 61.6±9.1, 40대: 60.9±10.5, 50대: 61.4±11.7, 60대: 54.9±10.0, 70대 이상: 53.1±10.5 mm, 이행부에서는 20대: 71.5± 17.4, 30대: 74.1±14.9, 40대: 73.6±14.2, 50대: 66.3±12.9, 60대: 56.5±11.2, 70대 이상: 56.8±11.3 mm, 그리고 팽대부에서는 20대: 82.6±6.8, 30대: 86.9±6.4, 40대: 83.1±7.1, 50대: 81.5±7.4, 60대: 78.6±6.0, 70대 이상: 80.55±8.6 mm 이었다. 정상 뇌량에 대한 신경섬유로의 길이는 슬부(P=0.001)와 후체부(P=0.009), 그리고 이행부(P=0.01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대로는 30대와 40대까지 증가하다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뇌의 신경세포들이 중년의 나이에서 활발히 발달하고 있음을 신경 섬유로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