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2.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파의 이용 다변화를 위하여 껍질과 육질을 각각 100∼300℃의 조건에서 아임계수로 추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양파 껍질과 육질 모두 추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아임계수 추출물의 페놀 함량이 증가하였다. 양파 껍질 추출물은 250℃에서 quercetin, quercetin 3,4'-diglycoside, quercetin-3- glucosid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육질 추출물은 quercetin 3,4'-diglycoside 의 함량이 200℃에서 가 장 높았으나 quercetin 및 quercetin-3-glucoside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양파 껍질과 육질 추출물의 quercetin및 그 배당체 함량은 300℃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양파 껍질과 육질 모두 추출 온도가 증가할수록 아임계수 추출물들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을 향상시 켰다. 이상의 결과는 적절한 아임계수 조건이 양파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4,200원
        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추 논 비가림 재배시 피복 재료가 생육, 수량 및 dehydrogenase 활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충북 괴산군 농가포장에서 2012년부터 2013년까지 2년간 수행하였다. ‘독야청청(신젠타종묘)’ 품종을 사용하였으며, 멀칭용 피복 재료는 배색비닐, 흑색비닐, 생분해필름, 부직포 등 4처리를 하였다. 1. 피복 재료에 따른 고추의 초장, 주경장, 분지수, 엽장, 엽폭은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2. 고추 재배기간 지온은 오전 7시경에 가장 낮았고, 오후 5 ~ 6시경에 가장 높았다. 지온은 배색비닐, 흑색비닐, 생분해 필름, 부직포 순으로 높았다. 3. 생분해필름은 정식 후 60일부터 분해가 시작되었고, 정식 후 120일에는 80% 분해되었다. 4. 피복 재료에 따른 생과중과 건조중은 처리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5. ASTA 값은 생분해필름에서 44.6으로 가장 높았고, 배색필름, 흑색필름, 부직포 순으로 높았다. 6. 정식 후 120일의 dehydrogenase 활성은 생분해필름>부직포 >흑색필름 >배색필름 순으로 높았다. 7. 토양 biomass C 함량은 정식 후 80일보다 정식 후 120일에 더 높았다. 8. 피복 재료에 따른 역병, 진딧물류, 담배나방, 응애류, 총채벌레류, 담배가루이의 발생 양상은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고추 논 재배시 멀칭용 피복 재료에 따른 생육과 수량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생분해필름이 dehydrogenase 활성과 biomass C 함량이 높아 친환경적이고 필름 수거 노력이 필요하지 않아 노동력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생분해필름을 영농에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시점이며, 이러한 결과들은 관련 분야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ree amino acid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and the sensory quality attribute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 sauce using Hutgae (Hovenia dulcis Thunb) fruit, which is well-know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and alleviating various negative physiological effects following heavy consumption of alcoholic beverages. Soy sauces adding six types of extract from Hutgae fruit (HF) were prepared (SSH1: HF 20%, SSH2: HF 10%, SSH3: HF 20%/40 days NaCl extract, SSH4: HF 20%/20 days NaCl extract, SSH5: HF 20% water bath extract, SSH6: freeze-drying powder from HF 20% aqueous extract), compared with soy sauce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These soy sauces were used for determining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by NADH absorbance, the antioxidant effect by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by sensory scaling.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for most samples were in the range of 327.3 to 375.5 ㎎%, and then,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content of SSH1 and SSH5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hown to be the highest in SSH4, also SSH1, SSH5 and SSF6 were shown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was shown to be the highest in SSH5. In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intensity of roast smell was observed in SSH4 while sweet taste was shown to be the highest in SSH5, and SSH3 and SSH5 reveale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From these results, Hutgae fruit soy sauces demonstrated antioxidant activity and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In conclusion, soy sauces containing the water bath extract of Hutgae fruit may be used as a functional seasoning.
        4,000원
        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innamyl alcohol dehydrogenase (CAD) catalyzes cinnamyl aldehydes into cinnamyl alcohols, the final step in lignin biosynthesis. In this studied the purific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cinnamyl alcohol dehydrogenase gene isolated from Citrus platymamma hort. Ex Tanaka. We expressed CAD potential gene in E.coli and then characterized its features in variety of specificity aldehydes substrates. The recombinant CAD protein was shown highest efficiently catalytic toward cinnamyl and coniferyl aldehydes and the shown lowest efficiently catalytic toward sinapyl aldehydes. We used a new improved analytical HPLC method in CAD enzymatic assay for fast and accurately measurement in various aldehydes substrates. In conclusion, our studies indicated the enzymatic activity of cDNA cloned CAD protein from Citrus platymamma hort. Ex Tanaka.
        8.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raque-Dawley계 웅성흰쥐에 계통분획한 소엽의 각 분획물을 경구투여하고 혈청 Ethanol농도와 간의 ADH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색 추적한 결과 알코올대사를 촉진시키는 성분은 주로 에탄올가용부에, 억제시키는 성분은 에탄올불용부에 주로 존재함을 추정할 수 있었고 현재 활성성분을 분리중에 있다.
        9.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raque-Dawley계 응성흰쥐에 계통분획한 cornsilk의 각 분획물을 경구투여하고 혈청 Ethanol농도와 간의 Alcohol dehydrogenase활서에 미치는 효과를 검색 추적한 결과 알코올대사를 촉진시키는 성분은 주로 에탄올가용부에, 억제시키는 성분은 에탄올불용부에 주로 존재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