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 aureus is reported as a major cause of nosocomial infections after dental care and involved in endocarditis, bacteremia, osteomyelitis, peritonitis, and soft tissues etc.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and the diversity of toxin gene associated with the S. aureus expression in dental care patients with periodontitis directly for an effectiv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ntal diseases. Fifty four strains of S. aureus were isolated from the saliva of 12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periodontitis at dental clinics and hospitals located in Seoul. The distribution of the virulence gene and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strains were studied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isolated strains. The enterotoxin test showed Seb was the most frequent gene with 88.9%. The hemolysin gene of Hla, Hib and Hld were the most frequently gene with 98.1% (53 strains), leukocidins gene of lukM showed 90.7% (49 strains), and laminin binding protein gene of Eno showed 100% (54 strains), respectively. The diversity of the enterotoxin gen was held as Seb-Seg-Sei gene of 35.2% (19 strains), the diversity of hemolysin gene of Hla-Hlb-Hld gene was 98.1% (53 strains) and the diversity of leukocidins gene of LukD-LukM were 88.9% (48 strains), respectively. Patients with dental disease showed somehow high toxin gene expression so that S. aureus in dental care area is judged to show very highly pathogen with a high and infection rate. In the future, additional studies for these toxin genes seem to be required.
        4,000원
        2.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구 및 경북의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치과 감염관리의 인식과 실천도를 조사하였으며, 이전의 연구를 참조하여 수정 및 보완 후 설문 조사하였다. 근무지 유형에 따라 치과의원보다는 치과병원에서, 치과 감염관리 담당자 및 감염관리 교육의 프로그램의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이 나타났다. 또한 치과 감염관리의 인지도와 실천도는 근무지 유형에 따라 개인방어, 무균술식법, 방사선 장비를 포함한 치과 장비, 감염성 폐기물과 세탁물 관리에서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으며, 즉 치과 의원보다 치과병원이 감염관리 인지도 및 실천도가 높았다. 따라서 치과병원에서 감염 예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감염관리 및 감염관리의 정규 교육 및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치과의 특성을 반영하는 지표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이 빨리 도입 되어야 하며, 향후 치과의원(의원급 소형병원)에서의 감염 방지 및 평가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및 정부의 제도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