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정원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활동 디자이 너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조성 경력, 디자인 양식, 식재 이 용성, 정원 소재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최근 5년 활동 경력 보유 디자이너는 연 평균 1~4개소의 정원을 조성하며, 주로 공모전 및 초청 전시와 기업 및 공공기관 정원 조성에 참여 하고 있다. 정원 조성 시, 주변 생태, 경관 및 식재의 조화를 고려하여 주로 비정형식 디자인을 선호한다. 정원 내부 설치 구조물 보다는 식재 활용성이 약 74%, 교목 및 관목보다는 초본류 식재율이 약 39~55% 더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국 내 디자이너는 정원 내 교목, 관목, 초본류의 식재 비율을 평 균 2:5:9로 설정하며 저관리성 소재인 사초 및 양치류의 선 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 밀도의 경우, 정원 이용 목적 및 디자인에 따라 상이하지만 100m2 기준 평균 11~40 종을 활용하여 약 1,000~3,000본/주를 식재하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4,000원
        2.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워터프론트에 조성된 공원을 “워터프론트 공원”이라는 유형으로 특정하고 워터프론트 공원 이 다른 공원과 구분되는 특징 및 가치를 고찰한다. 그리고 뉴욕시에서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공사 완료 개장한 워터프론트 공원들의 분석 연구를 통해 최신 워터프론트 공원에서 두드러지는 설계적 특 징 및 경향을 종합한다. 최신 워터프론트 공원의 설계경향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수직적 구조의 제안 둘째, 배후도심과 공원구조의 유기적 연결을 통한 접근성 향상 셋째, 생태적 다양성의 증진과 원생경관의 회복 넷째, 기후 리질리언스 설계 도입 다섯째, 역사적 장소성 강조를 위한 역사 유산의 물리적 활용 마지막으로 자전거 전용도로와 공공 수상 교통을 위한 접안시설의 제공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 조성될 워터프론트 파크의 설계 및 계획을 위해 다음의 시사점을 제시 한다. 먼저 워터프론트 공원의 설계 및 조성 기법의 지속적 연구 둘째, 배후도심과의 워터프론트 공원의 강한 연계를 위한 행정적 지원 및 계획적 기획 세 번째, 워터프론트 공원을 통해 도시의 리질리언스를 증진할 수 있는 설계 연구의 필요성 마지막으로 개별적 워터프론트 공원의 조성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 닌 도시/지역적 스케일을 아우르는 상위계획의 확립이다.
        5,400원
        4.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현대정원의 조성 디자인 경향성을 확인하고자 우수 경 관 정원 80개소 대상으로 적용 양식 및 정원 식물을 조사하였 다. 조사 대상 80개소 정원 중 53.7%는 서울 및 수도권, 46.3%는 그 외 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또한, 관리 유형에 따 라 공동 정원, 상업시설 정원, 개인 정원으로 구분 되었으며, 각 62.5%, 21.3%, 16.2%로 나타났다. 19~20세기 해외 정원 사조에 따라 조성 양식은 12유형(정형식, 비정형식, 정형 및 비정형 복합식, 건축식, 자연, 신풍경, 뉴저먼 스타일, 모더니 즘, 프레리 스타일, 뉴웨이브 스타일, 낭만주의, 예술작품 정 원)으로 분류되었다. 우리나라 현대 정원은 단일 및 복합 양식 활용이 각 55.0%와 45.0%로 유사하였다. 주로 정형 및 비정 형 복합식 정원이 활용되는 반면, 정형 및 비정형 복합식 정원 대비 낭만주의, 모더니즘, 프레리 및 뉴웨이브 스타일 이용 빈 도는 0.02~0.06배 수준이었다. 조성 양식 활용에 따라 이용 되는 식물 소재 유형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특정 디자인에 서 식재 빈도가 높은 분류군을 확인했다.
        4,600원
        5.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field of 3H decontamination technology,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worldwid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2 afte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In particular, Japan ha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field of 3H processing technology, and it seems to have entered a mature stage in which the growth rate of patent applications is slightly reduced. In Japan, tritium is being decontaminated through the Semi-Pilot-class complex process (ROSATOM, Russia) using vacuum distillation and hydrogen isotope exchange reaction, and the Combined Electrolysis Catalytic Exchange (CECE, Kurion, U.S.) proces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handle the increasing number of HTOs every year, so the decision to release them to the sea has been made. Another commercial technology in foreign countries is the vapor phase catalyst exchange process (VPCE) in operation at the Darlington Nuclear Power Plant in Canada. This process is a case of applying tritium exchange technology using a catalyst in a high-temperature vapor state. The only commercially available tritium removal technology in Korea is the Wolseong Nuclear Power Plant’s Removal Facility (TRF). However, TRF is a process for removing HTO from D2O of pure water, so it is suitable only for heavy water with high tritium concentration, and is not suitable for seawater caused by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s serious accident, and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contaminated by environmental outflow of tritium. Until now, such as low-temperature decompression distillation method, water-hydrogen isotope exchange method, gas hydrate method, acid and alkali treatment method, adsorption method using inorganic adsorbent (zeolite, activated carbon), separator method using electrolysis, ion exchange adsorption method using ion exchange resin, etc. have been studied as leading technologies for tritium decontamination. However, any single technology alone has problems such as energy efficiency and processing capacity in processing tritium, and needs to be supplemented. Therefore, in this study, four core technologies with potential for development were selected to select the elemental technology field of pilot facilities for treating tritium, and specialized research teams from four universities are conducting technology development. It was verified that, although each process has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 tritium removal performance is up to 60% in the multi-stage zeolite membrane process, 30% in the metal oxide & electrochemical treatment process, 43% in the process using hydrophilic inorganic adsorbent, and 8% in the process using functional ion exchange resin. After that, in order to fuse with the pretreatment process technology for treating various water quality tritium contaminated water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the hybrid composite process was design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chnology. The first goal is to create a Pilot hybrid tritium removal facility with 70% tritium removal efficiency and a flow rate of 10 L/hr, and eventually develop a 100 L/hr flow tritium removal system with 80% tritium removal efficiency through performance improvement and scale-up. It is also considering technology for the postprocessing process in the future.
        6.
        202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비풀러렌 전자수용체 소재 개발로 태양전지 및 광검출기 등 유기광다이오드 분야의 상당한 진보를 나타내고 있 다. 비풀러렌 소재의 자유로운 구조 개질 가능성을 바탕으로 흡광대역 자유 제어가 가능한 장점으로, 기존 태양전지 에서 구현이 힘들었던 고성능 반투명 태양전지, 실내 저조도 태양전지, 파장선택적 광검출기 등 다양한 응용을 가능 하게 한다. 본 리뷰에서는 유기태양전지를 비롯한 유기광다이오드의 광활성층에 활용되는 유기반도체 소재의 최신 연 구동향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4,000원
        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축은 우리 실제 삶 가운데 존재하지만, 영화·게임 등의 가상세계 속 세상의 배경이 되어 다양한 모습으로 보여진다. 영화와 게임, 애니메이션의 공간 속에서 건축은 영화 미술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애니메이션과 게임 속 가상 세계의 스토리를 흥미롭고 현실감 있게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중요 기술 중 하나인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에도 건축은 현실 표현이자 창의적 가공을 통한 결정적 모티브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최근 게임 제작 분야의 3D모델링 게임제작에 건축전공자와 게임디자이너의 협업을 통한 시너지로 풍부한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의 가상세계 속 건축 디자인 사례를 분야별로 분석하고 최신 동향과 앞으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4,500원
        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design status according to the visual, structural, and non-visibl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 One-pyeong Garden Expo, Gyeonggi Garden Culture Expo, and the Seoul Garden Sh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exhibited at the garden expo and to present the initial study among the case studies conducted in the early stage of the domestic garden expo while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to other local governments that will oversee future garden expos. Visual characteristics included plantations, materials, and colors, whil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plane, entrance, moving path, and edge. Non-visible features included the subject and cost. Collectively, garden works used more artificial materials than natural materials. Depending on whether the garden was to be maintained, it was necessary to choose species that were easy to maintain and that met the conditions of growth. Floor materials mainly included crushed stone, soil cement, bark, granite slate, and volcanic stone. Structurally, most gardens contained formal planes, closed entrances, and closed-type boundaries. The circular and regression lines were often transformed into straight or curved lines. Garden themes differed depending on the theme of each garden exposition, but there were also many universal themes (e.g., “resting through the garden”). Costs had not yet been set for the garden exposition’s budget.
        4,300원
        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reas of fashion research and fashion design aesthetics & fashion history have been studied under a common research heading as a Humanities subject in the UK and the USA, and as Clothing and Textiles Studi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2004~2013 research tendencies in terms of reporting methods and contents from 181 world-renowned Fashion Theory research papers within the UK and USA fashion research corpus, and 359 Korean research papers from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related to fashion design aesthetics & costume history field. The subject areas, periods, methodologies, and differences in the topics of the studi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research authorship and length of the research papers, in Fashion Theory most papers were written by a single English-speaking or other foreign language-speaking author and were on average longer than 21 pages, while in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many papers were jointly written by two Korean researchers and were between 11 and 20 pages. Regarding the content, Fashion Theory was connected to relatively wide and diverse periodical and regional boundaries including the body, clothing, the fashion media, and the overall fashion system, while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revolved around the body and clothing, textiles, the fashion media, and costumes. In addition,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 studies appeared to be related to the current Western world overall or to the country of the author.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ology, Fashion Theory used divers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ologies, and research was conducted on topics relating to fashion culture or fashion aesthetics.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featured relatively more dynamic studies aimed at suggesting developments or solutions to problems. It was found that a large share of that research focused on detailed style analyses and suggestions for aspects such as design elements and design developments. Such differences are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 inherent differences between the academic departments for the Humanities, and the Human Ecology.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in setting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o assist the globalization of domestic research.
        4,900원
        10.
        201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몇 십년동안 전 세계적으로 제조기술 분야의 급속한 성장으로 대부분의 제조업에서 눈부실만한 품질향상과 생산성 극대화를 이루어 왔다. 하지만 현재 제조기술 분야는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실제 현장에서 관리하고자하는 품질특성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의 통계적 공정관리기술체계가 정규분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비정규 공정에서 극소불량관리, 미세변동관리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비정규 분포를 통계적으로만 해석하고 설계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으며, 경제적 설계의 접근방법이 또 하나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정규 공정에서 관리도의 경제적 설계를 위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11.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based on 58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The cases are analyzed in terms of location, size, building form, spatial organization, material, roof form, and the ceiling form of living room.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Most of the recent hanoks are built in rural area (91.4%), which shows the hanok is not accepted as an urban house type. Hanoks tend to be built in 2 stories whose 2nd floor is smaller than the 1st floor. (34.5%) The preferred size is total floor area of 99.2 ~ 165.2㎡ (62.0%), 3 rooms (46.6%) with a traditional ondol room (60.3%). The buildings with ㄱ-shape (43.1%) and linear-shape (27.6%) are preferred, and the compact plan type similar with apartment house appears (13.8%). In the roof design that greatly influences the appearance of building, the traditional design factors such as half-hipped roof (55.2%), double eaves (27.6%), and eaves curve tend to be sustained. In terms of spatial organization, most of recent hanoks have double-layed plan (74.2%). The living room mostly has separately defined space. (82.8%) The indoor and outdoor tend to be connected by a narrow wooden veranda (39.7%), while some cases don't have any wooden floor space (48.3%). The entrance is adopted as an important spatial element in front part of building (75.9%), and it influences the appearance of building. The living room, the counterpart of the wooden floor hall in traditional hanok, and kitchen tend to be interiorized. In terms of material, the cement roof tile and red clay brick are preferred. Consequently, the walls of recent hanoks have the image of brick structure rather than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traditonal hanok.
        4,900원
        1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design elements and fashion images of women's knitwear in collections of Paris, Milan, London and New York between 2003 and 2008, and examined knitwear trends in an effort to verify whether knitwear trends are repeated in certain cycles, whether they show complicated patterns in cycles and yet occur in quasi cycles, or whether they occur non-periodically in complicated forms of chaotic cycles. Trend cycle analysis results are deemed to identify the time series attribute of knit fashions. It also sought to categorize the attribute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knitwear trends with a view to determining relevancy between design element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predicting knitwear fashion trends and the progression of short-term knitwear trends.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According to design elements or fashion images, knitwear fashion trends occur in cycles, quasi cycles, non-periodical cycles. These cyclic characteristics can be used as scientific data for planning knitwear products. The study confirmed close relevancy between fashion images and fashion elements. It identified close relevancy between designs with similar fashion elements and images through coordinates by year and season, and it is possible to make short-term prediction of trend direction through the flow of coordinates. Time series data were insufficient,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perfectly verify chaos indices and giving limitations to this study. A study with more time series data will produce a more effective method of predicting and using knitwear fashion trends.
        4,900원
        13.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도육교의 목적과 의미는 매우 다양해 질 수 있다. 현대교량은 지역을 연결한다는 단순기능외에도 주위환경을 고려한 기능적 미적, 기술적 고려사항들을 담고 있다. 이러한 다각적인 교량의 역할을 가능하게 하는 설계개념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이들 다양한 설계개념을 교량에 반영하는 방식을 고찰하기 위하여 해외 창의적인 교량의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4,000원
        1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글 캘리그라피는 이제 우리의 생활 문화 전반에 자리 잡고 있는 대중적 용어가 되었다. 광고, 포스터, 책표지, 뿐만 아니라, 백화점이나 마트 등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들의 브랜드 네임에서도 쉽게 접할 수가 있다. 또한 디지털화 된 표현이 범람하고 있는 상황에 아날로그적 감성의 한글 캘리그라피가 더욱 신선하게 느껴지면서 다양한 분야로 그 영역이 확장되어가고 있다. 또한 전통 서예가 예술작품 시장을 주도하여 왔으나, 최근 한글 캘리그라피의 성장과 작가들의 작품 발표가 늘어남으로서 한글 캘리그라피의 표현 유형에 대한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업성과 예술성을 목적으로 하는 한글 캘리그라피를 중심으로 표현 동향과 활용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하여 작품 경향을 도출함으로서 캘리그라피 작가들의 작품 방향성과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해서 추출된 결과, 표현 형태에 따라 의미적 형상의 캘리그라피, 구성적 형상의 캘리그라피, 심미적 형상의 캘리그라피, 융합적 형상의 캘리그라피 등 4가지 형상의 표현으로 추출 할 수 있었다.
        15.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성장 단계에 있는 어린이는 스스로 선택하거나 판단하는데 있어서 아직 미성숙한 단계에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와 배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포장디자인에 있어서 그동안 연구되어온 각종 논문들을 중심으로 논제와 내용을 토대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서 어린이룰 위한 포장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소외되거나 부족한 연구는 어떤 부분인지 고찰하고 지향점과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어린이로 인식되는 4세부터 초등학생인 13세까지의 연령을 대상으로 한 포장디자인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논문정보를 기초로 하였으며 여기에 공개되지 않은 논문의 경우 해당 학회나 학교도서관 사이트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의 이론적 고찰에 의하였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살펴보고 2장에서 어린이의 특징과 어린이 소비자 시장에 대한 이론적 배경, 3장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으로서 선행연구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포장디자인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동향과 키워드를 추출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학위논문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연구 관심사와 영역이 단순 상품포장에서 점차 영역을 확대하면서 깊이 있는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소비자선호도 연구와 같이 구매심리나 소비자행태 등 연구 분야를 넓히고 있다. 학술지논문은 수가 적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여 연구동향의 변화 분석은 의미가 없었다. 논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연구가 미흡하거나 부족한 부분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표면디자인과 캐릭터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가 가장 미흡한 부분은 어린이보호포장, 정보전달 관련 부분, 환경 안전성 관련 연구이며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