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mmature stages of Ostrinia scapulalis (Lepidoptera: Crambidae), which is a main insect pest against legume crops, were investigated at constant temperatures to prepare fundamental data for integrated pest management. Egg, larva and pupa could survive at temperatures from 16oC to 36oC. Developmental periods of those stages became shorter with increasing temperature between 16 and 31oC, 16 and 36oC, and 16 and 34oC, respectively.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s and degree-days(DD) were determined as 13.0oC and 56.9DD, 13.8oC and 277.5DD, and 14.2oC and 90.8DD using a linear regression model between temperature and development rate. Other parameters for explaining development of this species were estimated using a few non-linear models for developmental rate, distribution, and survivorship.
        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densities of the bean bug, R. pedestris (Alydidae) and three Pentatomidae stinkbug species, Dolycoris baccarum, Nezera antennata and Halyomorpha halys in an experimental field in Suwon, 2018. Three pheromone traps for R. pedestris adults were installed at distances of more than 50 meters from soybean fields. The adults began to be caught from late March. Its mean number increased from early August, and reached a maximum at early September. The fluctuation aspects of adult number caught, however, were different among trapping sites. Soybean and mungbean were sowed at June 21, and all stages of stinkbugs were scouted from July 18 to late September through direct observation. Adults and eggs of R. pedestris were not observed during the vegetative stage of soybean, but observed first at the flowering stage, mainly early August, of reproductive st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R. pedestris adults invaded into soybean fields at the flowering stage, despite of inhabitation in the surrounding area during the pre-reproductive stage of soybean. Adults of only D. baccarum in Pentatomid stinkbugs were found at the vegetative stage of soybean. Densities of R. pedestris were compared between two mungbean cultivars, which those seeds have been known to be resistant and susceptible to feeding of the bean bug, respectively. The densities of the third and fifth instar nymphs were higher on the susceptible cultivar than on the resistant cultivar, but densities of egg, adult, and the first and second instar nymph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cultivars.
        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아지 조기 이유는 반추위 발달을 포함하여, 성장과 고기의 육질 형성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유 전 올바른 영양 관리 및 사료 급여에 대한 기초 기반 연구를 위하여 한우 송아지 이유용 사료 급여에 따른 반추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한우 송아지 총 17두를 공시축으로 하여 사료급여 체계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그룹 1은 분유, 농후사료를 급여하였고, 그룹 2는 분유, 농후사료, 조사료, 그룹 3은 분유, 농후사료, 전분, 그룹 4는 관행적인 대조구로 모유를 급여하였다. 그룹별 사료 섭취량은 그룹1, 2, 3 각각 0.9 kg/d, 0.88 kg/d, 0.87 kg/d였고, 그룹2에는 조사료 티모시 0.18kg/d를 추가적으로 급여하였다. 사료 에너지가는 그룹 1, 2, 3 공통적으로 DM 88%, CP 15%, TDN 68% 수준이고, 그룹 3은 전분 30%를 추가 공급하여 TDN 함량을 73%로 높였다. 어미젖을 포유한 후 2주령 후부터 10주령까지 8주간에 걸쳐 각 사료 체계에 따라 급여 후, 각 그룹으로부터 반추위를 적출하여 반추위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 하였다. 상피 세포의 성장과 관련이 있는 KRT4 유전자는 그룹 3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고, 각종 염증성 질환에 대한 면역 반응과 관련이 있는 BPIFA1 유전자는 그룹 1, 3에서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반추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CAT1 유전자는 조사료를 급여한 그룹 2에서 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송아지 조기 이유 및 양질의 조사료 급여는 반추위 발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이를 실험 결과를 통하여 유전자 발현 수준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4,900원
        6.
        201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erformance of spray vale using three nozzles has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Experimental apparatus is composed of the steam line and water line. Capacity 20kW electric heaters were used to produce the 1l0oC steam. The 300C water was produced using a water bath. Water outlet temperature is measured for each model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nozzle.
        4,000원
        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strinia zaguliaevi (Lepidoptera: Crambidae) causes serious damage to pods and stems of the red bean, Vigna angulari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reproductive developmental stage. The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studies of O. zaguliaevi were performed at several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7℃ to 36℃ in the laboratory, in the purpose of making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models in the future. Eggs and larvae of O. zaguliaevi could not develop at lower temperatures of 7~13℃.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developmental period of the immature stage decreased. The number of larval instar was variable from 5 to 8, depending on temperature. The minimum number of larval instar was observed at only 25℃. Some larvae of colonies maintained at 16~22℃ showed highly longer developmental period. At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s, 34℃ and 36℃, the larval developmental rates were not slowed down, and the larval survival rates was relatively high, above 60%. The egg mortality was relatively high at 36℃. Using these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data of O. zaguliaevi, preliminary linear regression equations were estimated to look for a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developmental rate in egg and larval stages.
        8.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ed markers of cell death could be found at particular developmental stages of normal porcine in vitro fertilization (IVF) embryos.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and induced apoptosis during preimplantation development stages of porcine IVF embryos. In experiment 1, to induce apoptosis of porcine IVF embryos, porcine IVF embryos at 22h post insemination were treated at different concentration of actinomycin D (0, 5, 50 and 500 ng/ml in NCSU medium). Treated embryos were incubated at in 5% , 5% for 8h, and then washed to NCSU medium and incubated until blastocyst (BL) stage. We examined cleavage rate at 2days and BL development rate at 7days after in vitro culture. A significantly lower rate of cleavage was found in the 500 ng/ml group compared to others (500 ng/ml vs. 0, 5, 50 ng/ml; 27.8 % vs. 50.0%, 41.2%, 35.9%), and BL formation rate in 500 ng/ml was lower than that of others (500 ng/ml vs. 0, 5, 50 ng/ml; 8.0% vs. 12.6%, 11.2%, 12.6%). In experiment 2, to evaluate apoptotic cells, we conducted TUNEL assay based on morphological assessment of nuclei and on detection of specific DNA degradation under fluorescence microscope. This result showed that apoptosis is a normal event during preimplantation development in control group (0 ng/ml actinomycin D). A high number of BL derived control group contained at least one apoptotic cell. Actinomycin D treated BLs responded to the presence of apoptotic inductor b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verage number of blastomeres and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apoptotic cell death. In 500 ng/ml group, the incidence of apoptosis increased at 4-cell stage and later. This result suggested that apoptosis is a process of normal embryonic development and actinomycin D is useful tool for the apoptosis study of porcine preimplantation embryos.
        4,000원
        10.
        200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sulin-like growth factor II (IGF2) and H19 genes are mutually imprinted genes which may be responsible for abnormalities in the cloned fetuses and offsprin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putative differentially methylated regions (DMRs) of porcine H19 locus and to explore its genomic imprinting in in vitro fertilized (IVF) and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red (SCNT) embryos. Based on mice genomic data, we identified DMRs on H19 and found porcine H19 DMRs that included three CTCF binding sites. Methylation patterns in IVF and SCNT embryos at the 2-, 4-, 8~16-cells and blastocyst stages were analyzed by BS (Bisulfite Sequencing)-PCR. The CpGs in CTCF1 was significantly unmethylated in the 2-cell stage IVF embryos. However, the 4- (29.1%) and 8~16-cell (68.2%) and blastocyst (48.2%) stages showed higher methylation levels (p<0.01). On the other hand, SCNT embryos were unmethylayted (0~2%) at all stages of development. The CpGs in CTCF2 showed almost unmethylation levels at the 2-, 4- and 8~16-cell and blastocyst stages of development in both IVF (0~14.1%) and SCNT (0~6.4%) embryos. At all stages of development, CTCF3 was unmethylated in IVF (0~17.3%) and SCNT (0~1.2%) embryos except at the blastocyst stage (54.5%) of IVF embryos. In conclusion, porcine SCNT embryos showed an aberrant methylation pattern comprised to IVF embryos.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aberrant methylation pattern of H19 loci may be a reason for increased abnormal fetus after embryo transfer of porcine SCNT embryos.
        4,000원
        1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veloped the guideline for the safety and health(S&H) file drawn by a client in construction plan stage.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of revised Occupational Safety Health Act(February 9, 2018), the construction client should make or manage the three S&H files in the plan, design, and work stages respectively. By analyzing S&H management systems led by the client and surveying the opinion of construction participators, the contents and practical method of the S&H file in the plan stage was proposed. Client should control hazard in construction site through the S&H file. And, it should include important S&H condition dealt with design and work stages as well as selection method of competent designer and contractors with S&H capacity.
        13.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at setting up the grading indicator standards on development stages for phasing the continuous development proces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fter referring to the proposed cases derived from the reference analysis, the development stages were classified. Also grading criteria of indicators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expert group checking. Development stages of rural village were stepped into 4-stages through the reviews and analysis of reference literature ; preparation-entry-development-advanced stage. Reasonable achievement level of each development stage was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necessary development period and benchmarking reference target together. On the basis of these clear stepwise development phases, the grading criteria were proposed for determination of the incumbent development stages.
        14.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두 '대석조생'의 생육단계별 수확시기 및 저온저장 온도에 따른 저온장해과 발생 양상과 품질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고자, 자두 '대석조생'을 60%, 80% 그리고 90% 이상의 착색율로 구분하여 수확한 후, 1, 4, 5, 그리고 에 최대 48일간 그리고 에서 3일간 숙성시키면서 호흡 변화, 품질 특성 및 저온 장해과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60% 착색기에 수확한 자두를 보다 낮은 저온에 저장하였을때 경도, 색도, 중량감소율과 적정산도의 유지
        17.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밀 품종의 조숙화와 온난한 겨울로 인하여 봄에 나타나는 저온장해가 최근에 자주 발생하는데 생육재생기 이후 발생하는 저온장해의 양상, 발생시기 및 증상을 구명하고자 자연조건과 저온항온기 그리고 포장의 비닐 피복을 이용한 저온처리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저온장해중 줄기 고사는 -2.4∼-10.2℃ , 퇴화, 백수, 탈색등은 -2.4∼-8.6℃ ,불임은 -1.3∼-7.6℃ 의 저온에서 6-39시간 지속될 때 발생하였는데 특히 자연포장에서 많이 나타나는 저온장해는 불임과 퇴화로, 이의 유발온도는 -2.5∼-3.0℃ 였다. 2. 보리, 밀 모두 수잉기에 불임이 많이 발생하였고 출수기, 영화분화기, 화기발육기 순으로 발생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백수는 출수 전후 10일에 주로 발생하였으며 발생정도는 출수후 10일>출수기>수잉기 순이었다. 3. 유수퇴화는 출수기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잉기, 화기발육기에도 많이 발생하였다. 부분희화도 수잉기에 많이 발생하였다. 포장에서는 영화분화기의 개체들에서도 많이 발생하였다. 4. 망 탈색은 주로 밀에서 발생하였는데 수잉기에 일부 발생하긴 했으나 출수기의 식물체에서 대부분이 발생하여 출수기에 주로 나타나는 장해라 할 수 있었다. 식물체 고사는 전 생육기에 걸쳐 발생하였고 가장 심한 피해는 출수기>수잉 >영화분화기>화기 발육기 순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저온장해 발생지표로 유수장, 제1절간장, 지엽-이삭간 거리가 유용하였다. 유수장이 밀에서는 망 탈색시 9.0-9.8cm, 이삭 탈색시 7.5cm, 백수발생시 5.7-9.4cm, 이삭 퇴화시 0.2-9.2cm, 줄기고사시 0.3-3.8cm로 나타났고 보리에서는 백수발생시 평균 3.4-7.0cm, 부분퇴화가 4.2-5.2cm, 퇴화가 0.4-5.4cm, 줄기 고사가 0.4-0.6cm로 차이를 보였다. 제1절간장은 보리, 밀 각각 0.3-8.4cm, 0.2-24.2cm로 신장정도에서 저온에 따른 변이를 보였고, 지엽-이삭간 거리도 보리 -2.5∼-7.4cm, 밀 -0.6-11.5cm로 신장정도에 차이가 컸다.
        18.
        198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육종상의 세대촉진 또는 생육기간 단축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1977~1978 2개년간에 수개의 조.만생품종을 공시하여 종실의 발달경과와 발아능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드음과 같다. 1. 90%이상의 건전한 발아률을 나타내는 등숙기는 조.만품종간에 격차가 컸는데 조생품종인 H-25와 서천백두는 개화후 20~25일에, 중생품종인 광교와 수원 93호는 30일에 그리고 만생품종인 힐콩 및 은대두는 개화후 35일부터 90%이상의 발아율을 보였다. 2. 생입중이 최고에 위하는 등숙기는 건립중이 최고에 달하는 생리적 성숙기보다 약 반순전의 시기이며 종실의 수분함량이 60%이내수준에서 급격하게 감소되기 시작되는 시기가 건립중이 최고에 달하는 시기와 일치되었다. 3. 등숙기간중 수획하여 생입 그대로. 그리고 꼬투리째 건조된 것과 꼬투리 없이 건조된 것 간의 발아율과 발아일수에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꼬투리째 건조한 것이 외형적인 종자로서의 품질이 낫고 생입보다 5~10일간 빨리 건전한 발아율을 보였다. 4. 생입이나 꼬투리 없이 건조된 것은 발아일수가 길어지는 결과로 발아억제물질이 관여되는 것으로 보였다. 5. 꼬투리째 건조한 것에 대한 정상 및 저온발아(10℃ )시험에서 힐콩과 수원 93호품종은 건전한 발아율을 나타내는 것이 10~15 일간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개화후 40~45일부터 정상적 포장발아능력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6. 포장발아능력을 나타내는 시기의 힐콩과 수원93호의 생입중과 건립중은 완숙된 종실중과 비교했을 때 생입중은 130~155%. 건립중은 40~50%수준일 때였으므로 이것으로 조생종인 서천백두의 포장발아능력을 나타내는 시기는 개화후 30일직전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7 이상의 포장발아능력을 완숙기와 고려할때 10~15일간은 빨리 수획해서 꼬투리째 건조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가 없었다. 전류에 미치는 차광의 영향은 주/야온도 20/10℃ 하에서는 거의 없었으나 30/20℃ 하에서는 차광도가 커질수록 심했다..3% 순으로 피복재배를 함으로써 평균 10.1% 정도 완숙협 비율이 높았다. 6. 등숙초기(파종 120일후)의 완숙협 비율은 Shinpung> Spanish > Virginia 소립> Valencia > Virginia 대립 순이었으며 완숙협이 현저하게 증가된 시기는 7월 29일∼9월 7일 사이였다. 7. 절위분지별 완숙협의 분포는 전체 완숙협의 63%를 자엽절 2분지가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3∼5절 분지에서 34%, 6절위분지 이상에서 3%로 자엽절 2분지의 비중이 특히 컸다.스 접종 8일 후의 중장원동세포내에서 A형 및 B형 봉입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0. FV감염 중장조직세포의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배상세포의 'cytoplasmic wall'이 비대해지고 그 내부에 virus-specific vesicle이 형성되었으며,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virus-specific vesicle, 바이러스 입자, linear structure, tubular structure 및 전자밀도가 높은 matrix 등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구조물이 배상세포의 세포질에서 관찰되었으며, microvilli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존재도 확정되었다. 특히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의 바이러스 입자 유사체가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 바이러스 조립이 일어나는 것을 추정된다. 한편 원통세포 내에서 봉입체 관찰되고, 변형소구화된 배상세포가 중장강으로 탈락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11. DNV감염 중장조직을 ac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