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2.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식사보조도구 적용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15세의 경직형 뇌성마비 남자 1명이었으며, 연구는 사례연구였다. 식사보조도구는 대상자의 신체기능 및 손기능을 평가한 후 작업치료사가 대상자에게 적합한 형태를 제작하여 적용하였다. 식사보조도구 적용 전과 후 대상자의 자가-섭식 기능의 변화는 일상생활평가도구인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FIM) 중 먹기(eating)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수행의 변화에 대한 만족도는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 항목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식사보조도구를 적용한 이후 FIM의 먹기 영역의 점수는 2점에서 5점으로 증가되었고, 만족도 점수는 2점에서 8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대상자의 신체기능 및 손기능을 고려하여 제작한 식사보조도구의 적용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201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등쪽 손목 스프린트(dorsal wrist splint) 적용이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만 8세 5개월 된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여자 아동이었으며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등쪽 손목 스프린트는 12주 동안 매일 하루 평균 4시간 동안 착용 하도록 하였고, 스프린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1시간씩 주 3회 환측 손으로 작업치료를 받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손 기능은 기초선 과정(5회)과 치료 과정(12회), 기초선 회귀 과정(3회) 동안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 Block Test)와 수직선 그리기 검사(Vertical Line Drawing Tes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손 기능은 기초선 기간보다 치료 기간 동안 향상되었으며 이 향상은 기초선 회귀 과정 동안에도 계속 지속되었다. 결론 : 등쪽 손목 스프린트는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의 환측 손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손목의 외부적 지지를 통해 손가락 움직임의 조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