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방부처리 없이 목재데크에 사용되는 수입 목재들의 자연내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진주 근교의 야외시험장에서 시행된 4년의 지상근접시험(Ground Proximity Test)을 통해 꾸마루, 말라스, 멀바우, 이페, 자토바의 목재부후균 및 흰개미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AWPA E7 방식에 의해 매년 2회 정기점검이 실시되었으며 야외노출시험이 종료된 후 목재 시편의 밀도 프로파일 측정을 통해 부위별 부후 정도가 조사되었 다. 다섯 수종 모두 평가 등급이 9.8 이상으로 목재부후균 및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시편의 경우 목구면 부근에서 밀도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지만, 대부분은 밀도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 수종이 방부처리 없이 국내 목재사용환경범주 H3 (실외 비접지 환경)에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000원
        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fatigue properties of press die steel, such as SKD11, and three high-durability die steel for the cold forming of ultra-high-strength steel sheets are evaluated. Specimens for fatigue, tensile, and hardness tests are manufactured through the heat treatment recommended by steelmakers and ultra-high precision processing. The general mechanical properties and fatigue properties are derived from hardness, tensile, and fatigue tests for four die steel. The tensile and fatigue properties of die steel derived through the test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tigue limit and the general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is analyzed, which allows relational expressions to be obtain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Finally, the study confirms that applying high-durability die steel is necessary for improving the die life in the manufacturing of press dies for ultra-high-strength steel sheets.
        4,000원
        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CH4/CO2 혼합가스에서 CO2 분리를 위해 세라믹 중공사 접촉막 모듈(HFMC)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 내구성의 HFMC를 제작하기 위해, 고강도의 중공사막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제조한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HFMC를 제작하였고, 실험은 CH4/CO2 혼합 기체(30% CO2, CH4 balance)와 monoethanolamine (MEA)를 사용하였다. HFMC 운전 중 기체와 흡수제의 압력이 CO2 제거 효율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였다. CO2 제거 효율은 기체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같이 상승하였으며, CO2 흡수 flux 또한 액체유량과 함께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CO2 흡수율이 40% 이하일 때 는 흡수제가 아래쪽에서 들어가는 향류형태인 LTS-1이 흡수제가 위쪽에서 들어가는 향류형태인 LTS-2보다 CO2 제거 성능 이 높았으며, 흡수율이 40% 이상일 때는 LTS-2가 LTS-1보다 성능이 높았다.
        4,000원
        7.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t of the expressway concrete pavements in Korea have been constructed with jointed plain concrete pavements. However, the premature failure of joints occurred on some routes and it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durability of concret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has been continuously devoting efforts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concrete, and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premature failure of jointed plain concrete pavement constructed recently has decreased. The durability of pavement concrete is determin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urrently, the durability of pavements concrete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quantity and the spacing factor of internal air.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evaluating concrete durability through absorption performance tests was examined. The absorption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applying ASTM C 1585 and modified NBN B 15-215 in Belgium and applied to the pavement concrete mixed in the laboratory or collected on site. Each test is a method to evaluate water absorption performance, but ASTM evaluates the absorption performance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NBN evaluates the absorption performance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specimens. In this study, the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pavement concrete measured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was compared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were examined through comparison of test results and procedures. As a result of the absorption performance test on the cores collected at the site, the amount of water absorption in the region where the few premature failure was occurred was relatively small. Also, the specimen of lower water cement ratio absorbed the smaller amount of water. And the small amount of aggregate at the surface showed tendency of the large absorption of the water. The amount of absorption due to the increment of air content showed a moderate increment but it was relatively small. This study ha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estimating the durability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absorption performance of concrete.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ten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test method to the evaluation criteria of pavement concrete.
        8.
        2018.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교면 포장이나 측구 시공에 적용한 건설재료들의 성능저하로 인해 유지보수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 실험을 통해 개질유황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기존의 고정형 팬믹서와 건 비빔 시 자전속도 변환이 가능한 가변형 팬믹서를 이용하여 내구성 평가 시험으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을 수 행하였다.
        3,000원
        1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posite material has the strong durability and light weight as inhomogeneous material. Nowadays, CFRP composite has been noticed as the light weight, high strength and long fatigue life. This study has been carried actively.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tensile strengths of CFRP, stainless steel are analyzed, and compared each other. In order to secure the data, the tensile specimens with notches of same size by using CFRP, and stainless steel are manufactured and experimented. When the forced displacement of about 11.5 mm proceeds in case of stainless steel specimen, the maximum load of 31000 N is shown simultaneously with the fracture of specimen. When the forced displacement of about 6 mm proceeds in case of CFRP specimen, the maximum load of 16000 N is shown. So, the structural safety becomes highest at CFRP specimen among these specimens. In this stud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s carried out in order to compare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verified that the experimental and analysis results are similarly shown each other.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the simulation analysis data with no experiments are trustworthy at using as the real tensile experimental data.
        4,000원
        14.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ternary blended concrete mixtures adding ultra fine admixture. METHODS : From the literature review, crack was considered as the main distress failure criterion on concrete bridge deck pavement. To reduce the initial crack development due to drying shrinkage, CSA expansion agent and shrink reduction agent were used to ternary blended concrete mixtures as a admixture. Laboratory tests including chloride ion penetration test, surface scaling test, rapid freeze & thaw resistance test, non restrained drying shrinkage and restrained drying shrinkage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urability of ternary blended concrete mixtures. RESULTS : Based on the test results, proposed mixtures were verified as high qualified durable materials. Expecially initial drying shrinkage crack was not occurred in ternary blended concrete mixtures with CSA expansion agent. CONCLUSIONS : It is concluded that the durability of proposed ternary blend concrete mixture was acceptable to apply for the concrete bridge deck pavement.
        4,000원
        1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노출형 신축이음장치는 주행 시 소음과 충격을 발생시켜 주행성을 떨어뜨리며, 많은 유지관리비가 소요되고 있다. 이에 미국과 유럽 등에서 적용되었던 매설형 신축이음장치인 Asphalt Plug Joint(APJ)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부 구조를 개량한, 새로운 매설형 신축이음장치 Buried Folding Lattice Joint(BFLJ)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매설형 신축이음장치의 상부포장 혼합물에 따른 내구성 및 신축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포장가속시험을 통해 실제 차량 하중에 대한 BFLJ 시스템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개발된 BFLJ 시스템은 기존 APJ 시스템에 비해 신축성능이 우수하며 접합부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시켰다. 또한 차량 하중에 의한 BFLJ 시스템의 표면 처짐이 크게 발생하지 않았으며, 신축이음장치 내의 하부 구조의 손상이 없었던 점에서 기존 APJ 시스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조기파손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4,300원
        18.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에서는 교면포장의 파손에 따른 교량 바닥판의 열화 및 운전자 안정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기존 아스팔트 재료는 교량에서 발생하는 열악한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교량 바닥판을 보호하고 상대적으로 큰 처짐에 대하여 장기간 견딜 수 있는, 피로저항성이 우수한 고내구성 교면포장 아스팔트 혼합물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SBS 첨가물과 첨가제를 사용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고 피로균열저항성이 뛰어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바인더를 개발하였다. 새로운 아스팔트 바인더는 회전점도시험 (RV test), 인화점시험 (Flash point test), 동적전단시험(DSR test), 저온빔시험(BBR test) 등을 통하여 PG 70-34의 공용등급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아스팔트 바인더를 사용한 혼합물의 공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피로시험, 휠트래킹시험, 수분손상시험 등을 실시하였으며 실물크기의 윤하중시험을 통하여 소성변형 저항성 및 피로균열 저항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내공용성 시험을 통하여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혼합물이 SBS 개질 혼합물에 비하여 3배 이상의 피로수명을 가졌다. 또한, 윤하중시험에서도 소성흐름이 발생하지 않았고, 피로균열은 250,000회 이상을 재하하여도 PG 64-22 혼합물의 38% 밖에 나타나지 않았다.
        4,300원
        19.
        2006.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방사성폐수지, 제올라이트, 가연성잡고체 혼합폐기물을 유리화하기 위해서 AG8W1 후보 유리와 가연성잡고체 단독으로 유리화하기 위하여 DG-2 후보유리가 개발되었다. 두 후보유리의 화학적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PCT와 VHT 침출시험이 수행되었다. 7일 PCT 침출시험 수행결과 AG8W1과 DG-2의 주요 원소별 침출률은 기준유리(benchmark glass SRL-EA) 보다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미국 Hanford 유리고화체 규제치 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20일 동안의 시험에서도 주요 원소인 B, Na, Si, Li가 SRL-EA 보다 낮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VHT 침출시험 수행결과 AG8W1, DG-2의 침출률(leach rate)은 각각 , 로써 미국 Hanford 규제치 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유리화 시설 상용운전 시 사용예정인 이들 후보유리들의 침출은 안정화되어 있었으며 화학적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0.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장에 설치 된 하수관거 내부 상태 평가를 위하여 CCTV 카메라 기반의 자주식 로봇차를 투입하여 촬영 및 녹화를 진행하였고, 장비 차량에 탑재된 TV를 통해 하수관거의 돌출부, 파손, 누수여부 등을 판단 할 수 있었다. 또 한 경사계와 스트레인게이지를 하수관거에 부착하여 관로의 이상침하 및 구배를 분석하고, 변형률 데이터를 취득 할 수 있는 자동화 계측시스템을 구성하여 현장 하수관거 장기 내구성 모니터링 평가 방법을 제시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