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orage characteristics of very early-maturing Italian ryegrass (IRG) three cultivars within September, 2021 to July, 2022 in Cheonan, Korea. We used three different cultivars of Italian ryegrass in this study “Greenfarm” “Greenfarm2ho” and “Greenfarm3ho” The results of heading date in this study, “Greenfarm” was recorded 3 days earlier than the other two cultivars, and its lodge tolerance score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However, in case of plant length,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whole cultivars, in addition disease resistance, insect resistance and cold tolera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ree cultivars. The forage productivity of “Greenfarm2ho” was recorded the highest, especially the 1st harvesting of “Greenfarm2ho” yielded significantly the highest and superior to other varieties. As a result of feed value analysis, three cultivars were generally superior to overseas varieties and in particular, “Greenfarm2ho” was recorded to have excellent value because of the lowest NDF and ADF cont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protein content among three varieties. In case of the monosaccharides content "Greenfarm3ho” had significantly higher glucose content than other two varieties, therefore the “Greenfarm” has advantage for preparing high quality of silage. In contra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varieties in fructose content.
        4,000원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벼 입모중 파종 후 벼 수확시기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극조생종 품종 ‘그린팜’ 의 생육특성 및 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해 중부지역에 위치한 천안에서 2011–2012, 2012–2013 및 2013–2014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1. 국내육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극조생종 ‘그린팜’을 3년 간 9월 하순에 파종 후 10일(처리 1), 20일(처리2) 및 30일(처리 3) 간격으로 3회에 나누어 벼를 수확해서 재배하였을 때, 벼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월동 전 분얼수, 초장, 월동율 및 건물수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월동 전 분얼수는 처리 1에 비해 처리 2 및 3의 평균이 각각 32% 및 5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벼 수확 지연에 따른 월동율의 경우 처리 1에 비해 처리 2 및 3은 두 처리구 모두 평균 8% 감소하였으며, 건물수량은 각각 평균 32% 및 52% 감소하였다. 4. 벼 입모중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 재배시험에서 출수기는 매년 다르게 나타났으며, 봄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수확 시 초장의 차이는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논에서 입모중 파종으로 극종생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 그린팜을 재배할 때는 파종 후 가능한 한 빨리 벼를 수확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방법임을 시사한다.
        4,000원
        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rvesting time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 in spring on dry matter (DM) yield. IRG cultivars ‘Kowinearly’ and ‘Greenfarm’ were seeded at 50 kg/ha and grown on rice paddy fields. There was no difference in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both varieties before winter. However, cold tolerance of Kowinearly was higher than that of Greenfarm, as demonstrated by post-wintering growth characteristics. The heading date of both varieties was affected by the spring weather. The IRG was harvested three times at 5-day intervals beginning from 9 May. The DM yield of Greenfarm was 6,306; 7,335; and 8,109 kg/ha, and that of Kowinearly was 7,498; 9,196; and 10,449 kg/ha at the three consecutive harvests. The delay of the harvesting time for 5 and 10 days increased the DM yield of Greenfarm by 16% and 29% and that of Kowinearly by 23% and 3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yield at first harvest (p < 0.05). Therefore, IRG harvest later than early to mid-May is expected to increase productivity. The feed values of Greenfarm were: 12.2% of crude protein (CP), 34.5% of acid detergent fiber (ADF), 57.7%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61.6%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nd 72.3% of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For Kowinearly, these values were 16.4% of CP, 30.4% of ADF, 52.7% of NDF, 64.9% of TDN and 79.0% of IVDMD.
        4,000원
        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극조생종 품종을 육성하 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 료과에서 수행되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그린팜 3호는 2배체 작물로 엽색은 녹색이며, 월동 전 초형은 반 직립형, 봄의 초형은 직립형이다. 그린팜 3호는 4월 27일경 에 출수하는 극조생종 품종이 또한, 그린팜 3호는 그린팜 보다 지엽폭이 0.5 mm가 좁고, 지엽 길이는 4.4 cm 길고, 출수기의 초장은 88 cm로 그린팜 보다 3 cm 정도 길다. 줄기 두께는 그린팜 보다 0.1 mm 굵고 이삭 길이는 그린 팜 보다 4 cm 길다. 그린팜 3호의 건물수량은 8,976 kg/ha 로서 그린팜과 대등하였다. 상대적 사료가치는 그린팜이 103.2인데 비해 그린팜 3호는 112.3으로 월등히 높고 in vitro 소화율이 70%, 가소화양분총량(TDN)이 64.1%로서 그린팜 보다 각각 2.9, 2.0% 높았고, 산성세제불용섬유 (ADF)와 중성세제불용섬유 (NDF)는 각각 31.47 및 53.3% 로서 그린팜 보다 각각 2.5% 및 3% 낮았다.
        4,000원
        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극조생종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수행되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그린팜 3호는 2배체 작물로 엽색은 녹색이며, 월동 전 초형은 반직립형, 봄의 초형은 직립형이다. 그린팜 3호는 4월 27일경에 출수하는 극조생종 품종이 또한, 그린팜 3호는 그린팜 보다 지엽폭이 0.5 mm가 좁고, 지엽 길이는 4.4 cm 길고, 출수기의 초장은 88 cm로 그린팜 보다 3 cm 정도 길다. 줄기 두께는 그린팜 보다 0.1 mm 굵고 이삭 길이는 그린팜 보다 4 cm 길다. 그린팜 3호의 건물수량은 8,976 kg/ha로서 그린팜과 대등하였다. 상대적 사료가치는 그린팜이 103.2인데 비해 그린팜 3호는 112.3으로 월등히 높고 in vitro 소화율이 70%, 가소화양분총량(TDN)이 64.1%로서 그린팜 보다 각각 2.9, 2.0% 높았고, 산성세제불용섬유 (ADF)와 중성세제불용섬유 (NDF)는 각각 31.47 및 53.3%로서 그린팜 보다 각각 2.5% 및 3% 낮았다.
        4,000원
        8.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극조생종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11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수행되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그린팜2호는 2배체 작물로 엽은 녹색이며, 월동 전 초형은 반직립형, 봄의 초형은 직립형이다. 그린팜 2호는 4월 28일경에출수하는 극조생종 품종이다. 또한, 그린팜 2호는 플로리다80 보다 지엽폭이 0.6 mm 넓고, 지엽의 길이가 1 cm 짧으며, 출수기의 초장은 94 cm로 플로리다 80 보다 1 cm 정도작다. 줄기 두께는 플로리다 80 보다 0.7 mm로 굵고 이삭길이는 플로리다 80 보다 2.2 cm 짧았다. 그린팜 2호의 건물수량은 11,452 kg/ha로서 플로리다 80과 대등하였다. 그린팜 2호의 상대적 사료가치는 플로리다 80이 97인데 비해그린팜 2호는 114로 월등히 높고 in vitro 소화율이 70.6%,가소화양분총량(TDN)이 63.9%로서 플로리다 80 보다 각각 1.6, 2.8% 높았고, 산성세제불용섬유(ADF)와 중성세제불용섬유(NDF)는 31.7 및 52.6%로서 플로리다 80 보다 각각 3.5% 및 6.4% 낮았다.
        4,000원
        9.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극조생종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10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수행되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그린팜'는 2배체 품종으로서 엽은 녹색이며, 월동 전 초형은 직립형이고, 봄의 초형은 반직립형이다. 또한 '그린팜'는 4월 28일경에 출수하는 극조생종 품종으로 '그린팜'은 'Florida 80' 보다 지엽폭이 0.4mm 넓고, 지엽의 길이가 0.8 cm 길었으며, 출수기에 초장은 93 cm로
        4,000원
        11.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get good productivity and high feed value of forage, we develop to new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Kogreen'.variety. In Suwon, heading date of 'Kogreen' was on May 3 but in Yonchun was on 8 May that was 2 day later than that of 'Florida 80' and dry matter yield is 12.7ton/㏊, and had a good cold tolerance.
        13.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조숙 내한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축산과학원 조사료자원과에서 수행되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코스피드'는 2배체 품종으로서 엽색은 녹색이며, 월동 전 초형은 반직립, 봄의 초형은 직립형이다. '코스피드'는 5월 1일경에 출수하는 조숙성 품종이다. 또한, '코스피드'는 'Florida 80' 보다 지엽의 폭이 0.2mm 넓고, 지엽의 길이가 1cm 길며, 출수기 초장은 85m로 'Flo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