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슬로라이프 에 기반을 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실제 적용 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ADDIE 교수체제개발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 쳐 체계적인 5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의 Y초등학교 교육군 130명을 대상으로 프로 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같은 소재의 J초등학교의 같은 학년 100명을 대조군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 여부를 평 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올바른 식생활의 주 체적인 실천을 도모하기 위하여 슬로라이프에 기반을 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아동 개인의 건강한 음식에 대한 인식 및 건강한 식생활 실천, 가정에서 의 가족식사를 통해 배려하고 감사하는 식생활 실천, 지역사 회의 농업의 중요성을 깨닫고 환경을 사랑하는 식생활 실천,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깨닫고 전통음식을 즐기는 식생활의 실 천을 목표로 그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아동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야기하기 활동, 시각적 자료 등을 이용한 이론 학습 활동, 식재료를 이용한 감각체험 활동, 조리·조 형 활동 등 체험활동 위주의 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에서 개발된 슬로라이프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활용 가능성여부 파악을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 램을 적용하였다. 2)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판정을 위하여 확장된 계획행동 이론(TPB)의 변수를 이용하여 교육군과 대조군의 교육 전· 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교육 전, 동질성 검증을 통해 지식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에 있어서 두 그룹은 유의적으로 다 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교육 후 교육군은 모든 계 획행동이론(TPB) 변수에 있어서 유의적 변화(p< .01)가 나타난 반면, 대조군은 지식 및 행동 의도에 있어서만 약간의 유의적 차이(p< .05)가 나타나 교육에 의한 효과를 증명할 수 있었다. 3)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 모형의 적합도 검정을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슬로라이프 식생활 실천 행동에 미 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행동 변화를 예측한 결과, 태도와 지 각된 행동통제, 행동 중요도 변수는 행동 의도의 선행 요인 이 되고, 지각된 행동통제와 행동 중요도, 행동 의도는 행동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식과 주관적 규범이 행동 의도의 독립 변수가 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교육의 목적이 지식 향상과 더불 어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임을 고려하였을 때 5주 간의 교육은 아동의 식생활 습관 전반에 걸쳐 행동의 변화 를 유도하기에는 짧은 기간으로 생각되어 연구의 한계를 나타낸다. 연구에서 보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의 행동 변 수의 변화는 일시적일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긍정적인 효과의 지속 여부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 추후 반복적인 교육 과 유사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확장된 개념의 계획행동이론 (TPB)을 적용하였으나 교육 내용과의 일치 및 변수에의 적용 등을 고려하여 검증되지 못한 측정도구를 사용한 데에 있어서 연구의 한계를 나타냈다. 추후 개발되는 식생활교육 프 로그램의 효과성을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 및 이론을 적용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연구에서 개발된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학교 고학년 아동의 식생활의 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으므로, 향후 초등학생 대상의 바람직한 식생활 함양을 위한 교육에 활용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특성과 지역의 특색을 고려한 다양한 맞춤형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활발한 개발과 적용을 통하여 아동의 발달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During the last decade, an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came to Korea mainly for getting jobs and following their spouses, and the Korean government attempted to introduce several policies and projects. Among those policies and projects, the bilingual teacher development program was launched for developing bilingual teachers to teach their cultures and languages to multicultural and general student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what multicultural im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a bilingual teacher development program wanted to obtain from the program, and possibly to suggest aiming at develop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future. Twelve pre-service bilingual teachers who were being trained in bilingual teacher development program participated in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survey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12 pre-service bilingual teachers fully understood their roles as bilingual teachers and they think they are prepared to carry out those roles through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practicum. However, after the practicum they recognized they need to deepen their knowledge on child psychology, counseling and material development. Next,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courses they took in the program would be helpful to work as a bilingual teacher. However, they demand more practicum in the training curriculum.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improving the current system of practicum in the bilingua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본 연구는 수형자가 주체적⋅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교육방법으로는 시청각교육과 그룹워크를 가미한 일본의 롤레터링 기법을 채택하였고, 총12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Z교도소 수형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제1기(12명)는 2015년 1월부터 4월까지, 그리고 제2기(13명)는 동년 5월부터 8월까지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교육 전후의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분노 그리고 충동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분석에는 SPSS ver.23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본 교육프로그램의 실시 후에 수형자의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은 향상되고 충동성은 저하되는 등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롤레터링 기법을 활용한 본 교육프로그램이 수형자의 수용생활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출소 후 재범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분노의 양상은 제1기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지만 제2기에서는 눈에 띄는 변화가 없었는데, 이것은 수형자의 형기, 죄명, 연령 등 그룹구성원의 속성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아유르베다 태교프로그램 적용과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태교프로그램은 임신부부 자신을 이해하고 태교와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건강한 태아를 돌보는데 있다. 임신은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불안을 동반한다. 이에 아유르베다 태교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임신부부의 신체 및 심리적 평온함을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 6월 10일부터 2015년 9월 27일까지 G시에 위치한 M센터에서 실험집단 임신부부 10명(남편: 5명, 아내: 5 명)과 통제집단 임신부부 10명(남편: 5명, 아내: 5명)의 총 20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총 10회기 로 자기진단 단계(1회기-2회기), 치유 단계(3회기-8회기), 통합의 단계(9회기-10회기)로 구분하였다. 태교프로그램은 먼저 체질을 구분하여 체질 유형에 따라 식이, 마사지, 호흡, 컬러, 만뜨라, 명상, 아스트롤로지 등의 요법을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18.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아유르베다 태교프로그램은 임신부부의 부부친밀감과 부모-태아 간에 긍정적인 애착관계의 효과가 있음을 밝혔으며, 임신부부의 친밀감 회복과 태교의 중요성을 시 사하고 있으며 아유르베다 태교프로그램은 임신부부의 심신을 돌아보고 부모됨의 의미있는 활동과 태아와 다양한 교감을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노인 대상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을 통하여 노인의 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원조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탐색적인 연구이다. 문헌연구 및 노인 대상 성교육 및 성상담 실천현장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노인 성교육 및 성상담에 대 한 인식을 묻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터뷰 결과를 근거로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노인복지회관에서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관찰하였고 참가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따라서 노인들이 갖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남녀 간의 성적 차이, 성 인식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대처하기 위해 사회복지적 요인 적용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더니 사회복지적 요인 적용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집단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노인의 성문제 해결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적 요인 적용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은 노인의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남녀 간의 성적 차이와 성 인식의 차이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에 있는 ‘K’ 중학교에서 자아존중감이 낮은 여학생 4명을 학교측에서 의뢰를 받아 2014년 6월부터 8월까지 총 9회기에 걸쳐 본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첫 회기를 시작하는 날, 프로그램 활동 전에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검사지를 통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종료일에 같은 검사지를 통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매 회기의 활동에 관하여 인터뷰 방식으로 학생들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 검사에서 사전검사 보다 사후검사가 통계적으로 점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본 프로그램 활동을 하면서 4명의 학생 모두에게 긍정적인 마음과 함께 서로 배려하는 모습과 자신을 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자신의 비전을 세우는데 있어서도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욕구와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진행될 수 있도록 연구하고 보급해야 할 것으로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시민정원사 수료생을 대상으로 가드닝교육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전체 교육만족도는 4.35점으로 중위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교육기관에 따라 교육장비 및 실습기자재의 수준, 교재수준의 적절성 등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요인분석 결과 교수설계·강사와 교육여건 등 2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교수설계·강사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고 특히, 전체 교육만족도 향상에 교수설계·강사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으로 심화·연계교육, 봉사시간축소, 실습시간확대 순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교육프로그램 이수자들이 가정 내 갈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부모교육프로그램 이수자의 전환적 배움은 무엇이며, 배움을 실천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은무엇인가였다. 연구대상은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자발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참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 참여자를 공개적으로 구해서 연구 참여자A와 연구 참여자B를 선정했다. 연구방법은 면담을 실시하고 녹음하여 녹취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첫째,원 가족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독특한 경험이 내가 부모역할을 하는데 영향을 준다. 둘째, 가족 내에서의 등의 원인이 ‘나’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셋째, 경청의 중요성과 성실한 ‘나’표현법의 효과를 알았다. 넷째,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역할의 이해가 필요하다. 다섯째, 배움으로 갈등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여섯째, 전환적 배움의 실천에 있어 한계도 있었는데, 이수자 스스로가 배운 대로 실천이 마음먹고 의도한대로 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상황이 방해하는 경우도 있고, 이수자가 필요한 순간에 자기감정 잘 조절하지 못하기도 하고, 부모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고, 교육형태가 대규모의 집단강의보다는 소규모 집단으로 다양한 시간에 진행되기를 원했고, 교육의 대상이 아버지와 조부모, 자녀도 함께 참여하는 교육으로 다양해지기를 원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교육프로그램은 만남-배움-성장-나눔의 기쁨과 부모로서 ‘배움’의 교육적 의의가 있고, 부모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가족 내에서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전환적 배움은 행복한 가족관계를 위한 대책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situation of ICT use in education in the Russian region, its reasons, and possible problems and solu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attempted purpose, analysis was done on thirteen individual and collaborative final presentations of 34 Russian (Sakha) trainees who attended the APEC e-Learning Training Program during 2007-2013 and Russian government project on ICT in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mentioned problem and need to the Russian education informatization was identified as a shortage of ICT equipment. The next two problems identified were the problem of the insufficiency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lack of teacher motivation in using ICT. Third, the implementation of ICT in Russian schools should become one of the important objectives of the region’s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school administration. Thus, Russian regional government officials, who are responsible for education, need training to implement better policie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s of ICT use in education. Also it’s important for them to learn the best foreign experience in using ICT in Education and adapt it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culture, geographical and other regional fea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nd analyze the trends in ICT in education informatization and the need for more scholarly research and dialogue done between Korea and Chile due to their similar ideals in furthering ICT in education in their respective economies. In result of this, 29 individual and team reports submitted by Chilean trainees in the APEC eLearning Trainee Program from 2006-2014 were analyzed. From this study, the results based on the reports were as follows. 1) The need for high quality teacher training programs created by the government and motivating the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se programs. 2) Implementation of more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tudent, teacher-expert,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grams. 3) Improving students’ aptitude in utilizing ICT, especially in education. 4) Due to the majority of the trainees’ coming from the teaching profession, more research is needed to be done by other stakeholders involved in education informatization, such as government officials, learners, and professors, in order to enhance the totality of this study.
본 연구는 고도(古都)육성사업 교육프로그램을 진행 중인 익산시를 중심으로 교육 참여자 의식과 만족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교육생을 중심으로 설문지 및 인터뷰 조사를 통해 향후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고도육성사업에 발전도움여부는 지역사회에 생업활동을 통해서 사실을 인지하고 참여자 대부분이 긍정적인 참여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육성 교육프로그램 관심분야는 역사문화인식, 고도문화가꾸기, 현장체험 등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이 나타났다.
교육 후 심화교육과정 필요 여부에서 대부분의 교육생들이 심화교육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교육 분야에는 문화유적관련 교육, 고도보존계획 및 육성사업, 전반적인 고도육성사업 등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고도보존사업의 이해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고려한 심화교육 통해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지역사회에 유입시키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해소하는 여건과 인식의 변화 프로그램 개발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판단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0-week dietary education on elementary students in an after-school program in Seoul. Participants were 20 1-2 grade students and 283-6 grade students, and the dietary program consisted of dietary education and activities focused on children’s levels of understand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otal participant’s food habit scores and nutrition knowledg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fter dietary education. Food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scores of lower grade participants (grade) increased desirably (p<0.05). Meanwhile higher grade participants’ (grade) food habit scores also changed (p<0.05), but their nutrition knowledge scores were changed. Boy’s food habit scores significantly changed (p<0.05), whereas girl’s food habit score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urther, female participants’ nutrition knowledge scores did not changesignificantly after education. Participants’ obesity knowledge scores significantly changed after the education (p<0.05), but their attitudes on obesity increased insignificantly. Lower grade participants’ attitudes on obesity significantly and desirably changed (p<0.05), whereas higher grade participants’ attitudes on obesity changed insignificantly. Girl’s knowledge and attitudes on obesity significantly and desirably changed (p<0.05-0.01). This study revealed the correlation between food habit scores and attitudes on obesity (p<0.01), demonstrating that participants with high food habit scores have advisable attitudes on obes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lower grade participants’ food habit scores,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s on obesity changed desirably after dietary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mote the development of adequate nutrition education and materials focused on lower grade students and the need for systematic and continuous dietar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elementary school.
This paper is an advanced work for the follow-up study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Utilizing German and French Commercial Movies'. Before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undergraduates utilizing movies as one of the most typical digital image media in modern times, we try to review theoretical the utilizability of digital image media and game contents as very efficient tools of inter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e breakthrough of digit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igital revolution leading to a paradigm shift in the history of mankind make the 21th century be call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ge'. The integrated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way based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a great effect on recognition way, recognition pattern and recognition process of contemporary people. In addition, it is also changing human recognition per se. First of all, digital image media have caused not only the remarkable change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but also a revolutionary change of educational field. The digital image media are thought of as one of the most efficient communication media which can satisfy optical desires of humankind and realize multilateral and sympathetic interchanges utilizing other sense organs. Therefore, the digital image media are anticipated to be a very efficient tool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rough this theoretical review we try to emphasize the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f intercultural education utilizing digital image media and game contents.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Braille Painting·Munja(Character) Paint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ulturally underprivileged people for the first half of 2013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provides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process how the visually challenged people experience and apprehend traditional art through the museum’s education program that focuses on Hyoje Munjado(character painting), traditional Korean folk painting. The <Braille Painting·Munja(Character) Painting> program helped the attendees with visual disability to learn about the folk painting, Hyoje Munjado, exhibited in the museum, and re-interpret and visualize the meaning of eight characters of Hyo Je Choong Shin Ye Ui Yeom Chi (filial piety, brotherly love, loyalty, sincerity, etiquette, fidelity, integrity, and shame) based on one’s unique experience, and create an art work of their own. This program was distinct as it allowed those with visual disability to learn about the ethics and culture of the Chosun society through the contents of Hyoje Munjado, while at the same time helped them experience the process of art creation by making an art work of one’s own. Hyoje Munjado is a special type of painting in which eight Chinese characters of Hyo Je Choong Shin Ye Ui Yeom Chi, the key ethical virtues of the Chosun society, were written and old sayings and figures are symbolized and drawn into the strokes in the eight Chinese characters. The ethical virtues expressed in the painting are still considered socially important and the program attendees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Hyoje Munjado reflected in their life and create their own munjado based on such contextual understanding. The program demonstrates how suitable a contextual understanding from constructivism perspective is i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of museums for the museum visitor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visually challenged. Furthermore, the program clearly indicates the effects of a constructivism education that creates a new meaning through a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experiences in the education for the visually challenged. Although the program started out of an exploration into how to enable those with visual disability experience art, it also appears to be effective in allowing people with rare access to art and history of art experience art in their daily life experience.
이 연구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중학교 2학년 168명을 대상으로 기술·가정교육의 필요성, 이해도, 흥미도, 참여도와 모둠협동학습에 의한 발표력, 리더십 향상도, 교육효과를 그리고, 융합교육과 융합교육의 효과에 대하여 사전 실태조사를 하여 기술·가정 교과수업에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수업형태를 조사하고 다른 교과와 연계시켜 지도함으로써 융합적 사고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인 자기주도적 학습 마인드를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 2006년 다문화 사회를 선포하고 여러 가지 다문화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다문화 사회는 인적 구성의 다양성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로, 다문화 사회에서 다양한 국적과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조화롭게 공존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사회의 주류인 일반 국민이 자기 자신과 자국 문화에 대한 확고한 정체감을 갖고 서로 다른 문화를 인정하고 타인에 대한 편견 없는 이해와 존중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어울림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에게 나+한국인+세계인의 올바른 문화정체성을 기르는데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자기탐색 프로그램 실시 후 학습자들의 올바른 자아정체성이 형성되었으며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이 증진되었다. 또 우리문화 알기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문화 정체성과 자긍심이 형성되었으며 다문화 알기 프로그램을 통해 인종․국적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 인권존중 의식과 다양한 문화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올바른 다문화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One of major education process flaws in the Lembaga Pendidikan Tenaga Kependidikan (LPTK) or Teacher Training Institute in Indonesia is portray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Pengalaman Lapangan (PPL) or Apprentice Program that has not optimally developed candidate’s proficiency to be competent teachers. Therefor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construct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practical teaching that can improve pedagogical competence as the ultimate goal to be achieved by future teacher candidates.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dergraduate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 conducting their PPL in Indonesi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Lampung University. Based on the analysis of Wilcoxon Signed Rank Test, on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95% (α = 0,05), the model produced from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and called theModel Pembelajaran Praktik Mengajar Reflektif (MP2MR) was verified to help improve students competence based on the following benefits,(a)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designs focused on standardized achievements (b) individual and contextual implementation of problem-solving based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c) priority to intrinsic evaluation.
As people make efforts on accident prevention, the number of accidents has decreased over the years, however the number of fatal major industry accidents has rather increased, whic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deaths in total. Under these conditions, there is an attempt to introduce and perform the safety vocational education system as a means for preventing major industry accident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se vocational educ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from the safety's point of view and suggest the efficient techniques measuring and managing each safety management. Proposed techniques show that the specification on safety determines weight through the managers of firms and each process is suggested by using SN ra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model for entrepreneurial career developm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development their entrepreneurship and handle the potential job crisis efficiently using the serious games as a instructional media. In order to development this model, I used three research methods that are contents analysis, expert group interview, usability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