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lant Empetrum nigrum, valued in the traditional system of medicine, is well known for its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the present work, the effect of removal of shoot apical meristem (SAM) on shoot proliferation was studied. It was observed that removal of SAM promoted shoot proliferation whereas intact tip resulted in higher survival percentage. Further, th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A on above was also studied. During root formation the effect of light quality after treatment with IBA was investigated. For rooting, continuous red light without IBA resulted in maximum rooting percentage. The above factors when taken into consideration during micropropagation of this endangered plant can result in healthier plantlets. The results show that the species could be successfully conserved by in vitro propagation system.
        3.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로미 열매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 활성과 간 손상 동물모델에서의 항산화 효소 활성 측정을 통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시로미 열매 추출물은 12.0 ug/ml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활성을 보였고, 1 mg/ml의 농도에서 56.1%의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CCl4로 유도한 간 손상 동물모델에서 serum ALT 및 AST의 수치를 감소시켜 간보호 효능을 나타내었고, 간 조직의 지질 과산화를 최대 73% 억제하였으며, 항산화 효소인 SOD 및 catalase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4.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라산의 대표적인 극지성 고산식물인 시로미의 현지내외 보존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증식체계를 마련하고 저지대에서 생장특성을 밝히고자 삽목조건 및 초기생육 특성 등을 알아보았다. 숙지삽시 식물호르몬의 처리나 상토의 조건에 따라 발근이나 생장 등이 다소 차이를 보였다. NAA 100 mg/l 또는 500 mg/l를 처리한 경우 생존율, 발근율 및 뿌리의 생장 등이 가장 양호할 뿐만 아니라 뿌리의 수도 많고 신초생장도 비교적 양호하여 시로미의 삽목증식을 위한 적정한 처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로미 삽목묘를 노지에 옮겨서 키웠을 때에는 2개월 후부터 고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7개월 후에는 26.7%가 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차광처리를 하면 고사율이 낮아 91.1~94.4%가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광처리가 시로미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온실에서는 차광처리에 관계없이 생존율이 전체적으로 95.6~97.8%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생육장소 및 차광처리별 시로미의 평균 생장량은 노지와 온실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특히, 차광처리를 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생장량을 보였는데 이는 차광처리가 상대습도를 높이고 광량을 낮추는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