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의 보전연구는 국가적 수준에서 식물다양성 유지를 위해 우선되어야 한다. 식물다양성 보전의 필요성에 따라 이들 분류군이 대상이 되는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비교하 고 평가할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부터 국내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항목과 연구의 방향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희귀식물 및 특산식물이 연구의 대상이 되는 전 세계적인 연구동향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특별히 한국에서의 연구동향을 수집하였다. 희귀 및 특산식물에 대한 연구 분야를 6개의 분야로 구분하였고 그 중 보전생태학의 분야는 ‘종 특성연구’, ‘개체군 연구’ 및 ‘생물학적 상호작용’의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다. 수집된 연구를 종합해 볼 때 보전생태학적 연구는 권역별 그리고 국가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보전생태학 연구는 권역별로는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국가별로는 일본과 미국에서 비율이 높았다. 반면에 한국은 기초생태학 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보전유전학, 복원생태학 순이었다. 한국에서 보전생태학 연구비율은 세계적인 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희귀식물과 특산식물 중에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과 같은 특정 분류군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보전유전학 및 복원생태학 연구의 비율이 높았다. 세계적인 연구동향, 특히 보전생태학적 연구를 선도하는 유럽 및 북아메리카와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 희귀 및 특산식물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서는 종 특성에 대한 정보 확보, 개체군 구조와 동태 그리고 식물과 식물, 동물과 식물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보전생태학적인 연구의 비율을 높이는 접근이 필요함 을 제안하였다.
        5,500원
        2.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 자생하는 삼수개미자리(Minuartia verna var. coreana)의 자생지 보존 및 신관상식물로서 원예 적 활용을 목적으로 자생지 식생조사 및 종자의 발아특성을 조사하였다. 삼수개미자리는 석회암지대가 오랜 시간에 걸쳐서 풍화된 모래 언덕에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생지 주변에는 총 60종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었다. 출현한 60종 중 에서 IUCN categoty 기준으로 EN(endangered) 종은 복사 앵도(Prunus choreiana), 솔붓꽃(Iris ruthenica), 동강할미꽃 (Pulsatilla tongkangensis) 3종이었고, VU(Vulnerable)은 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과 시호(Bupleurum komarovianum),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3종, LC(Least concerned)는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참배암차즈 기(Salvia chanryoenica), 금마타리(Patrinia saniculaefolia) 3종 이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삼수개미자리를 포함하여 복사앵도 (P. choreiana)와 덕우기름나물(Sillaphyton podagraria), 세잎승 마(C. heracleifolia var. bifida), 동강할미꽃(P. tongkangensis) 5종이었다. 삼수개미자리 종자는 완전히 발달된 배를 가지고 있었고, 20/10, 25/15℃에서 각각 53.7, 95.6%의 발아율이 나 타났다. 20/10℃에서 31일차에 41%가 발아하였기 때문에 약 60% 정도는 ‘conditional dormancy’를 가지고 있었다. 광조건 과 암조건에서 각각 90.6, 38.9%가 발아하였기 때문에 땅속에 매몰된 종자의 경우 ‘soil seed bank’를 형성할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4,000원
        3.
        202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rational management plan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by comprehensive analyzing the flora distributed in Yongchu valley, Changwon-si. The flora of Yongchu valley were summarized as 319 taxa including 93 families, 212 genera, 285 species, 3 subspecies, 6 forms and 25 varieties. The endemic plants were 5 taxa such as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Impatiens koreana, Lespedeza maritima, Thalictrum acteifolium and Weigela subsessilis. The rare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I. koreana, Prunus yedoensis and Magnolia kobu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8 taxa including I. koreana, Jeffersonia dubia., M. kobus and P. yedoensis which are class Ⅴ.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Solanum americanum, Aster pilosus, Crassocephalum crepidioides and Cerastium glomeratum and so forth and invasive alien plants among these plants was 1 taxa of A. pilosus.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8 taxa including Corydalis turtschaninovii of northern plant, I. koreana of endemic plant, and Meliosma myriantha of southern plant.
        4.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beliophyllum distichum is a monotypic taxon of Oleaceae and endemic to Korea. A comprehensive study on embryogeny and fruit and seed coat ontogeny in Abeliophyllum was carried out via microtome and light microscopy. The fertilization occurs during mid– to late April and embryo matures by early July. The embryo development follows the general fashion from globular embryo – transition embryo – heart shaped embryo – torpedo embryo – walking-stick embryo to mature embryo. The pericarp clearly differentiates into three histological zones: exocarp, mesocarp, and endocarp. The young seed comprises 10-12 cells thick seed coat and the mature seed coat comprises an exotesta, 6-8 mesotesta and an endotesta. Any crystals, phenolic-like compounds, idioblasts, and the sclereids are not found in pericarp as well as seed coat. An overall development confirms Solanade type of embryogenesis in Abeliophyllum. The endocarp becomes more prominent in mature fr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