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韓國에서 漢字와 漢文에 대한 교육이 국가 차원에서 일대 전환을 이루는 시기는 甲午改革 이후부터이다. 국가의 鄕校, 四學, 成均館 및 민간의 書院, 書堂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종래의 전통적 교육은 기본적으로 漢文 能力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근대적 학교 교육 체제가 추구하는 보통교육과 기술 및 직업 교육은 기본적으로 言文一致를 전제로 하는 國文 能力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甲午改革 이후 근대적 학교 교육 제도와 言文一致의 語文政策을 본격적으로 수립하고 추진해 나간 국가 기관은 學務衙門이다. 이 논문은 먼저 학무아문 官制에 나타나 있는 學務衙門의 管掌 사무 내용과 새로운 관리 임용 방식을 규정한 銓考局 條例의 주요 내용을 통해 전통적 교육 체제에서 근대적 학교 교육 체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漢文이 상대화되고 國文이 새롭게 등장하게 되는 배경을 살펴보고, 이어서 국가의 公式 文書 表記 규정인 公文式의 내용을 재검토함으로써 학무아문 이 추진한 語文政策의 성격과 그 의의를 재조명해보고자 한 것이다.
        4,900원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초기 계몽주의 이론가이자 작곡가였던 라모가 자신의 첫 음악비극 ≪이폴리트와 아리시≫의 프롤로그에서 이성과 감성으로 치환할 수 있는 디안과 라무르를 어떻게 음악적으로 처리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라모는 질서를 세우는 디안을 장조성(D, G, A)으로, 그리고 낭송적이고 화성적으로 작곡한 반면, 질서를 깨트리는 라무르를 단조성(b, f#)으로, 그리고 장식적이고 모방적으로 작곡하였다. 이러한 음악적 대비를 통해, 라모가 디안과 라무르를 음악적으로 대립시켰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라모의 이론을 통해 장조성의 디안을 단조성의 라무르보다 더 우월하게 여겼음을 추측하여 볼 수 있다. 그러나 라모는 디안(D)과 라무르(b)를 조성적으로 가깝게 설정함으로써, 두 신을 극렬하게 대비시키기보다는 조화롭게 바라보았다. 그리고 이는 계몽주의 시대의 이성과 감성을 바라본 시각이기도 했다.
        6,300원
        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연구는 개화기 분묘를 둘러싼 소송에 관한 것이다. 우선 분묘를 둘러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제의 제정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1900년 분묘소송에 관한 법제의 개정을 통해 전통법제에서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던 민·형사 구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895~1905년까지는 ≪大典會通≫의 분묘에 관한 규정들이 재판의 法源으로 적용되었던 것에 반해, 1905~1909년까지는 ≪刑法大全≫의 분묘에 관한 규정들이 재판의 法源으로 적용되었다. 특히 ≪刑法大全≫에서는 그 전시대의 법전과 달리, 양반이 아닌 평민들도 10보의 분묘한계 규정을 두었다. 그래서 개화기에는 양반이 아닌 평민들도 분묘에 관한 소송을 쉽게 제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聽訟期限 규정을 두어 20년이 지난 분묘소송은 수리하지 않았다. 그리고 분묘소송에 관한 재판 실무를 알아보기 위해, 『舊韓末 民事判決集』에 등장하는 200여건의 분묘에 관한 민사판결을 분석하였다. 이 판결들을 통해 분묘에 관한 소송이 발생하였을 때의 민사실무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첫째, 분묘 소송은 원토지소유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분묘를 만든 暗葬 혹은 勒葬의 경우에 시작되었다. 둘째, 분묘 관련 분쟁이 발생하면 당시 재판소의 판사들은 ≪大典會通≫ 및 ≪刑法大全≫의 규정을 충실히 적용하여 판결하였다. 셋째, 20년이 도과하면 더 이상 심리하지 않는다는 聽訟期限 규정은 분묘소송에서도 중요한 논거였다. 넷째, 분묘소송에서는 확정적인 법규범 이외에 앉아서도 서서도 안 보임(坐立具不現) , 情, 理 등 법원리 규범을 재판의 법원으로 원용하기도 하였다. 다섯째, 재판소에서는 당사자 간의 화해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기도 하였다.
        4.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presented attempts to analyze and categorize Chosun’s food ingredients and culture through a Western perspective based on 32 representative Western documents pertaining to old Korea. Before modernization, Westerners visited Chosun during their visits to old China or Japan. Westerners were most active in Chosun from the open port period to the annexation of Korea to Japan occupation. They were teachers, missionaries, diplomats, and doctors visiting Chosun with personal goals. In 31 book traveler’s journal, it records Chosen’s mainly produced ingredients, such as grains, spices, fruits, cabbage, chicken, and chestnuts; foods from Chosen include kimchi, soup, and tofu. Foreigners especially liked foods made of eggs and chicken, but they did not enjoy Chosun’s lack of sugar and dairy. Thirty-one book foreigners’ records describe Chosun’s Ondol, kitchen, crock, fermented foods, low dining tables, and chopsticks. Chosun people liked dog meat, unrestrained drinking culture, sungnyung, and tea culture. Foreign documentation on Chosun’s food culture allows modern scholars to learn about Chosun people’s lifestyles, as if their lives were a vivid picture
        5,400원
        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nvestigated changes in Joseon food culture mainly focusing on acceptance of Western food in the enlightenment period. Joseon intended to learn the advanced technology of the West. Through an exchange with various Western countries, the royal family and upper class of Joseon rapidly accepted foreign food and food culture. As hotels were built in Incheon and Seoul, foreign food became more widely provided, which spread to the public, accordingly, and Western style restaurants were built and spread to the Busan area besides Seoul. As Western food rapidly spread, concerns arose. Particularly, after an attempt to assassinate Gojong by inserting poison into his coffee in 1898, appeals were made concerning Western food “that should not be consumed, because it is not proper for Korean people's intestines and stomach”.
        4,300원
        6.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의 목적은,개화기 교과서들을 분석하고 그 교과서들에 나타난 한자 및 한자어 교육 방법이 어떠한 것인지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개항 이후 한자 교육 관련 변화가 많았다.개항 후 일본을 다녀온 이들은 일본의 근대식 교육 상황을 보고했다.1894년 과거제가 폐지되고 또 국문을 중시하는 어문 정책이 정해졌다.각종 시험에서도 국문이 중시되면서 한문의 위상이 낮아졌다.한자 교육을 효율적으로 해야 하는 여건이 되었다.이에 대처하기 위해 여러 교과서들이 한자 교육 변화를 시도하였다.한자의 교수-학습 방법을 친절하게 직접 제시한 교과서가 있다.ꡔ速成漢字課本(속성한자과본)ꡕ,ꡔ婦幼獨習ꡕ등이 그 예이다.편집과 구성을 통해 교수-학습 방식을 간접적으로 보인 교과서도 있다.선교사 J.S.Gale의 ꡔ牖蒙千字ꡕ시리즈가 대표적이다.한자의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한 교과서들이 있다.아학편과 같이 동일한 범주 안의 한자들을 묶어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성한 교과서들이 있다.ꡔ正蒙類語ꡕ가 그 예이다.개화기 한문 교과서들은 전통적 방식으로부터 탈피하려고 노력하였다.새로운 시도이긴 했으나 획기적이지는 못했다.하지만 변화된 여건에서 한자와 한문의 위상을 높이려 한 노력은 높이 평가해야 한다.
        6,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