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reatment of microbial infections requires a large use of antibiotics which is, partially, responsible for the appearance of resistant strains to antibiotics in dairy cows. However, many photochemical compounds, including the essential oils, are becoming interesting as potential source of natural bioactive molecule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tudied essential oils was evaluated by aromatogram and microdilution in medium liquid. The results show that the essential oil of Thymus fontanesii has the biggest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all the bacterial strains comparing with the Eucalyptus oil. However, the aqueous extracts of Thymus fontanesii and Eucalyptus indicate a moderat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effect on Escherichia coli strains. The most strong activity inhibitory was get with the essential oil of Eucalyptu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with CMI of 0.39 μl/ml for Staphylococcus aureus ATCC and 1.562 μl/ml for Staphylococcus aureus pathogen in comparison with the essential oil of Thymus fontanesii which is more active against the Escherichia coli strains. The aqueous extract of Eucalyptus showed the best CMI and CMB against the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in comparison with the aqueous extract of Thymus fontanesii. Comparative tests to the activity have been made with cefoxitin and gentamicin discs.
        4,000원
        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칼립투스(Eucalyptus pulverulenta) 잎에서 치료적 효과가 큰 α-pinene과 1,8-cineole 함량증가에 미치는 H2O2와 SA 처리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유칼립투스가지를 H2O2 수용액(0.3, 0.5, 1%)과 SA 수용액(0.1, 1mM)에 침지하거나 잎에 엽면살포(0.1mM SA, 1% H2O2)한 뒤 시간흐름(0, 0.5, 1, 2, 4시간)에 따른 α-pinene과 1,8-cineole의 함량변화를 분석한 결과, 침지처리에서 유칼립투스 잎의 α-pinene 함량(mg・L-1)은 0.1mM SA에 2시간 침지 후 1.62에서 5.48로 크게 증가하였으며(238.27%, p=0.012), 1,8-cineole 함량(mg・L-1)은 1mM SA에 4시간 침지 후 44.44에서 78.96으로 크게 증가하였다(77.66%, p=0.026). 살포처리에서는 0.1mM SA를 엽면살포 30분 후 α-pinene 함량(mg・L-1)은 1.62에서 3.91로(141.36%, p=0.007), 1,8-cineole 함량(mg・L-1)은 44.44에서 87.91로 증가하였다(97.82%, p=0.001). α-pinene과 1,8-cineole 모두 살포처리 30분 뒤 크게 증가하여, 엽면살포가 짧은 시간내에 방향화합물을 증가시키는데 침지처리보다 효과적이었으며, H2O2와 SA 처리는 α-pinene과 1,8-cineole의 함량증가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또한, SA의 처리가 H2O2보다 방향화합물 함량증가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유칼립투스 가지의 경우 원예치료 2시간 전에 0.1mM SA 용액에 담그거나 30분 전에 잎에 살포하면 monoterpene의 유칼립투스 함량이 크게 증가되었다.
        4,000원
        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icidal toxicities of the isolated constituent of Eucalyptus dives oil and its analogues were bioassayed. 3-Carvomenthenone was isolated by chromatographic techniques and determined by EI-MS, 13C-NMR,1H-NMR, 1H-1H COSY, and HMQC. In the fumigant bioassay against P. interpunctella, cyclohexenone exhibited the strongest insecticidal toxicity (LD50 against larvae and adults, 2.45 and 3.63 μg/cm3), followed by methylcyclohexenone, seudenone, and 3-carvomenthenone. In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between 3-carvomenthenone analogues and insecticidal toxicity, the mode of the insecticidal action of 3-carvomenthenone, cyclohexenone, methylcyclohexenone, and seudenone was through the dermal organs of T. castaneum and P. interpunctella. This study indicates that 3-carvomenthenone, cyclohexenone, methylcyclohexenone, and seudenone have potential capacity for the development as safety natural agents to control the stored grain insects.
        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의 절 지에 있어 CoCl2, CuSO4, 8-HQS, BA, kinetin, TDZ,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 등의 여러 가지 성분으 로 조성된 보존용액 처리가 절지수명, 생체중, 용액흡수 량 그리고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 행되었다. 보존용액에 첨가된 CoCl2, CuSO4, 8-HQS 그리고 BA에 있어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은 65mg • L−1 CoCl2 단용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A 단용 또 는 혼용처리에서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절지수명 또한 증류수만을 사용한 대조구 와 함께 65mg • L−1 CoCl2에서 7.1일로 높게 나타났다. 유 의차는 없었지만 엽록소 함량은 80mg • L−1 CuSO4 처리 에서 높았다. BA, kinetin, TDZ 그리고 sucrose에 있어 절지수명은 1% sucrose에서 13.5일로 가장 길게 나타났 으며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도 다른 처리에 비해 높게 나 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10mg • L−1 BA, 20mg • L−1 kinetin 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절지수명 연장에는 효과가 없 었다. 처리 농도에 따른 sucrose와 8-HQS의 단용 및 혼용 처리에 있어 3% sucrose + 8-HQS와 5% sucrose + 8-HQS 에서 높은 생체중을 보였고 용액흡수량은 1% sucrose + 8- HQS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절지수명은 1% sucrose 단 용 및 8-HQS와의 혼용처리에서 각각 11.8일과 11.2일로 높게 나타났다.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에 있어 생체중은 2%의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에서 높 았다. 절지수명은 sucrose 보다 1, 2% fructose 그리고 1% glucose에서 각각 15.7, 15.4, 15.1일로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여러 종류의 당은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의 절지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으 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 glucose와 fructose는 절지수명 연 장에 sucrose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ucalyptus pellita의 유엽을 재료로 효율적인 재분화 시스템을 확립시켰다. 부정줄기는 MS배지에 1.0㎎l-1 benzyl aminopurine(BA)과 1.0㎎l-1 naphthalene acetic acid (NAA)가 첨가된 배지의 유엽에 서 유도되었다. 그리고 절편의 종류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재분화 반응을 보였다. Auxin과 cytokinin이 혼합 첨가된 배지에서 엽병이 포함된 유엽의 잎 절편(LP)은 잎 끝이 포함된 유엽(LT)의 절편과 비교하여 더 높은 재분화율을 보여주었다. 줄기와 뿌리의 길이신장은 호르몬이 무첨가된 1/2 Woody Plant Medium(WPM)배지에서 이루어 졌다. 이렇게 유도된 식물체는 성공적으로 온실에 이식되었다.
        4,000원
        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E. pellita와 A. mangium 용기묘를 대상으로 시비 처리에 따른 광합성, 엽록소 형광반응, 엽록소 함량 등의 생리적 특성 및 생장 특성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열대림 두 수종에 대한 시설양묘과정에서의 최적 시비 조건을 구명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시비처리에 따른 E. pellita의 광합성 능력, 광화학 효율 및 엽록소 함량은 1g·l-1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2g·l-1에서는 과량 시비로 인한 생육저하 현상으로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 mangium은 2g·l-1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광합성 능력, 광화학 효율 및 엽록소 함량을 보이면서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우수한 능력을 나타냈다. 두 수종 모두 적정 시비 조건에서 높은 엽록소 함량과 광화학 효율에 의해 활발한 광합성 활동이 이루어졌다. 즉, 양분 조건에 따라 광합성 기구가 유동적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근원경과 간장 생장 및 물질생산량 또한 E. pellita는 1g·l-1, A. mangium은 2g·l-1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생리적 특성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H/D율과 T/R율은 시비 처리구가 무시비 처리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지만, 시비 처리 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묘목품질지수는 두 수종 모두 위 결과와 같이 수종별로 적정 시비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적정 시비 처리에 의해 생산 된 묘목 우수한 형질을 나타낸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열대 수종인 E. pellita와 A. mangium의 용기묘 양묘 시 시비 처리에 따른 양분 조건에 의한 생리 및 생장 특성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양분 부족은 광합성 기구의 활동 감소에 의한 생장 저하가 초래되어 불량한 묘목이 생산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즉, 양묘과정에서 수종별 양분 요구도에 맞는 생육환경조절은 시설양묘시업에 의한 건전한 묘목을 대량 생산함과 동시에 조림과정에서도 높은 활착과 생장으로 우수한 조림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률적인 시비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기간별 상대생장량을 조사하여 수종별 생장패턴에 따라 기간별로 양분 요구량에 맞는 집중, 효율적인 시비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띠라 양묘과정에서의 환경적 측면과 함께, 비용 측면에서 이점이 있어 경제적으로도 묘목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7.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pellent and acaricidal activities of eucalyptus oil, permethrin, and DEET against Leptotrombidium pallidum larvae, which are a vector transmitting tsutsugamushi disease, were evaluat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using a filter paper impregnated method. The LD₅₀ values of eucalyptus oil and DEET were 0.025 and 0.018 ㎎/㎠, respectively while that of permethrin was higher than 0.2 ㎎/㎠. In the repellency test of these materials at 6.14 ㎎/㎠, eucalyptus oil gave complete repellency, and the larvae crossed the treated zone killed. But permethrin showed 60% repellency at 9.20 ㎎/㎠ and the mites croosed the zone were not killed. The percent repellency of DEET at 0.53 ㎎/㎠ was 8.3 and 2.8 times higher than that of permethrin and eucalyptus oil, respectively. The acaricidal activities of emulsifiable concentrates-pump sprayers containing the eucalyptus oil as an active ingredient were assayed. The emulsifiable concentrates containing 1% and 3% eucalyptus oil showed weak mortality at 1 hour after treatment, while all ones containing more than 6% oil produced 100% activity against L. pallidum larvae. The mortality also increased as exposure time to the concentrates incre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tential of eucalyptus oil highly expected to be used as a control or repellent agent against L. pallidum larvae may be very high.
        4,000원
        8.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레몬 오일과 유칼립투스 오일은 노화방지, 살균작용과 같은 다양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정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항산화 효과는 아직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과 paper disc 방법을 이용하여 단일 오일들과 혼합오일의 항산화와 항균 활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레몬 오일은 높은 DPPH 소거능을 보였으나 유칼립투스 오일은 아주 약한 소거능을 보였다. 두 오일을 혼합한 경우에는 효과가 증대되지 않았다. Paper disc 기법을 이용한 항균 효과 시험에서는 두 오일 모두 Candida albicans (C. albicans)와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에서 항균력이 우수하며 농도의존적인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오일을 혼합 하였을 때 P. acne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상승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레몬 오일과 유칼립투스 오일의 혼합 오일은 천연성분으로서 균으로 야기된 문제성 피부나 여드름 피부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9.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eshly collected pollens from opened and unopened flowers of two genotypes (EG45 and 1361) of Eucalyptus grandis were desiccated in oven at 30˚C and over silica gel in desiccator for various times. It was found that E. grandis pollen has a requirement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