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방재정 365의 2021년 예산지출 자료를 바탕으로 지방자 치단체의 청년 대상 고용사업을 추출하여 OECD 통합사회지출(SOCX)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Active Labor Market Policy) 분류에 따라 재분 류,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세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IRB)의 승인을 받아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정책 담당 공무원과 전문가의 인터뷰를 진행하여 지방자치단체 청년고용정책의 현황에 대해 추가로 분 석하였다. 데이터 분석결과 정책 사업 수 측면에서는 창업 지원사업이 가장 많았으며, 예산 지출액 기준으로는 고용 보조사업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인터뷰를 통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청년고용정책의 실제 집행 현 황을 살펴본 결과 고용 보조사업은 당사자 집단의 참여를 통해 질적으로 나아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창업지원 사업의 경우 경 제적, 사회적 기반이 취약한 청년층이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지원 즉 사 무공간 제공, 주거공간 제공, 창업 인큐베이팅 교육 지원 등에 대한 청년 층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9,0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가공식품비 지출액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구 특성과 가구주 특성이 가공식품비 지출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토빗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총 13개의 가공식품 부류별로 분석함으로써 가구 특성과 가구주 특성이 월평균 1인당 지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가공식품 부류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시가구가 농촌가구보다 곡물가공품, 빵 및 떡류, 기타식품, 쥬스 및 기타음료류에 대해 더 많은 지출을 하는 반면, 수산가공품, 유지류, 과일 및 채소 가공품, 조미식품, 커피 및 차류에 대한 지출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경우, 2인 이상 가구보다 곡물가공품, 빵 및 떡류, 당류 및 과자류, 기타식품, 커피 및 차류, 쥬스 및 기타음료류에 높은 지출액을 보였지만, 육류가공품, 유지류, 과일 및 채소가공품, 조미식품에는 낮은 지출액을 보였다. 또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대부분의 가공식품 지출액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가구의 경우 그렇지 않은 가구와 비교해 많은 부류에서 지출액이 높았다. 남성 가구주인 경우 곡물 및 육류가공품, 기타식품, 커피 및 차, 쥬스 및 음료에 대한 지출액이 여성 가구주일 때보다 높았다. 우리는 가공식품 지출액이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크게 달라짐을 보였다. 또한, 가공식품 부류에 따라 그 영향의 정도뿐 아니라 방향도 크게 차이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는 식품제조업계와 유통업계가 가구와 가구주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더욱이, 정책 입안자들은 식품 부류를 충분히 고려하여 식품산업 정책과 식생활 정책을 설계하길 기대한다.
        4,800원
        3.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경영, 재무활동들 중 해외 교차상장(cross-listing)이 국내기업의 비효율적 자본지출을 개선할 수 있는지 검증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해외 교차상장과 관련한 내생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교차상장을 한 기업(교차상장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비교차상장 기업)을 선정하고 이중차분법(Difference-in- Differences Analysis)을 활용하여 두 그룹의 비효율적 자본지출과 기타 주요 재무지표들을 분석하였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교차상장기업은 교차상장이 된 후 비교차상장기업에 비해 총자본지출과 비효율적 자본지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차상장기업의 성장성과 효율적 투자지표인 Tobin’s Q와 R&D 투자지출 모두 비교차상장기업 대비 증가하여 교차상장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교차상장기 업의 수익성은 교차상장 이후 비교차상장기업 대비 하락하였는데 이는 교차상장을 위한 실적 부풀리기 등의 영향 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해외 교차상장이 한국기업의 비효율적 자본지출과 여러 재무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기업의 교차상장은 시장과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여 대리인문제, 정보불균형 등으로 인한 문제들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보다 엄격한 해외상장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기업지배구조 또한 개선되는 효과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6,400원
        4.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연구개발지출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경영자 나이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현재 경영자의 나이와 교체된 경영자의 나이 두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우선 현재 경영자의 나이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지출과 기업가치의 양(+)의 관련성은 경영자의 나이가 많은 기업이 다른 기업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경영자의 나이가 젊은 기업은 다른 기업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나이가 많은 경영자는 보수적인 성향이 있어, 의사결정 시 정보를 더욱 수집하거나 신중하게 연구개발 투자를 결정하며, 풍부한 경험 으로 체계적인 투자의사 결정을 하므로 투자 성과가 더 높을 것으로 기대함을 시사하고 있다. 반면 젊은 경영자는 남은 경력 기간을 고려하여 노동시장에서 자기 능력을 평가받기 위하여 위험한 투자안을 선택하여, 젊은 경영자가 결정한 연구개발지출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위험도를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교체된 경영자의 나이가 연구개발지출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영자의 교체는 연구개발지출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양(+)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었는데, 여기서 젊은 경영자로 교체된 경우, 다른 기업에 비 하여 이 양의 관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젊은 경영자의 경우와 일치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런데 표본을 대규모 기업집단과 비대규모 기업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대규모 기업집단에서는 교체된 경영자의 나이가 연구개발지출과 기업가치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오직 비대규모 기업집단에서만 교체된 경영자의 나이가 젊을수록 부(-)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규모 기업집단에서는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있어 총수의 영향력과 더불어 업무에 대한 분권화와 의사결정의 체계화를 통하여 그룹 내에 상호견제와 지원이 자율적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기업의 연구개발지출 성과가 경영 자의 교체나 교체된 경영자의 나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지 않도록, 연구개발 관리와 성과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교체된 경영자의 나이에 따라 연구개발지출과 기업가치와의 관계가 달라지는 것은 비대규모 기업집단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규모 기업집단은 경영자의 교체나 교체된 경영자의 나이와 무관하게 연구개발성과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8,100원
        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consumption expenditure by considering potential expenditure factors such as socioeconomic, fishing village tourism behavior, motivation for visits, and optional attributes of tourists at Muchangpo webfoot octopus and finespotted flounder festival in Boryeong. The analysis data are 300 questionnaires of visitors to the festival during the 2018 Muchangpo Mysterious Sea Road Webfoot Octopus and Finespotted Flounder Festival from March 17 to April 8, 201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consumption expenditure of tourists to the festival in Boryeong,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gender and residential groups outside Chungcheong-d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onsumption expenditure. Among the factors of fishing village tourism behavior, the only number of days of stay more than one night has a positive (+) effect on consumption expenditure. In addition, in the analysis of factors for motivation to visit the festival, fun/interest and simple rest/leisur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xpenditure whereas stress relief have a negative (-) effect on expenditure. In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tourism faciliti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xpenditure, but natural scenery and excellent natural scenery show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expenditure. The main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uggests that the promotion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outside of Chungcheong Province in order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from the Muchangpo webfoot octopus and finespotted flounder festival. Second, it indicates that there should be a variety of unique high-quality festival programs differentiated from other local festivals, promoting the existence of simple rest/leisure facilities rather than webfoot octopus boat fishing experiences or natural scenery (i.e., mysterious road and sunset) in order to attract festival tourists' spending at the Muchangpo webfoot octopus and finespotted flounder festival.
        4,200원
        7.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expenditures and perceptions of popular brands by children and mothers in the United States. Findings how that magazine advertising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rand affinity scores to children and mothers while other advertising, such as electronic advertising and other print advertising, have negative or in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rand affinity score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exposure times through product/brand placement and brand affinity scores reveals a similar pattern. Product placement does not cause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rand affinity scores for either children or mothers.
        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sidered the whole intake patterns and realities of consumption of instant noodles on sales targe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a total of 1021 subjects, data from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comparativ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chi-square,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reference levels for instant noodles by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5.25, thereby showing a more than moderate preference. Middle school boy students' preference for instant noodles was the highest. The main reason for preferring instant noodles was taste and convenience. The main reason for disliking instant noodles was poor nutrition and likelihood of becoming fat. The intake of instant noodles was the highest between lunch and dinner with a frequency of once to twice per week. Content of soup powder given taking instant noodles was the largest in having putted all. The soup quantity of being left given taking instant noodles was possessed the majority in almost not eating soup. The main reason for not consuming soup was being full or concerns for health.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reference level for instant noodles and in intake patterns depending on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4,000원
        10.
        202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in factors that affected the government health expenditures in Gulf Cooperation Council (GCC) countries (Kingdom of Saudi Arabia (KSA), United Arab Emirates (UAE), Oman, Qatar, Bahrain and Kuwait), during the period from 2005 to 2019. The study employs a panel data technique in order to monitor the pooled determinant variables of healthcare expenditures in these countries. The study’s results indicate, by using FMOLS approach for panel data, that the average healthcare expenditures per capita in GCC countries have a positive a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revenues, the size of the population, and the governments’ public debt. The positive an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of governments’ public debt may be explained even if the governments of the GCC countries suffer from a budget deficit; the GCC countries continue to increase the healthcare expenditure. The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ymakers of the GCC countries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those variables when they develop their healthcare policies. Also, the GCC countries urgently need to have high levels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to maintain the expected level of spending on the healthcare sector, because their public revenues depend mainly on the oil revenues, which are fluctuating continuous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