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FTA tariff elimination on the export prices for Norwegian fresh and chilled salmon, of which Korean impor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since the Korea-EFTA FTA implementation. Korea's fresh and chilled salmon market is almost monopolized by Norway, and Korea's price level is higher than other countries, so it is highly likely that price discrimination occurs. This study theoretically explained that exporters could adjust their prices by market power when tariffs are eliminated in imperfectly competitive markets. And the empirical analysis provided evidence that the exporters have made price adjustments since the FTA took effect, and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the relative price comparison with trade statistics and Nasdaq Salmon Index.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 welfare in Korean salmon market, it is required to transform the monopolistic market structure into a competitive one.
        4,300원
        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12년 초까지 최저 수출가격제 도가 베트남의 쌀 수출시장과 베트남 국내시장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였다. 그동안 베트남의 쌀 관련 수출정책은 베트남 국내뿐만 아니라 수출시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이에 대한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2001년부터 시행 된 최저 수출가격제도는 베트남의 식량안보와 자국 내 가격 안정 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컸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거 의 없었다. 이 논문은 베트남의 쌀 관련 수출정책, 그 가운데에 서도 최저 수출가격제도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 논문에서는 베트남 주요 쌀 생산 지역의 쌀 가격과 월 별 쌀 수출가격, 수출량과 최저수출가격을 비교하고 실증 분 석을 통해 베트남 쌀시장의 최저수출가격제도의 정책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저 수출가격제도는 수출 물량을 제 한하고 국내 공급 물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국내시장 가격을 안 정시키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계 쌀 가격이 크게 폭등하던 2008년에 베트남 국내 가격을 안정시키는 데 가장 효과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정책을 통해 베트남 정부는 국제 쌀 가격이 폭등하던 시기에 자국 내 소비자를 보 호할 수 있었다. 최저 수출가격제도로 인한 쌀 수출 감소와 사회후생 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출가격을 낮게 유지함으로써 소비자는 일부 혜 택을 보지만, 생산자의 후생은 크게 감소하여, 사회 전체적인 후생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 수출가격제도를 유지 함으로써 나타나는 경제적 손실이 있음에도, 베트남 정부가 최 저 수출가격제도를 유지하려고 하는 것은 정치적인 이유 때문 으로 보인다. 베트남의 1인당 국민소득은 2012년 기준 1,500 달러에 미치지 못한다. 그만큼 사회적으로 취약계층이 많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손해가 있더라도, 자국 내 소비자를 일정 정도 보호하기 위한 목적 때문에 최저 수출가격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 베트남의 쌀 수출에 대한 국제 수요 변화를 예 측하기 위한 구체적인 모델을 설정하지 않았다. 즉, 베트남 국 내시장 및 수출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엄밀히 분석하기 위해서 는 구체적인 수요 및 공급함수를 추정해야 한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자료의 한계로 인해 구체적인 함수를 추정하지 않 고 다양한 탄성치를 가정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는 이 연 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로 향후 자료가 확보된다면, 좀더 엄밀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베트남이 운영하고 있는 최 저 수출가격제도의 효과를 이해하는 데는 큰 무리가 없을 것 으로 판단된다. 최저 수출 가격 제도는 국내 가격을 안정시키는 효과도 있 지만, 농가 소득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생산자와 유통업자, 수출업자 사이의 이익 분배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대한 연 구도 최저 수출가격제도의 효과를 분석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 요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연구상의 제약으로 이에 대한 분석 은 포함하지 않았다.
        4,300원
        4.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amines how Japanese exporters were able to retain their market shares in Korea when the yen appreciated sharply beginning from 1985. The limited decrease in Japan`s share resulted from (1) an opportunistic share-holding pricing strategy of Japanese exporters: they reduced yen prices even further to retain their shares in cases where they were otherwise likely to lose large shares, and (2) inelastic Korean demand. This study focuses on the pricing behavior of Japanese exporters, using Korean import data and information from field interviews. Some factors enabled Japanese exporters to reduce yen prices. Yen costs of imported inputs for Japan`s exports fell, and Japanese exporters squeezed profit margins that existed before the yen appreciated. Some of them even subsidized price reductions with part of the windfall profits that they realized at home because they did not pass on the decrease in cost of imported inputs to domestic consumers. Subsidized price reductions, accompanied by cost reduction efforts, were a long-term strategy of preempting the entry of competitors since cost reduction required time. If the yen appreciates further, Japanese exporters are likely to substitute imported inputs for Japanese domestic value-added or shift to foreign production while reducing yen prices to defend their markets. This paper uses data from the author`s doctoral dissertation at the Harvard Business School, “The Appreciation of the Yen and Japan`s Exports to Korea.”The author received valuable comments from Louis T. Wells, Jr., Alice H. Amsden, and Benjamin-Gomes Casseres,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Harvard Business School`s Division of Research for the dissertation.
        6,000원
        5.
        2022.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pplies the Johansen cointegration test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to investigate the long-run equilibrium and short-run causality between China Export Containerized Freight Index (CCFI) and China Newbuilding Containership Price index (CNCPI).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long-run cointeg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the long run, an increase in CCFI will drive growth in CNCPI, and similarly, an increase in CNCPI will also drive growth in CCFI. However, in the short term, they have no causal relationship. Our study provides a new perspective for policy making in China’s shipbuilding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