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valuate the effect of spermatozoa culture on glycosidase activity of frozen-thawed spermatozoa in human, the spermatozoa were treated experimentally and assayed for activities of α-L-fucosidase, α-D-mannosidase, β-D-galactosidase and N-acetyl-β-D-glucosaminidase (β-GlcNAc’ase). The β-GlcNAc’ase activity was at least two-folds higher than other glycosidases regardless of spermatozoa incubation (p<0.05). The spermatozoa motility was decreased with incubation periods, but no effects by different glycosidases on the changes of spermatozoa motility during the various periods of incubation. In all glycosidases, the spermatozoa-zona binding rates in spermatozoa without incubation were higher than in spermatozoa incubated for 2 h (p<0.05). β-GlcNAc’ase is present mainly in the plasma membrane of spermatozoa frozen-thawed in human. It was also shown that the glycosidase activity was increased in all glycosidases in spite of lower sperm-zona binding by spermatozoa incubation.
        4,000원
        2.
        200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배양에 의한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를 평가하기 위하여 chlortetracycfine fluorescence분석법을 이용하여, glycosidase가 체외수정능력과 정자침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돼지난자의 투명대내에서 발견된 당잔기에 대한 정자의 glyco-sidase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α-L-fucosidase, α-D-mannosidase, β-D-galactosidase 및 N-acetyl-β-D-glucosaminidase (β-GlcNAc''''ase)의 activity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glycosidase activity는 동결정자의 응해 후 배양하지 않았을 때보다 2시간 배양했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β-GlcNAc''''ase의 activity 는 정자 배양 유무에 관계없이 다른 glycosidase 처리시보다 최소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첨체반응이 유기된 정자의 비율은 glycosidase (α-D-mannosidase; P<0.05)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자를 배양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배양된 정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배양시간에 따른 정자의 존성에 대해 glycosidase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투명대내 정자의 접착과 입에 대한 또 다른 실험에서, 서로 다른 glyco-sidase가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수정된 정자가 배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자의 침입율은 낮아졌다 β-GlcNAc''''ase; P<0.05). 투명대내의 정자접착정도는 glycosidase의 첨가시에 무첨가시보다 접착정도가 더 높았으며, 가장 높은 접착율은 β-GlcNAc''''ase 첨가시 나타났다. 또한 모든 glycosidase 처리시 2시간 배양한 정자보다는 배양하지 않은 정자에서 투명대에 대한 접착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α-D-mannosidase의 처리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본 연구의 결과, β-GlcNAc''''ase가 주로 돼지정자의 원형질막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배양된 정자에 의한 투명대 접착정도와 침입율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glycosidase activity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