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은 예로부터 우리나라와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나라였으며, 이 에 따라 중국어는 가장 중요한 외국어로 인식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는 통문관(通文館), 조선시대 사역원(司譯院)을 통해 중국어가 교육되었고 四書나 直 解小學과 같은 중국의 경전이나 老乞大, 朴通事와 같은 회화서를 사용했다. 조 선 중기, 왜란과 호란을 겪으면서 실질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한 교재가 필요함을 깨 달으며 여러 회화서의 개수본(改修本) 뿐만 아니라, 譯語類解와 같은 유해류(類解 類), 즉 분류어휘집도 편찬되었는데 이는 다양하고 풍부한 어휘 학습을 도와 정확한 의사소통에 기여하였다. 이후 19세기에 들어서는 민간에서 중국어 학습 수요가 증가 하여 민간인 저자에 의해 華語類抄, 漢語抄, 華語, 漢談官話와 같은 유해류 서적이 편찬되었다. 이들은 19세기에서 20세기에 이르는 근현대시기 한국과 중국 두나라의 언어사를 조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漢談官話는 1902년 필사,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며, 저자는 미상이다. 18개의 부 류(部類)로 나누어 총 613개의 어휘를 실었다. 譯語類解나 華語類抄처럼 천문(天 文)으로 시작하지 않고 인사‧관직 관련 어휘로 시작하고 있으며, ‘一字部’, ‘不字部’, ‘長語類’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주로 쓰이는 구어체의 어휘, 어구, 문장 표현을 실어 실용성을 높였다. 어휘 부류 및 뜻풀이의 형식과 내용에서는 기존 유해서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혁신을 꾀하였다. 각 부에 수록된 어휘는 의미의 상관관계에 따라 연 관성이 있는 표제어끼리 가깝게 배열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문(諺文) 대역어(즉 당시의 한국어)와 한자 및 한문을 이용하여 뜻풀이했다. 譯語類解나 華語類抄와 공통적으로 수록된 어휘 비율이 매우 낮아 漢談官話의 저자가 매우 독자적인 시각에서 어휘를 수집, 분류했음을 알 수 있다. 漢談官話의 주음(注音) 측면에서 살펴보면, 見組 성모가 일부 구개음화 되기 전 의 형태인 ‘ㄱ’, ‘ㅋ’으로 기록된 것과 日母가 영성모로 기록된 것은 동북 방언의 영 향을 받은 부분이다. 그러나 來母를 ‘ㄴ’으로 주음 한 것과 같이 당시 한국 한자음을 학습하는 사람들이 범하는 오류에 따라 주음하고, 端組를 ‘ㅈ’혹은 ‘ㅊ’과 같이 한국 한자음에서의 구개음화 현상에 따라 주음하며, ‘兒’을 ‘라’로 기록한 것은 저자의 중 국어 음운학적 지식의 한계에 기인한 것이자, 이 책의 한계를 보여주는 부분이다. 그 러나 漢談官話는 체제, 형식, 어휘, 뜻풀이 면에서 볼 때 기존 유해류 서적과는 뚜 렷한 차별성을 보이는 혁신적인 성격의 유해류 서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근현대 한 중 양국의 언어사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7,8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tegrates the rubbings of the stone scriptures handed down in Han Dynasty and the newly unearthed stone scriptures in modern times, and compares them with the current vers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from the perspectives of Philology and Textual Criticism. A total of 54 groups and 72 articles of variants have been obtained. On the basis of classifying and sorting out the variants, this paper sums up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the Classic on the stone in the Han dynasty, such as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s used in the Analects and the current version, close literary meaning to the current version, more interchangeable words, more changes in mood words. This paper summarizes the language features reflected by these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is paper makes a preliminary exploration and reflection on the causes of the formation of these variants, and affirms the value of these variant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e study of ancient linguistics.
        8,900원
        3.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20년 동안 한대 황제릉의 고고학적 조사․탐사 발굴 작업은 한대제릉의 형식과 배 치, 발전 및 변화의 궤적을 밝혀내는데 성과를 거두었다. 이 글에서는 이미 발표된 고고학 자료와 여러 학자들의 연구성과를 기초로 한대 황제릉의 고고학적 성과와 연구과정을 소개하 고, 능묘배치, 내포된 함의을 중점적으로 소개하였다. 서한(西漢)은 “사사여생(事死如生)” 즉, 죽은자 섬기기를 산자 섬기듯 하였는데, 황제릉제도의 특징을 요약하면, “제후동토부동 혈(帝后同茔不同穴)”로, 황제와 황후는 동일 묘역에 장례를 치루지만, 각자의 능원을 가지 며, 이중능원, 외릉원 안에서 제후는 각기 소능원을 가지며, 능원담장 밖에는 한겹 또는 2중 으로 해자를 둘렀다. 복두형 봉분으로 4개의 묘도가 있는 아자형묘(亞字形墓)이며. 가장 긴 동쪽의 묘도가 무덤의 주묘도이다. 무덤 안은 황장제주의 목곽구조이며, 묘주는 금루옥의를 입고 있다. 능원 안에는 대량의 외장갱이 있고, 여러 기의 건축물이 있으며, 비빈의 합장묘 가 있다. 수량은 몇기에서 수십기로 차등이 있다. 능원밖에는 대량의 배장묘(陪葬墓)가 있 다. 서한 선제이전의 제릉은 근처에 능읍을 설치하였다. 동한(東漢)은 박장(薄葬)을 부르짖 어, 서한시대의 능묘시설을 중시하였던 것과 비교된다. 제사의식을 더 중시하였으며, 동한시기 제릉의 규모가 서한 때 보다 훨씬 작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후동혈장(帝后同穴葬)으 로, 한겹의 능원으로 규모가 작거나 혹은 한 겹의 해자가 있거나 또는 원구형 봉분이다. 무 덤형식은 묘도가 하나인 갑자형묘(甲字形墓)로, 묘도는 통상적으로 묘실의 남측에 있다. 묘 실은 가로형 전실과 세로형 후실이 있거나 혹은 다실(多室)의 전석묘(磚石墓)이다. 묘주는 몸에 금루옥의를 걸치고 있다. 능원 안에는 석전(石殿)건축과 종거(鐘簴)건축이 있다. 외장 갱이 없는 것은, 서한시기의 외장체계를 무덤 안으로 포함시켰으며, 배장묘는 있다.
        9,000원
        4.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ast 20 years, great achievements have been made in the archaeological exploration and excavation of the mausoleums of the Han Dynasty, which has basically proved the shape, layout, and evolution of the mausoleums of the Han Dynasty. Based on the published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the research results of many scholars, this paper introduces the archaeological work and research process of the mausoleums of the Han Dynasty, and focuses on the layout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mausoleums. The idea of Han Dynasty is to treat the dead as if he were al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erial mausoleums system in the Western Han Dynas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mperor and queen were buried in the same mausoleum, but in different tombs; double enclosure; in the outer enclosure, the emperor and the queen had their own small enclosure; There were one or two ditches outside the enclosure wall; the covering soil with truncated square cone; the shape of the mausoleum was a "亞" shaped tomb with four entrance passages, of which the East path was the longest and the main path; there was an outer coffin in the tomb, which was usually made of cypress with the timber headed in; the owner of the tomb was dressed in jade burial suit sewn with gold thread; in the enclosure,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external burial pits, a number of buildings and burial tombs for concubines, ranging from several to dozens; outside the enclosure, there were a lot of funerary tombs; before Emperor Xuan of the Western Han Dynasty, a mausoleum feod was set up near the mausoleum. Compared with the Western Han Dynasty, which paid more attention to mausoleum facilities, the Eastern Han Dynasty advocated plain burial, and paid more attention to sacrificial rites. The mausoleum of the Eastern Han Dynasty wa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Western Han Dynasty, and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emperor and queen were buried in the same grave; one small enclosure; maybe there was one ditch outside the enclosure wall; the covering soil with dome shape; The shape of the tomb was a "甲" shaped tomb with one entrance passage, which was usually to the south of the chamber; brick chambered tombs, with transverse antechamber, longitudinal posterior chamber, or multiple chambers; the owner of the tomb was dressed in jade burial suit sewn with gold thread; there were stone building and building with hanging bells in the enclosure; there was no external burial pit, and the external burial facilities of the Western Han Dynasty were put inside the imperial mausoleum; There were accompanying tombs in the imperial mausoleum.
        7,700원
        5.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ed on the nature of "Bu (不)+ N" structure, this paper divides the negative words in pre-Qin Chinese into two categories and five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time and space, and combs the evolution of Chinese negative word system from Pre-Qin to modern Chinese. This paper also focuses on two problems: (1) whether "Bu(不) + N" is the negation of noun by the determiner "bu(不)", and whether there is no implied verb between "Bu(不)" and noun, nor is the noun used flexibly as a verb; (2) there are two sources of "MEIYOU(没有)" in modern Chinese, first from the negative sign of noun "WU (无)", then from the negative sign of verb "WEI(未)". Traditionally, the negation words of pre-Qin Chinese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1) The "Bu(不)" category, which means simple negation. (2) The"Wei (未)"category, indicating a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past. (3) The "Fei(非)" category, which conveys negation of judgment. (4) The "Mo(莫)" category, signifying prohibition. Such classification, though comes with a certain degree of rationality, but embraces unscientific elements. For example, the "Bu(不)" category as a notion of simple negation is not a scientific explanation. This paper attempts to apply the research results of negative words in modern Chinese to the study of negative words in ancient Chinese. Professor Nie Renfa聂 仁发 (2001) believes that the time significance of the "Bu(不)" and "Meiyou(没有)" categories in modern Chinese is reflected in the "Object(体)" rather than "time (时)" and summarizes their differences as: "Bu(不)" :【+Negation】[-Realization] Or“Mei(没)“:【+Negation】[+Realization] Professor Nie”s belief is truly inspirational. Hence we pursue further, by judging from the time elements of the pre-Qin Chinese negation word system, to try to divide them into two main categories as well as five small sub-categories. We shall be deeply obliged to receive feedbacks in any forms as well as criticisms as to determine whether this classification is appropriate, correct and in particular with reference to the negation of judgment as a [-Time elements]; while the negation of the imperatives as a [+Time elements].
        5,700원
        6.
        2020.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香은 중국에서 악취나 벌레를 제거하고 의복에 좋은 냄새를 더하며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려는 목적으로 춘추전국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한대에 이르러서는 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왕실을 중심으로 향구가 사용되면서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수량도 풍부해졌으며 사용범위도 확대되었다. 滿城漢墓는 景帝의 아들이자 武帝의 이복형이었던 中山國 靖王 劉勝과 그의 부인 竇綰의 무덤으로서 香爐 6점과 香枕 2점 그리고 향료가 출토되어 서한대 왕실의 향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만성한묘의 향구에 대한 분석과 동시대 문헌기록의 해석을 통해서 한대의 향문화를 고찰하였다. 만성한묘의 향로는 형태의 특징에 따라서 豆形, 博山形, 多足形, 帶 柄形 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향을 담아 사용하는 향침에는 산초나무 열매(花 椒)가 가득 채워져 있었는데 이 열매는 중국 본토향료로 향신료, 약재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후에 망자의 혼령을 하늘로 인도해 준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한대 향에 대한 관념과 사용은 향구의 형태, 함께 부장된 기물 및 출토된 공간의 특성에 따라서 예의상의 향과 생활 속의 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만성한묘에서 祭器, 酒器와 함께 출토된 향로는 연회 혹은 제사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던 것이고 욕실공간에서 목욕기물과 함께 부장된 향로는 냄새와 세균을 없애서 욕실의 환경을 개선하거나 목욕시 몸에 향이 스며들도록 사용되었던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5,800원
        7.
        2020.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먼저 한대 일월도상의 종류를 살피고, 그 가운데 가장 신격화된 도상이라고 할 수 있는 복희․여와형 일월상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한대 일월상의 유형은 성좌형, 우인형, 복희․여와형이 있으며 이 가운데 성좌형과 복희․여와형 일월상은 하남, 산동․강소성, 섬서성, 사천성 등지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우인 형은 사천지역에서만 등장하여 지역적 특색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일월신으로서의 복희 여와 도상은 하남성 낙양일대의 서한~동한 전기로 추정되는 채색벽 화무덤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또한 선계의 신인 복희․여와가 일월신으로 출현하게 된 배경에는 서한시대에 유행하였던 황로사상과 음양사상이 자리하고 있다. 동한시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는 복희․여와형 일월상은 지역별로 상이한 특징을 보여준다. 하남성은 해를 가슴에 품고 있는 복희․여와형 일월 도상이 등장하는데 이는 양조형 일월상과의 연관성을 짐작케 한다. 이러한 형태는 산동성에서도 등장하고 있어 지리적으로 가까운 두 지역 사이의 밀접했던 문화 교류를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가장 사례가 적은 섬서성 지역의 복희․여와형 일월상은 기본적으로 하남성과 산동성을 중심으로 하는 중원지역의 영향을 받은 특징을 보여준다. 지방색이 강하며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복희․여와형 일월상은 사천지역에서 활발하게 제작되었다. 이 지역은 일월신인 복희․여와가 다양한 지물을 들고 등장하는데 이는 하남지 역에서 유행하였던 선인형 복희․여와 도상이 사천성의 복희․여와도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는 사례이다. 또한 복잡하고 다양한 교미형태는 산동성과의 영향관계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들 도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복희․여와의 다양한 역할과 의미를 살펴 보았다. 복희․여와는 창조신, 시조신, 일월신, 신선 등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황로사상과 음양설이 발전하는 서한시대에는 음양을 대표하는 신으로 해와 달을 상징하고 천상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선인이었으나, 동한 중기 이후 서왕모 중심의 선계가 개편되면서 서왕모보다 신분이 낮은 선계의 보조신으로 그 지위가 하락했다. 이에 따라 복희, 여와 도상에도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한대 고분미술의 다양성을 이루는 핵심적 요소로 작용했다.
        6,700원
        8.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ayout of Early Chinese Buddhist Temples from the Eastern Han Dynasty to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Eastern Han Dynasty and Three Kingdoms Period, the layout of Temples was a pagoda-centered system which had one-courtyard. The layout of Temples in this period was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Indian Temples. 2) In the Western and Eastern Jin Dynasties, the layout of Temples was still a pagoda-centered system. However, many buildings began to appear in Temples after the mid-4th century. In the Eastern Jin Dynasty, Twin pagodas started to appear in Temples. 3)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re were many layout types, but the main form was the layout of front Pagoda and rear Buddhist Hall. The layout of Temples in this period was in a transition stage, which evolved from a pagoda-centered Temple which had one-courtyard and after developed into a Buddhist Hall-centered Temple which had multi-courtyard.
        4,200원
        9.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an dynasty was the birth-period of calligraphy, the sprouting times of calligraphy theory, and the quickening period to investigate Chinese characters. This was not a coincidence. Calligraphy theory came from the cause that people looked at calligraphy as an art. As a result, it has influenced the field of researching characters, explaining theories about characters themselves, and cultural concerns about the transformations of characters since that period. This paper, as a basic work of researching letters, has summarily studied the books, the expansion steps, and the researching origin about the theories of letters before 『ShuoWenJieZi(設文解字)』. These studies, being grounded on the viewpoint of calligraphy history, will be the key point in investigations about the connections between the writing theory and the writing skill that were born at the same time with the theories of letters in the Han dynasty.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ways: 1. The central point of the theories about the letters before 『ShuoWenJieZi(說文解字)』written by XuShen(許愼)is 『The book: CangJieBian(倉趙編)』. 2. The theories about the letters in the Han dynasty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Qin(泰) dynasty. 3. The studies of characters in the Han dynasty had been developed by the scholars who dreamed of the revival of classical literature. 4. The studies of characters in the Han dynasty had been developed in company with the studies of ancients books. 5. 『ShuoWenJieZi(說文解字)』written by XuShen(許愼) means the colligation of the LiuShu theories(六書設) existed in the Zhou(周) dynasty, and it can be said to be the cornerstone of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6,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