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어류군집을 이용하여 회야강 수계와 인근 하천의 건강도를 분석하고 해당하천을 효과적으로 관리 하기 위하여 29지점에 대한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2007 년 실시된 조사에서 총 12과 33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전체 조사지점에서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RA: 24.8%), 아우점종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RA: 16.2%)로 나타났다. 또한 8종의 한국고유종과 4 종의 외래종, 그리고 타 수계로부터 도입된 2종의 이입종 (끄리,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치리, Hemiculter eigenmanni)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하천별 건강성 평가를 위해 어류군집을 이용하여 생물보전지수 (IBI)를 구한 결과 2지점이 B 등급인 것을 제외한 대부분 C~D 등급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점 인근의 토지이용이 하천 의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생물보전지수 와 토지이용과의 Pearson correlation 분석을 실시한 결 과 개발지가 증가할수록 생물보전지수가 감소하였다 (r=-0.425, p=0.022). 반대로 생물보전지수와 숲과 초지 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r=0.556, p=0.002), 경작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r=-0.231, p= 0.333).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회야강 수계 및 인근하천 의 어류군집구조, 하천의 건강도, 인근 토지이용과의 상 관관계는 유역 토지의 개발로 인한 인근 하천의 영향 예 측 및 해당하천의 관리 및 복원사업에 있어 유용하게 이 용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3.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Hoeya river(Ulsan)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01. The taxa of phytoplankton identified included 135 species, 5 divisions, 33 families and 82 genera. Among them, chrysophyta(diatoms) were 63 species(46.7%), chlorophyta(green algae) 47 species(34.8%), pyrrophyta(dinoflagellates) 13 species(9.6%), cyanophyta (cyanobacteria) 8 species(5.9%) and euglenophyta(euglenoids) 4 species(3.0%) respectively. Ecological important species is called frequently appearing species, red tide causative species, seawater species and pollution indicator. 22 species including Aulacoseira granulata were recorded frequently appearing species. 19 species including Ceratium furca were recorded as red tide causing species. And the pollution indicators were 33 species including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 The highest standing crops were 3,103,441 cells/ℓ in August at the RW-1 and the lowest 1,245 cells/ℓ in January at the RW-5. In the community analysis, the dominanance indices ranged from 0.34(October, RW-2) to 0.94(January, RW-1) and the diversity indices from 0.50(May, RW-2) to 2.57(September, RW-2). The saprobic indices were 2.43 in RW-1, 2.41 in RW-2, 2.375 in RW-3, 2.40 in RW-4, 2.43, in RW-5. Therefore, these areas were investigated “β-mesosaprobic”. According to the similarity index among the stations, these areas were defined as residential district areas(RW-2 and RW-3), lower part of the dam (RW-1) and seawater areas(RW-4 and RW-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