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bovine serum albumin (BSA) as alternatives to fetal bovine serum (FBS) in in vitro maturation medium. The oocyte maturation, cumulus cell-oocyte gap junctional communication, and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were determined by assessing their cell number, lipid content, mitochondrial activity, gene expression and cryo-tolerance. Oocytes were cultured in TCM-199 supplemented with 1 μg/ml estradiol-17ß, 10 μg/ml FSH, 10 ng/ml EGF, 0.6 mM cysteine, 0.2 mM sodium pyruvate and either 8% BSA (BSA group), 10% FBS (FBS group), or neither BSA nor FBS (TCM group), and followed by in vitro fertilization and the zygotes were cultured in SOF-BE1 medium. The differences in embryo developm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s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We have shown that the percentages of embryos that underwent cleavage and formed a blastocyst were non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37.4 ± 1.5% for FBS group vs. 31.1 ± 3.9% for BSA group and 34.5 ± 1.6% for TCM group, six replicates were performed).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ntage of MII oocyte between FBS (71.8 ± 1.9%) and BSA groups (69.3 ± 2.3%). However, culture of oocytes with FBS increased (P < 0.05) the cumulus cell expansion as well as expression of gape junction proteins, CX37 and CX43, at both transcriptional and translation levels. We also found that FBS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cell number and decreased the apoptotic index in day-8 blastocyst comparing to BSA group. The beneficial effects of BSA on embryos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reduced intracellular lipid content and increased mitochondrial activity in both oocytes and blastocyst.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of maturation medium with BSA, as alternatives to FBS, can be used as defined medium that support consistently the development of IVP bovine embryos.
        3.
        200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의 체외배양액에 황화합물인 β-mercaptoethanol(β-ME)을 첨가배양함으로서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에 미치는 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난포란을 체외성숙배양액인 NCSU-23 배양액에 β-ME를 각각 0, 25, 50 및 100μM 첨가배양하여 성숙을 유기한 다음, 체외수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핵성숙률, 정자침투율, 웅성전핵형성률, 다정자침입률 및 평균침입정 수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P>0.05). 2. 체외성숙 및 수정을 실시한 후, 배발달 배양액인 NCSU-23에 7일간 배양한 결과, 배반포 형성률은 25μM의 β-ME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3.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β-ME를 각각 0, 12.5, 25 및 5μM 첨가하고 5 및 20%산소조건 하에서 7일간 배양한 결과, 처리구별 산소농도에 따른 배발달률 및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유의 적 인 차이가 없었으나, 25μM β-M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그러나 총세포수에서는 처리구 및 대조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 및 배발달시 황화합물인 β-ME의 첨가는 25μM이 가장 적합하며, 산소농도에 따라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4.
        200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난포란의 체외배양액에 황화합물인 Catalase 첨가 및 저분압산소조건 하에서 첨가배양함으로서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난포란을 체외성숙배양액인 0.9mM cy-steine이 함유된 NCSU-23 배양액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 1000uni1s/m1 첨가하여 체외성숙 및 수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평가요소에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체외수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P>0.05). 2. 체외수정을 실시한 후,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7일 동안 배양한 결과, 배반포형성률과 총세포수에 있어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체외성숙시 CAT 첨가배양은 배발달에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다(P>0.05). 3.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 1000units/m1을 첨가하고 5 및 20% 산소농도하에서 7일간 배양을 실시한 결과, 산소농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CAT 첨가에 따른 배반포형성률과 총세포수에 있어서도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결론적으로 돼지난포란을 이용하여 체외수정란을 생산할 때, NCSU-23 배양액에 catalase의 첨가 및 산소조건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7.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의 체외성숙배양액에 superoxide dismutase(SOD)를 첨가배양하여 체외성숙과 수성이후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산소농도 및 SOD가 체외생산된 돼지초기수정란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 난포란을 체외성숙배양액인 NCSU-23에 SOD를 각각 0, 100,500 및 1,000uni1s/m1 첨가하여 성숙시킨 다음, 체외수정을 실시한 결과, 핵
        4,000원
        8.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소의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시 의 첨가가 체외성숙, 체외수정 후 웅성전핵의 형성 및 세포질 내의 GSH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체외성숙시 과 의 를 첨가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성숙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모든 실험구에 있어서 12시간 체외성숙보다 24시간 체외성숙에서 높은 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체외수정 후 웅성전핵 형성에 있어서는 와 농도의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9.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bility of nuclear development of canine oocytes depend on the kind of maturation media and addition of serum sources. Ovaries were collected from a bitches at various stages of estrus cycle by an ovariohysterectomy. Oocytes were collected of cumulus oocytes complexes after slicing of ovaries with blade. The maturation medium was containing 0.6 mM/ml cysteine, 0.2 mM pyruvic acid, 20 ng/ml and 1 rbST Exp. 1, the oocytes were matured in four different maturation medium as follows: 1) TCM-199, 2) DMEM, 3) NCSU37 and 4) modified-NCSU37 with 10% FBS. Exp. 2: the oocytes were matured in mNCSU37 supplemented with different protein sources (10% FBS, 10% EDS, 0.3% BSA and 0.1% PVA) to select the optimal one. Oocytes were matured in a humidified atmosphere containing 5% at for 72 hrs. The maturation rate were analyz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General Linear Models procedure in SAS. The rates of meiotic resumption to MI-MII depend on different culture media were achieved with TCM-199 (5.2%), DMEM (5.0%), NCSU37 (7.2%) and m-NCSU37 (5.9%), respectively. The rates of meiotic resumption to MI-MII according to addition of protein source were 10% FBS (13.3%), 10% EDS (25.0%), 0.3% BSA (25.0%) and 0.1% PVA (15.4%),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in vitro maturation media and protein supplement to m-NCSU37 culture medium tested did not promote the final steps of IVM in canine oocy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