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4.
        2010.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earch discussed in this paper was conducted to evaluate an intensiv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IETTP) and to consider implications for in-service English teacher education. Data was gathered from a variety of sources including trainees’ self-evaluation of their teaching and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feedback on sessions of the program, interviews, and documents. The analysis of the gathered data revealed that the trainees perceived their teaching improved. The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tests of language skills showed that the level of the trainees’ English language significantly improved. The trainees’ feedback on the program and the trainers reveal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ourse components, and with the trainers’ enthusiasm, materials, motivation and demonstration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ogram management was process-focused;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on a regular basis and the results were fed back into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e program evaluation supported the conclusion that the trainees benefitted from the programs and that the goals of the training program were achieved at a satisfactory level in most areas. The findings provide guideline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IETTPs, and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on English teacher education.
        8,600원
        5.
        2009.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6.
        200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evalua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program decision makers with judgements about the intensive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SET) program"s worth or merits in relation to important criteria. It also purports to provide program staffs with useful information in improving their INSET programs. Setting boundaries and analyzing the context were followed by the procedure of identifying and selecting the evaluation questions and criteria. The overview of recent developments in English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vided the underlying principle for setting the criteria for evaluation. The criteria were us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a successful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or implementation. They included features such as goals, curriculum, personnel, and support. Using the specified checklist, evaluation was carried out on the current intensive English language teacher training courses. Information on each area of the checklist was collected from available sources, analyzed and interpreted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From the findings of the present evaluation study, some implications are drawn for making policies on INSET, for improving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under investigation, and for establishing and operating similar INSET programs.
        6,400원
        9.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use of discourse markers by pre-service training students and in-service training teachers in middle school contexts. For this purpose, 20 participants in each of the pre-service (PS) and in-service (IS) teacher groups were selected and their teaching was videotaped. Then, the data was transcribed with a focus on the use of discourse markers.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macro-marker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t is interesting that student teachers in the PS group used various expressions for elaboration a little more frequently than the IS group.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use of micro-marker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segmentation and temporal marke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on the teaching of listening and teacher training are suggested.
        5,200원
        10.
        200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1.
        199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13.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교사 직무연수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초등교사 전문성 향상을 꾀하는 직무 연수 프로그램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강원도 초등교사가 이수한 직무연수 자료를 전수조사하여 내용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 직무연수 유형은 [교직 발달과 전문성], [아동이해], [교사이해], [교육과정과 수업], [교사직무], [변화대응]의 6가지 대분류 항목, 그리고 하위 영역으로서 18개 중분류, 85개 소분류 항목이 도출되었다. 또, 해당 결과에 대한 교차분석과 빈도분석을 통해 초등교사 교직경력에 따른 각 관심 영역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러 한 결과에 근거한 초등교사 직무연수 설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연수의 목적: 초등교사 전문성 향상, 둘째, 직무연수 내용 구성: 학급담임으로서 역량 강화, 셋째, 직무연수 적용 기준(방법): 의무성과 자율성의 균형이다. 지금까지 논의는 초등교직이 입직 이후 더는 추가 교육이 필요 하지 않은 완성형 직업이기보다, 지속적인 현직교육을 통해 끊임없이 전문성을 추구해야 하는 전문직임 보여준다.
        14.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교원직무연수에서 반성적 사고는 근전이와 원전이 사이를 매개하는지와 매개할 경우 그 영향력의 수준은 어떠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주요 변수의 개념과 변수 간 관계를 탐색하였다. 설문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먼저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시교육청 소속 교사 51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유효설문지는 401부였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의 교원직무연수에서 근전이는 반성적 사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교원직무연수에서 근전이는 원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반성적 사고도 원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런 결과는 교사의 교원직무연수에서 근전이와 원전이 사이에 반성적 사고는 부분 매개함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는 자신이 참여한 직무연수 내용을 학습하여도 원전이를 바로 수행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원전이 보다 근전이를 먼저 수행함으로써 적용의 가능성, 경험, 노하우를 축적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수월하게 원전이 수행을 할 수 있다. 둘째, 교사는 반성적 사고를 통하여 학습전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형성하게 되며, 이를 원리 또는 개념으로 발전시킨 후 다양한 상황에 학습내용을 적용하는 원전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1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2016년도에 시행된 다문화 교육 집합연수 22개(630시수)와 원격연수 9개(225시수)의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집합연수는 ‘다문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30.63%)’, ‘다문화 학생․가정 이해 및 지원 (19.21%)’, ‘다문화교육․지도 사례 공유(국내외)(19.04%)’ 순으로, 원격연수는 ‘다문화사회․ 다문화교육 이해(29.15%)’, ‘다문화 학생․가정 이해 및 지원(23.32%)’, ‘다문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21.08%)’ 순으로 연수내용을 구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교사교육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16.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교사양성과정에서 경험하는 학업과 진로에 대한 어려움을 탐색해 봄으로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를 높이고 질 높은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 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년제 A대학교 유아교육과 재학생 6명을 대상으로 면담, 저널쓰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직에 대한 불확신과 갈등 속에서 어려움과 불안을 나타내었다. 여기에는 어려운 전공 공부, 좋은 교사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포함되며 이로 인하여 자신이 유 아교육과의 적성에 맞는지, 다른 진로는 없는지 고민하고 갈등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바쁜 일상과 경쟁 속에서 어려움과 불안을 나타내었다. 여기에는 발표와 과 제 압박, 취업 경쟁 사회적 분위기가 포함되며 이로 인하여 초조함과 갈등의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전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