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토양-탄체 간 분리 및 재접촉을 고려한 IFL 기반 침투해석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존 문헌의 실험결과와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탄체를 강체로 가정한 후, 토양 내로 침투 시 발생하는 구형공동팽창 현상을 고려함으로써 탄체의 궤적을 예측할 수 있다. 토양에 대한 저항함수는 Mohr-Coulomb 항복 모델을 활용했으며, 입사각 혹은 AOA에 따른 J-hook 현상을 모사할 수 있다. 기존 문헌에서의 실험결과(총 6회)와의 비교 결과, 수치해석으로부터 예측한 탄체의 침투 깊이는 실험대비 약 13.4%의 평균오차를 나타냈 다. 일반적으로 탄체의 침투 경로를 예측하기 위해 유한요소법이 널리 활용된다. 하지만, 유한요소법 활용 시, 탄체의 모델링을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해석 수행을 위해 수 시간이 소요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모델을 활용할 시, 탄체의 치수 입력만 필 요하며 해석 시간도 수 초 이내이다.
        4,000원
        2.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ircle hook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catch rates of target and bycatch species between J hook and circle hooks in the tuna longline fishery of the eastern Pacific Ocean between 1˚48'S-7˚00'S and 142˚00'-149˚13'W from July 15 to August 12, 2005. In the target species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types hook, between size 4.0 traditional tuna hooks(J-4) and size 15 circle hooks(C15), and between C15 and size 18 circle hooks(C18) were revealed,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J-4 and C18. In the bycatch species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3 types hook, between J 4 and C15, and between J-4 and C18,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between C15 and C18. Large circle hook(C18) had the lowest catch rate for tunas and for other fishes, and the small circle hook(C15) had lowest rate for billfishes and sharks. The length distributions for bigeye tuna are very similar for the 3 hook types. There were very slight differences in length size between hook types in the bycatch speci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