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4.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황제내경(黄帝内經)󰡕에서 바라 본 정신 건강수양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생명과 건강 그리고 질병의 동양의학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를 통해 얻은 결과는 염담허무는 마음의 다스림으로 기에너 지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몸의 이완을 가져오며, 진기종지는 몸의 기에너지 순환을 통한 마음의 다스림이다. 즉 호흡명상과 호흡마사지의 상호작용으로 정신내수에 이르러 병의 발생 을 미리 예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율신경 조절과 뇌파 방면의 과학적인 연구지표 검 증을 통하여 정신건강수양법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여 동양의 학의 우수성을 대중화할 수 있는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 하다.
        7,700원
        2.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hong Hua Zi Jing is Chinese teaching material promoted nationwide and overseas for the purpose of “fast literacy and early reading”, which covers Level 4 Chinese characters specified in the HSK exam outline. Its content includes knowledge of fifty major categories, including astronomy, geography, human relations, history, and the like.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Xu Tongqiang’s sinogram-based theory. This paper proposes a teaching plan using the Zhong Hua Zi Jing in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n order to achieves positive results in vocabulary and Chinese character learning. A survey was first conducted on Korean students in years three and four of the Chinese language major to demonstrat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included in Zhong Hua Zi Jing, and to elucidat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Zhong Hua Zi Jing. Then, the necessity and specific solutions of using Zhong Hua Zi Jing to teach vocabulary mainly based on Chinese characters was explored.
        4,800원
        3.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중국 징진지 협력발전이 계획되고 실천되는 과정에서, 역사·문화적 자원들 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즉 중국의 문화정책과 공간정책이 연동되어 실천되는 양 상을 살핀다. 징진지 협력발전 계획은 베이징과 톈진, 허베이를 연조문화를 공유하는 동질적 공간으로 재구성했다. 특히 대운하, 장성, 서산 영정하라는 3대 문화벨트를 통해 세 지역을 베이징 중심의 동질적 문화기억의 공간으로 재구성하고 자연화한다. 한편 퉁저우를 부중심으로 건설하여 베이징의 행정 기능과 비수도적 기능을 분산한 다. 그리고 신도시 개발지구로 슝안신구를 지정한다. 이를 위해 중화문명의 태동·다 원적 문화통합·대외무역의 태동과 유산이라는 이미 소멸된 지역성을 재발굴하여 소 환하는 문화논리를 작동시킨다. 이 고유의 지역성은 국가 자긍심의 신장, 세계도시 건설이라는 슝안신구의 기획과 실천이 역사적 정당성을 획득하는 데 기여한다.
        6,000원
        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ing Hao, a famous theorist and painter in the late Tang and five dynasties, put forward the concept of “truth” in his Bi Fa Ji (筆法記, Notes On the Techniques of the Brush). “Truth” originated from Laozi and was developed by Zhuangzi and others. Although “truth” is an important category in Chinese aesthetics, the aesthetic connotation was not explained until the Tang Dynasty, and it was not explained and defined theoretically until Jing Hao’s Bi Fa Ji in the Five Dynasties, and “truth” was also clearly put forward in painting theory for the first time. “truth” is the artistic ideal pursued by Jing Hao, and the practice of “truth” is also confirmed everywhere in his works “Kuanglu Tu”. So what is the “truth” proposed by Jing Hao? How does his “truth” translate into his paintings? Is there a specific way or method for him to realize his “true” artistic ideal? This article mainly analyzes Jing Hao’s “tru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aoist “the unity of nature and man”(天人合一), and combines the stones, trees, and point characters in the Kuanglu Tu to analyze it specifically. Jing Hao’s “truth” is more about pursuing the realm of mutual birth between the heaven and earth spirit of man and nature, and the life of the universe.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mplement this mysterious concept and mysterious metaphysical category into concrete and perceptible painting patterns, so as to appreciate that the way to realize Jing Hao’s “truth” is “the unity of nature and man”.
        4,900원
        5.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Northern Song Dynasty, the book Qun Jing Yin Bian by Jia Changchao (賈昌朝) specifically selected and analyzed the sound and meaning matching relationships of the sound and meaning materials in the annotations of multiple classics, which were recorded in the Jing Dian Shi Wen (經典釋文), and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arranged them into five categories. Qun Jing Yin Bian inaugurated the systematic study of sound and meaning matching in history, specifically exploring the matching relationships between Chinese sound and meaning. It is a research work on Chinese phonosemantics in the disciplinary sense. Qun Jing Yin Bian has achieved a qualitative transformation from the compilation of basic sound and meaning materials to the exploration of research-oriented sound and meaning matching relationships, which has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phonosemantics.
        6,400원
        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i Qie Jing Yin Yi written by Xuan Ying of the Tang Dynasty is a model work of the sound and meaning of Buddhist sutras. At present, two collated editions have been published, but there are still many errors that have not been corrected. These error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primary errors, secondary version errors and other kinds of errors. Primary errors are annotation errors caused by the limitations of the author’s own knowledge; The secondary version errors refer to the errors added in the spreading of the book. Other kinds of errors are the errors that we can not determine whether they belong to the primary errors or secondary version errors according to the existing materials.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is paper lists several errors that were not reached by predecessors in the previous practice, in order to seek advice from others.
        5,500원
        7.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대 袁永綸이 쓴 필기 『靖海氛記』는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까지, 중국 남부 해상에 창궐하던 해적을 토벌한 기록이다. 중국의 역사 사료 중 『정해분기』 만큼 해적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 문헌은 드물다. 안타깝게도 1830년에 초판이 출간 된 후, 중국에서는 유실되어 전하지 않다가, 2007년 대영도서관에서 판본이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정해분기』에 대한 전면적인 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논 문은 작가 원영륜과 『정해분기』의 판본, 영역본을 소개하고, 『정해분기』의 내용을 해적단의 형성과 세력 확장, 분열과 투항이라는 흐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본 후, 이를 기초로 그 특징과 의의를 분석하였다.
        6,300원
        8.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詩經』 관련 전통적 저작이나 해석서로부터 멀리 벗어나 그 자신만의 차별화된 특 징을 보이는 王夫之의 『詩廣傳』은 明淸시대 經世致用 사조의 영향 아래, 개인의 철학, 역사, 정치, 윤리와 문학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詩經』 각 시편의 본뜻을 확대하여 설명하고, 자신의 주장을 자유롭고 폭넓게 적은 雜感性 문장이다. 王夫之는 『詩廣 傳』에서 시가의 본질은 ‘情’에 있으며, 그 ‘情’은 본능적 七情이 아닌 天理를 稟受한 ‘性’의 ‘情’임을 주장하였다. 그의 이 같은 문학사상은 비록 程朱理學의 견해를 계승 한 것이지만, 그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儒家詩學의 溫柔敦厚한 詩敎를 실현하기 위해, ‘情’에 대한 절제와 함께 ‘情’에 대한 여유와 관대함을 파격적으로 주장함으로써, 경직된 儒家詩學의 고루한 논리적 울타리를 크게 확장하였다. 본 논문은 儒家六經의 하나인 『詩經』을 ‘廣傳’이라는 독창적인 ‘논술적 설명방식’을 통해 ‘넓게’ 바라본 『詩廣傳』의 특별한 서술특징과 그 철학 및 문학주장의 핵심을 관통하는 내재적 精髓를 고찰하여, 王夫之 文學思想의 근간에 한걸음 더 접근하고자한 연구논문이다.
        6,900원
        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춤의 변천은 자연이 인간에게 미치는 두려움과 생존을 위한 삶 가운데에 행하여진 원시 예술 가운데 하나이다. 자연에서의 숭배의 관념과 정령의 힘인 주술적 행위가 오늘날 춤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굿’ 의 형태로 전해졌다. 현대는 다양한 공연예술이 선보이고 있고 독특한 형식으로 관객들과 만나고 있으며, 우리 고유의 전통연희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다양한 연희는 극문학과의 결합으로 탈춤, 굿, 판소리 등 공연예술로 발전이 되었고, 우리 민족의 정신문화를 나타내는 가장 한국적인 연희로 전승되었다. 이러한 공연예술 가운데 대표적인 남사당놀이의 판굿인 상쇠놀이, 북놀이, 징놀이, 설장고놀이, 소고놀이 등은 현대의 문화 콘텐츠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들 가운데 징놀이는 지역적으로 국한되어 소수의 명인에 의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는 현실이며 더욱 징춤에 대한 관심은 매우 미약하고, 이를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과 문헌 자료가 거의 없다. 남사당놀이 이수자인 필자는 징춤의 의미를 파악하고, 징춤에 내재한 사상과 예술성 고찰에 본고의 목적을 두었다. 징춤에는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예술적 특성이 있으며, 강향란의 징춤에 내재한 예술적 가치는 한과 서러움, 외로움을 화려하지 않고 역동적이고 거친 느낌의 춤사위에서 흥과 신명으로 표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징춤이 전통문화의 소중한 자산으로서 올바르게 전승되고, 전통 보존의 맥을 이을 수 있는 관심을 고취하고자 징춤의 예술적 가치 를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첫째, 공연예술에서 공연자와 관객과의 즉흥적 소통으로 상호 교감을 이룬다. 둘째, 징춤에서의 징의 울림은 형이상으로 철학적, 미학적인 예술적 치 유의 개념이 있다. 셋째, 상호작용에 의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이해하고 배려함이 인격 형성의 교육적 가치가 있다.
        5,500원
        10.
        2016.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undergo tang、song、jin and yuan dynasty, to the Ming and qing dynasties, heated kang is widely used in residential house lay and heating facilities in Beijing and Hebei areas folk house. In this paper, by collating relevant historical facts to follow Beijing and Hebei area is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necessary historical explanation.
        3,000원
        11.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undergo tang、song、 jin and yuan dynasty, to the Ming and qing dynasties, heated kang is widely used in residential house lay and heating facilities in Beijing and Hebei areas folk house. In this paper, by collating relevant historical facts to follow Beijing and Hebei area is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necessary historical explanation.
        3,000원
        12.
        201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s a research on the Korean immigrant village and house in Y eonbyeon Long-Shan village in China. The house (so called Minga in Korean), which was studied in this paper, is the vernacular architecture of dwelling for the rural people in this area. It is the most common dwelling type. We can find Korean vernacular influences on the architecture in this area by the Korean-Chinese people. Long-Shan village is laid out with the so called Bae-san-im-su way which means that to the north of the village are mountains, Moa mountain a branch of Baekdu Mountain ( R *I I 1), water, Haeran river (/Bi.~}[) to the south. The main axis of village layout is made of two roads. The village is mainly developed along the east-west main road follows the southern creek. The other axis is north-south main road and other sub roads branch out from it. The sub roads serve as the transition between main road and the allies, which are the access to individual houses. The main building is usually laid on the northern side of the individual site with garden attached in south. The main entry is usually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the separate service buildings are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the entry. This also relates to the kitchen location in the main building. Usually the kitchen is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most frequently related with separate service building in function
        5,500원
        13.
        201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s a research on the Korean immigrant village and house in Yeonbyeon Long-Shan village in China. The house (so called Minga in Korean), which was studied in this paper, is the vernacular architecture of dwelling for the rural people in this area. It is the most common dwelling type. We can find Korean vernacular influences on the architecture in this area by the Korean-Chinese people. Long- Shan village is laid out with the so called Bae-san-im-su way which means that to the north of the village are mountains, Moa mountain a branch of Baekdu Mountain (白头山), water, Haeran river (海兰江) to the south. The main axis of village layout is made of two roads. The village is mainly developed along the east-west main road follows the southern creek. The other axis is north-south main road and other sub roads branch out from it. The sub roads serve as the transition between main road and the allies, which are the access to individual houses. The main building is usually laid on the northern side of the individual site with garden attached in south. The main entry is usually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the separate service buildings are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the entry. This also relates to the kitchen location in the main building. Usually the kitchen is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most frequently related with separate service building in function.
        4,000원
        14.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eats published the first edition of A Vision in 1925 and the revised edition in 1937. He had poured the most intense concentration of his intellect into it for 20 years. It may be regarded as the greatest of Yeats’s works, containing some of the most penetrating and beautiful prose that he wrote. It is essential to any understanding of many of his most notable poems and plays. But many critics agreed it was difficult to read and understand; it is extraordinarily distilled, yet complex in an extremely precise way. In this thesis I compared “Unity of Being” in Yeats’s A Vision with “Dao” in Lao Zi’s Dao De Jing. I interpreted the similarity between the theories of Yeats and Lao Zi. In A Vision Yeats explained 28 incarnations according to the 28 phases of the moon, the Great Wheel and the deliverance of the bond of rebirth. His major symbols are the gyres, the double triangle or the primary or objective and the antithetical or subjective. The Four Faculties(Will, Mask, Creative Mind, and Body of Fate) and the Four Principles(Husk, Passionate Body, Spirit, and Celestial Body) are related to the two contrasting tinctures. The antithetical gyre is lunar, aesthetic, expressive, multiple, hierarchial, aristocratic, artistic, particular, creative. The primary gyre is solar, moral, dogmatic unifying, humane, democratic, scientific, abstract. There is a state of perpetual conflit between the gyres and the moment of harmony of the gyres. The gyres are living each other’s death, dying each other's life. In Dao De Jing Lao Zi explained the dual character of the “Dao” operate as Being-Without-Form and Being-Within-Form, or Heaven and Earth, interrelated so closely the two sides of a coin. Yeats wanted to teach us what is the ultimate reality is and we can attain the “Unity of Being” at the moment of harmony of antinomies. The ultimate reality because neither one or many, concord nor discord, is symbolized as a phaseless sphere, but as all things fall into series of antinomies in human experience it becomes, the moment it is thought of, what he describe as the Thirteenth cone. Lao Zi insisted, “the world is oneness, or unity, emerging from the moment of the Dao.” Yeats also told us, “Eternity, though motionless itself, appears to be in motion.”
        6,300원
        1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조선 중기 문신인 姜澂(1466∼1536)의 관료생활에 대한 연구이 다. 강징은 연산군과 중종을 거치면서 거의 평생을 관각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관료로서 강직하고 올곧은 길을 걸었던 인물이지만 한 번도 역사 속에서 조명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조선왕조실록에 228번이나 등장하는 중요 한 인물이었으며 특히 연산군의 즉위와 함께 관직에 출사하여 중종반정으로 연 산군이 퇴위될 때까지 최 측근에서 성리학적 도덕정치의 이념으로서 연산군을 보필하며 경연관으로서 연산군을 바로잡으려고 애쓴 관료였다. 그는 언로를 열 며 이단을 막고 경연을 펼친 현저한 공이 있었다.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나약한 왕권을 흔들고 정권을 장악하려든 신진 사림파와 훈구파들의 세력다툼이 계속하여 일어났다. 중종은 강징을 형조참판으로 삼고 이 난국을 헤쳐 나가고 있었다. 이 때문에 강징은 이들의 표적이 되어 온갖 모 욕과 박해를 받았다. 그러나 중종은 그때마다 강징을 옹호했고 나라의 중대사 를 강징과 의논했다. 중종은 강징을 예조참판으로 삼고 국정을 펴 나가면서 신 진사림과 훈구파의 끈질긴 정권장악의도를 막았다. 강징은 중종을 측근에서 보 필하며 국가의 중대사를 논하는 동시에 중종을 성군으로 만들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가하였다. 그는 특히 ‘敬’을 강조하여 성리학적 도덕정치의 이념을 실천 하며, 왕도를 펼치고 의로운 길을 열어갔다.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으로 기묘 사화가 발생하며 조광조 일파의 급진적 개혁의도가 중지되었다. 강징은 두 번 이나 사신의 임무를 띠고 중국을 다녀왔으며 외교에 있어서도 공이 있었다. 특 히 명나라 세종황제의 등극에 성절사로 파견되어 서예로서 명성을 떨쳤고 황제 가 국자감을 알현하는 것을 참관하는 영예를 안고 돌아왔다. 호음 정사룡은 그의 <신도비명>에서 그의 일대기를 약술하면서 관각 속의 군 자로서 표현했고, 청백리로 묘사했으며, 충신으로 묘사했다.
        16.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滄洲 河憕(1563-1624)은 晉州 丹牧 사람으로 南冥 曺植의 문인 河魏寶의 다 섯째 아들로 태어나 삼촌인 河國寶의 아들로 입계한 인물이다. 하위보의 아우 河晉寶는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사간을 역임했으며 역시 南冥 曺植의 문인이 다. 하위보의 아들 河恒도 曺植의 문인이었고, 그 아들 河仁尙은 광해군 때 南 冥 曺植을 문묘에 종사해 달라는 상소를 주도한 인물이다. 게다가 河晉寶의 딸 이 鄭仁弘의 아들과 혼인하였으니 집안 전체가 남명학파라 이를 만하다. 河憕이 태어나 활동한 시기는 曺植의 영향을 직접 받은 그의 문인들이 왕성하 게 활동하던 시기와 겹친다. 그래서 그는 자연스럽게 曺植 문인들의 뜻을 받들 어 曺植의 정신을 확산시키는 일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가 가정에서 받은 영향 을 제외하면 그에게 가장 영향을 많이 준 이는 來庵 鄭仁弘과 寒岡 鄭逑 및 崔 永慶·河沆·成汝信 등이며, 가깝게 지냈던 벗 李屹·吳長·鄭蘊·趙㻩 등과의 교제 를 통해서도 적지 않은 영향을 입었을 것이다. 河憕은 1602년 이후 1611년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덕천서원의 여 러 건물을 중건하는 일을 주도하였고, 또한 1614년부터 1623년까지 덕천서원 원장을 하는 동안 1617년에 曺植의 󰡔학기유편󰡕을 덕천서원에서 간행하였고, 1622년에는 󰡔남명집󰡕 임술본을 간행하였으며, 1615년에는 고령에서 曺植을 문묘에 종사해 주기를 요청하는 소회를 주도하는 등의 일들을 하였다. 이는 그 가 1600년대 초기부터 1624년까지 진주 지역 남명학파를 사실상 주도하였음 을 알게 하는 일들이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여러 가지 일들을 주도하는 과정에서 정인 홍을 만났다거나 의논했다거나 그의 의견을 들었다는 등의 일은 그의 문집에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정인홍이 인조반정 때 적신으로 처형당한 뒤 약 300년 동안 신원되지 못하였던 데 그 원인이 있었던 것이다. 쌍계창수의 출현도 정인홍 문인의 후예들이 정인홍의 흔적을 부정하려는 의 도에서 이루어진 것이었고, 그래서 결국 비슷한 처지에 있는 집안의 후예들이 모여서 세강계를 조직하기에까지 이른 것이다. 「쌍계창수」와 「신안어록」 등은 曺植에 대한 추숭 사업을 가장 충실히 해낸 河憕의 일생을 잘 드러내려 한 것임 에도, 河憕의 스승으로서 끝까지 같은 시대를 살면서 曺植을 추숭하려다 죽음 에까지 이른 정인홍을 철저히 숨기려 했다는 점은 참으로 아이러니라 할 것이 다. 이것이 남명학파의 비극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떳떳이 이를 드러내어 사실 을 바로 알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국 河憕은 내암 정인홍의 문인으로서 그를 대신하여 진주 지역에서 曺植을 추숭하는 일을 주도했으며, 이 가계의 노론화 도 기실 여기서 비롯하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