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일자리와 노동력 변동이 연계된 패널 형태의 자료를 활용하 여 전국 및 지역 일자리 창출과 소멸의 동태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 역고용정책의 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2018년 12 월 기준 전국평균 일자리 창출 수는 6,315개, 소멸 7,053개, 채용 29,743개, 이 직 30,587개로 일자리 순증가는 844개로 감소하였다. 전국 광역시도 중 지역 일자리 창출이 높은 지역은 경북 9,961개, 경남 9,561개, 전남 9,430개 순으로 일자리 소멸이 낮은 지역은 제주도 2,323개, 전북 2,988개, 충북 4,237개 순이 었다. 대전지방고용노동청 관할 지역 일자리 변동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자리 변수 간 상관성 분석에서 순일자리 증가와 노동력 변동과는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채용이 많을수록 순일자리는 증가하였고, 초과노 동이동은 노동력 변동이 많을수록 초과이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 역 일자리 초과노동이동량과 순증가의 추이는 초과노동이동량이 많은 대전 서 구, 청주시 흥덕구, 천안시 서북구, 아산시 등 지역에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과도한 초과노동이동량으로 일자리 순증가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근로자의 초과노동이동량에 따른 산업 안전, 근로자의 휴식,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등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충북 증평군, 충남 청양 군, 계룡시는 노동력 변동이 적고 채용과 이직 또한 적은 것으로 나타나 지역 일자리 발굴 및 창출 정책의 수립이 절실함을 시사하고 있다.
        6,700원
        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구인공고를 분석하여 작업치료사 구직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분석 자료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오티브레인 커뮤니티(http://otbrain.com/)에 게시된 8,753건 의 작업치료사 모집 공고를 수집하여 지역별, 고용형태별, 급여수준별, 시기별, 모집분야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 최근 3년간 연도별 구인공고 건 수가 연도별 작업치료사 국가시험 합격자 수보다 500건 이상 더 많았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도의 구인공고 건 수가 5,272건(60.20%)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었다. 고용형태별로는 구인공고 건수 중에서 정규직이 6,467건(73.90%)으로 나타났다. 급여수준별로는 6,944건 (79.80%)이 2,500만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기준으로 구인공고가 가장 활발하게 게시되는 시기는 12~1월이고 5월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집분야별로는 성인/노인 분야가 80.0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구인공고를 통하여 작업치료 구직 시장의 변화를 알 수 있었으며, 추후 구인공고를 좀 더 구체적 으로 분석하여 다양한 분야별 수요와 공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4,300원
        3.
        2013.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인력과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작업치료사 구인공고를 분석함으로써 작업치료사의 공급과 더불어 구인공고에 나타난 지역별 구인현황을 고용 형태, 분야, 급여 등으로 구분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11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대한작업치료사협회와 오티브레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구인공고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2011년에 1,104개의 구인공고를, 2012년에 1,315개의 구인공고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교육기관은 전국에 55개가 있으며 2010년부터 해마다 1,000명 이상 작업치료사가 배출되고 있다. 작업치료사는 2012년 현재까지 평균 78.8%의 합격률로 총 7,609명이 합격하였다. 구인공고 분석 결과 경기도와 서울에서 전체 구인공고의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고용형태로 볼 때 정규직이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분야별로는 성인/노인이 85% 이상이었고 아동은 15% 정도로 나타났다. 급여는 연봉 2000만원~2500만원이 50% 이상으로 가장 많았으며, 200만원 이하는 약 15%로 조사되었다. 월별 공고 건수는 12월, 1월이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는 2012년까지 지속적으로 취업률 70% 이상으로 상이 10위안에 드는 학문 분야이다. 결론 : 공급과 수요가 늘어나는 환경에서 구인공고의 자료는 작업치료 분야의 현재 상황을 알고 앞으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표로서 작용할 것이므로 주기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통게적으로 분석되기 어려운 의료기관 이외의 분야와 작업치료사의 전문직으로써의 역할에 맞는 대우와 질적 성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4,000원
        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식경제시대에서 생존․성장하기 위해 기업이 가장 우선순위를 두고 준비해야 하는 것이 바로 지식근로자의 육성이다. 본 연구는 지식근로자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체 근로자와 비교하여 지식근로자들이 일과 생활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식근로와 개인특성(성별․연령별․학력별), 노동시장지위(산업별, 고용형태별, 지역별)의 상호관계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는 일과 생활의 질에 기여하는 또 하나의 요소가 지
        5,500원
        5.
        202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graduate competencies that can improve the uptak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 outcom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in Indonesia.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collecting data through sending questionnaires directly by the research team, via courier, or via postal service to respondents. A survey with questionnaire is carried out on April 2019, and the data from 117 respondents was analyzed. The sample population was all private higher education in the area of the I-XIV Higher Education Service Institution in Indonesia. This study employ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Graduates‟ competencie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uptak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in the job market. The indirect effect of a Diploma Supplement and networking as mediation has a level of influence that is higher than the direct effect of graduate competence on the uptak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 outcomes in the job marke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iploma Supplement and networking can increase the uptak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in Indonesia as expected by stakeholders and be able to compete in the global or international scale of environmental working. The professionalism of lecturer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