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반 노동자를 대상으로 직무요구(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가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직무소진에 대한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과 또 다른 직무요구(조직정치지각)와 직무자원(상사 지원)의 3차항 상호작용 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일반 노동자 17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은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소진에 대한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 조직정치지각 및 상사의 지원의 3차항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① 조직내 불공정한 정치적 환경이 높은 환경에서 직무요구(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가 낮고, 직무자원(상사의 지원)이 높은 집단에 속한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② 그러나 불공정한 정치적 환경에서는 상사의 지원이 적극적이더라도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이 높은 경우에는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③ 또한 불공정한 정치적 환경에서는 상사의 지원이 낮은 경우에는 업무 후 모바일 기기 사용과 관계없이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직무소진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④ 조직 내 정치적 환경이 낮은 집단에서는 상사의 지원과 관계없이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소진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5,700원
        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속도로 진전되는 고령화 시대에 기업은 중고령자를 고비용의 주체로 인식하여 구조조정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는 중고령자를 재무적 관점으로만 이해하고 이들의 숙련된 기술과 노하우를 기업의 인적자 산이라는 전략적 관점으로 접근하지 못한 결과이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청년노동력이 감소함에 따라 조 직에서 중고령자의 역할비중은 증대될 수밖에 없으며, 그러므로 암묵적 지식을 가진 중고령자의 활용도 에 따라 기업 경쟁력은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령자를 기업의 인적자산으로 인식하고 중고 령자의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기업경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증자료는 전국단위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50세∼ 64세의 중고령 임금근로자 56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적합도와 자기개발 노력은 중고령자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부담은 중고령자의 직무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세째, 고령친화 적 인적자원관리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 기업은 중고령자의 직무적합도를 제고하고, 원할한 자기개발이 가능하도록 조 직문화를 조성하며, 고령친화적 인적자원관리를 실시하여 중고령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6,600원
        3.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the new dispatching rules of job shop scheduling with auxiliary resource constraint to improve the schedule performance measures related to completion time and due dates. The proposed dispatching rules consider the information of total
        4,000원
        4.
        2004.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the new dispatching rules of job shop scheduling with auxiliary resource constraint to improve the schedule performance measures related to completion time and duedates. The proposed dispatching rules consider the information of total work remaining and machine utilization to decrease mean flowtime and mean tardiness. The results of computer experiments show that those schedule performances are significantly improved by using the new dispatching rules. The results provide guidance for th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of auxiliary resource constrained job shop scheduling to decrease mean flowtime and mean tardiness.
        4,000원
        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In endless competition, companies pursue cost reduction and work efficiency. So, entrepreneurs try to increase job intensity, which may lead to job stress and high turnovers because of job burnout. But, Information systems are acknowledged as a work support tool that secures work convenience and the productivity of employees. In this study, we aimed to confirm the effects of information systems in reduing the work overload of employees in a human resource intensive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is based o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of surveys given to hospital employees working in a human resource intensive industry. Results - The research revealed that information systems reduced the work overload of employees in a human resource intensive industry.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information systems as a job resource based on JD-R theory, and presentation of empirical results indicated that information systems alleviate employee job overload and increases job satisfaction in the medical services industry. In the medical services industry, using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decreases in work overload, which results in employees gaining time for self-development and time management, reducing job stress, and leading to job satisfaction.
        6.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장치장 운영규칙의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서 트랜스퍼 크레인의 작업운영체계를 분석하고 작업우선순위의 적용을 위한 운영규칙의 적용방법을 설명하였다. 또한 장치장에서 주행로의 특성에 따른 트럭의 대기 및 주행로 점거형태를 분석하여 블록에 진입하여 대기할 수 있는 최대 대기차량수를 도출할 수 있는 산정식을 정리하고 공간의 제약상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의 제약사항 극복하기 위해서 공간자원을 정의할 수 있는 다작업원칙을 제시하고 그 원칙을 위한 해법과 순서도를 묘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