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공원에서는 도로로 인한 서식지 단절에 따른 야생동 물 로드킬을 저감시키기 위한 자료 확보를 위해 전국 17개 국립공원(설악산, 오대산, 소백산, 월악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 계룡산, 경주, 내장산, 가야산, 주왕산, 태안해안, 치악산, 월출산, 변산반도, 무등산) 내 관통도로와 12개 생 태통로(한계령, 진고개, 월정사, 죽령, 지릅재, 밤치재, 버리 미기재, 신풍령, 시암재, 정령치 1, 정령치 2, 민목재)를 대상 으로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다. 그 중 소백산국립공원 죽 령생태통로는 2003년에 준공된 터널형 구조의 생태통로이 며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에 위치해 있다. 왕복 2차선 도로 하부에 설치하였으며 2006년부터 지속적으로 야생동물(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이용현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생태통로 총 길이는 21m, 너비는 7.6m이며, 입 구 크기는 가로 7.65m, 세로 4.5m이다. 죽령 생태통로 내부 에는 야생동물의 이용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샌드트 랩(족적판)과 무인센서카메라가 있으며 야생동물의 이용률 을 증진시키기 위해 소형동물이동로(인공 구조물)와 은신 처(돌무더기, 볏짚), 미네럴블럭을 설치·관리 하고 있다. 그 중 소형동물(다람쥐, 청설모, 하늘다람쥐, 조류 등)의 이용 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2015년 12월에 추가로 설치한 소형 동물이동로는 죽령생태통로 내부 양쪽 벽면에 목재로 제작 하였으며 높이는 약 1.3m 폭은 약 15cm이다. 본 연구는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생태통로 내 설치한 소형동물이동로 가 소형동물 이용률 증진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죽령생태통로 내 소형 동물이동로 설치전·후의 소형포유류(다람쥐, 청설모, 하늘 다람쥐) 이용률을 확인해 본 결과 설치 전인 2013년 2종 14회, 2014년은 2종 17회이었으며 설치시기인 2015년에는 2종 20회 이용하였다. 그리고 설치 이후인 2016년에는 3종 107회, 2017년 6월까지 3종 1,129회 소형포유류가 이용하 였다. 특히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인 하늘다람쥐의 경우는 소형동물이동로 설치 이후인 2016년부터 출현하기 시작하 였다. 또한 조류의 이용률을 확인해 본 결과 설치 전인 2013 년 3종 25회, 2014년은 5종 17회이었으며 설치시기인 2015 년에는 5종 10회 이용하였다. 그리고 설치 이후인 2016년에 는 11종 53회, 2017년 6월까지 12종 53회 이용하였다. 특히 굴뚝새, 동고비, 되지빠귀, 쇠유리새, 쇠딱따구리, 오색딱따 구리, 직박구리 등 7종은 소형동물이동로 설치 이후인 2016 년부터 출현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소형 포유류와 조류는 소형동물로이동로 설치전보다 설치이후 에 종수 및 이용횟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소형동물이동 로는 소형포유류와 조류의 이용률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ericium erinaceum Powder (HEP)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HEP was as follows: moisture, 6.10%; crude protein, 32.69%; crude lipid, 4.63%; crude ash, 11.40%; and carbohydrates, 45.18%. Each sample contained 3, 6, and 9% Jook of Hericium erinaceum Powder (JHEP)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ssessed. As the level of HEP increase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H (p<0.05) and significant increase in total acidity (p<0.001). In addition, L and a values decreased, whereas b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 of HEP. The Jook showed lower spreadability and higher viscosity values as its content in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s, addition of HEP positively affect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
        4,000원
        4.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dded amounts of shrimp powder on th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Jook for elderly foodservice operation. According to the amylograph data, the composite shrimp flour-wheat flour samples increased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with increasing shrimp-flour content; moreover, initial viscosity at 95℃, viscosity at 95℃ after 15 minutes, and maximum viscosity were reduced. As the level of shrimp powder in samples increased, L-values decreased, and a-values and b-values increased. In addition, the Jook had higher viscosity and lower spreadability values as the amount of shrimp powder increased. Sensory characteristics, such as nutty taste, color, viscosity, and overall preferenc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shrimp powder. In conclus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Jook, a 3% addition of shrimp powder would be the most beneficial.
        4,000원
        5.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Jook' among people to find the effective way of promoting consumption of Korean traditional 'Jook'. This survey was conducted in Seoul, Suwon, Pyongtaek area. Among 450 questionnaires, 363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47% was male,33.1% were 20 to 29 years old and 45% were students. Age and sex wer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Jook' Older generation and women liked 'Jook' the most. 'Potjook', 'Hobakjook', 'Dakjook', 'Hinjook' were mostly preferred in order. 'Jook' was eaten because of 'easy to digest', 'special treat', 'convenience food', and 'therapeutic purpose'. But taste was the most preferred characteristics selecting 'Jook' except 'Hinjook'. In developing 'Jook' to be consumed, diversity and convenience should be placed in the first priority.
        4,200원
        6.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alteration of Jook was studi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ingredients of Jook appeared in the reference of cookbooks from 1611 to 1958. 121 kinds of Jooks were mentioned 371 times. The Jooks made only with grains, mostly Hin Jook (white Gruel) made of rice, were recorded 31 times in 10 kinds. Rice or processed rice appeared most (194 times) as main ingredients in Jooks other than Hin Jook. As for condiments, honey and sugar were mentioned 37 times, accounting for one third of the condiments recorded as used for Jooks. The basic ingredient of Jooks were rice, but mostly the Jooks were named after the subsidiary materials. Chinese medicinal ingredients were most among the subsidiary materials; 35 kinds of them were mentioned 73 times. As regards the ingredients of the Jook, the other ingredients were added to the grain ingredients between the 17th century and the 19th century whereas only grains were put into Jook during the 20th century.
        4,200원
        7.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nalyze dialy meal of royal meal, studied Jook Soora Sang (Rice Gruel), Mieum Sang (Thin Gruel) and Bankwa Sang, Soora Sang in Hyun Neung Won were on record Wonheng Ulmyo Jungri Euigwae (1795). Historic book ‘Jungri Euigwae’ described the king's visit to his father's royal tomb‘ Hyun Neung Won’, during the domain of Cheung Jo, the 22nd king of Choson Dynas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Rice Gruel (Jook Soora Sang), taken before breakfast, was arranged the same as the Soora Sang. The table for thin gruel (Mieum) was arranged in three kinds of sets; one for thin gruel, the others for stewed meat (Goem) and sugared fruit (Jeong Kwa). The diet seems to have been quit scientific and restorative. Bankwa Sang and Soora Sang in Hyun Neung Won was arranged the same as the other Bankwa Sang and Soora Sang. Therefore setting the table of royal meal had a rule.
        4,000원
        8.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땅콩의 우수한 영양적 효능과 생리활성을 활 용하여 영양적으로도 우수하면서 손쉽게 많은 양을 소비할 수 있는 땅콩분말을 첨가한 죽을 제조하여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땅콩분말 첨가량에 따른 땅콩 죽의 pH는 땅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 다. 색도는 땅콩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은 감 소하였고,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은 증가하였다. 땅콩 분말 첨가 죽의 퍼짐성은 대조군 6.44에서 80% 첨가군 6.14 로 감소하였으나(p<0.05), 점도의 경우 대조군 4753.25에서 80% 첨가군 7825.22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적 특성 검사 결과 색과 향미는 땅콩분말 20% 첨가군의 경우 에 가장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고소한 맛과 씹힘성은 땅콩분말 60%와 40% 첨가군의 죽이 기호도가 높았다. 전 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대조군의 경우 가장 낮은 기호도를 나타냈고, 40%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로 볼 때 땅콩분말을 첨가하여 물성과 기호도를 고려한 죽을 제조할 경우 땅콩분말을 40% 첨가하는 것이 죽의 전통적인 품질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기능성을 더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