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7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8월에 한반도를 우회하며 동해상으로 빠져나간 2018년 제 19호 태풍 Soulik과 서해상으로 북진하여 통과한 2020년 제 8호 태풍 Bavi을 통해 태풍 유입 전‧후에 따른 한반도 해역별 수온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국립수산과학원 실시간 수온 자료와 수온관측소 근처 AWS의 바람자료 및 NOAA/AVHRR 위성 수온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이동경로가 다른 태풍이 한반도를 통과할때 동해에서는 풍속과 풍향에 따라 수온의 상승(북풍)과 하강(남풍)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였는데 특히 태풍 Soulik 유입 시 10 ℃ 안팎의 급격 한 수온 하강을 보였다. 서해는 태풍 Bavi의 중심부가 통과되면서 서해 일부 해역에서 수온이 상승되었고, 차가운 물덩어리가 존재했던 남 해 일부 해역에서도 태풍 Bavi의 이동으로 따뜻한 수온이 유입되어 평년 수온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풍 유입시 서해와 남해 는 지형적‧환경적 조건으로 인해 각 해역별 특성에 맞게 수온 변동이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태풍으로 인한 한반도 해역별 수 온 변동을 해석함으로써 이상기후에 따른 양식 생물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해역별 수산재해의 피해대응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 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2.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an analysis of bycatch data concerning Pacific white-sided dolphins (Lagenorhynchus obliquidens) along the Korean coast from 2016 to 2021. A total of 503 bycatches were examined, encompassing data on year, month, body length, sex, latitude (N), longitude (E), and fishing gear. Bycatch was the most frequent in waters with a longitude of less than 130°E, particularly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at a latitude of 35.5°N, with a higher likelihood of bycatch in lower latitudes. Since 2017, a decreasing trend in bycatches has been observed. The sex distribution of bycaught dolphins showed a predominance of males (40%), followed by females (31%), with an unclassified category at 29%, thoug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p > 0.05). Seasonal analysis indicated that bycatch predominantly occurred during the winter months, with significant monthly variations (p < 0.01). Pacific white-sided dolphins were primarily ensnared in gill nets and, to a lesser extent, in stationary nets. Statistical analysis by gear type revealed a significant preference for gill nets (p < 0.001). Considering body length composition in relation to latitude, it is suggested that Pacific white-sided dolphins may utilize the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as a potential nursery ground, though this was not confirmed at a significant level, emphasizing the need for further in-depth monitoring and ecological investigations. Given that there are approximately 27 different types of gill nets associated with the majority of bycatches, more detailed research is warranted to divide these gear types into finer subcategories for estimating bycatch relationships, ultimately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4,000원
        6.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dentify sand crab Ovalipes punctatus populations and establish management units for each population, mtDNA COI reg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clade of O. punctatus in Korea were separated by two with a genetic distance of 0.17 – 2.08%,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 of pairwise FST values representing genetic differentiation by sampling areas (p > 0.05). Also, no geographical separation found in the distribution of haplotypes and the results of the haplotype network. This result suggests that O. punctatus larvae were dispersed for a long time by the ocean current by suffering meroplanktonic period for 1 month, and increased the gene flow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swimming legs for the increase in mobility. Therefore, in the results of mtDNA COI region analysis of O. punctatus in the East Sea, Yellow Sea, South Sea and East China Sea (Ieodo) of Korea, no clear intra-species differentiation was found.
        4,000원
        7.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bidocera pavo Giesbrecht, 1889 and L. sinilobata Shen and Lee, 1963, belonging to the detruncata group in the genus Labidocera were collected from the south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using a Norpac net (0.2 mm mesh size). Labidocera sinilobata, known to be endemic species in estuary of Chinese rivers, is the first record in Korean waters. In Chinese waters, this species has only been briefly documented and illustrated. In the study,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fully redescribed with careful examination of the fine epidermal structure using a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addition to their illustrations and compared with species of the detruncata species-group.
        4,000원
        12.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은 대기로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30% 가량을 흡수하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였 으나, 이 때문에 해양의 pH와 탄산염 이온(CO3 2− )이 감소하는 해양산성화 현상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황해 연안 역의 신규 관측자료를 타 해역에서 획득된 기존 연구자료와 합쳐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양산성화 현황을 파악하고 자 하였다. 우리나라 주변의 황해, 동해, 동중국해(남해 포함)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으나, 외해 대부분의 해역에서 해양산성화의 지표인 아라고나이트 포화도가 1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해 동부 연안역에서는 담수 공급으 로 인한 희석과 성층 형성, 생물에 의한 유기물 생성과 분해가 표층과 저층의 계절적 해양산성화 변동에 큰 영향을 끼 쳤다. 진해만은 빈산소화 현상, 광양만은 담수로 인한 희석으로 여름철 광범위한 해역에서 아라고나이트 포화도가 1 미 만으로 감소하여, 탄산칼슘 패각(CaCO3 shell)을 가진 생물들에게 잠재적 위협이 될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담수 유입이 많은 황해 연안역에서는 진해만과 광양만과 같이 뚜렷하고 광범위한 산성화는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연안역 에서는 각 해역별 특성에 따라 해양산성화의 양상을 진단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우리나라 동해 남서부 해역의 계절적 용승 현상 역시 해양산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계절적 요인과 더불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및 산성물질이 해양으로 계속 유입되면서, 우리나라 바다의 아라고나이트 포화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해양 산성화로부터 수산자원과 해양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향후 체계적인 해양산성화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5,400원
        14.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reakdown of the Korea-Japan fishing negotiations since 2016 has made it impossible for many domestic fishing vessels to operate in the Japanese EEZ water, and large purse seine fishing vessels are one of them. Mackerel is a highly migratory fish species, circulating in the East China Sea, South Sea, West Sea and East Coast throughout the year, and goes through a period of wintering, spawning, growth and feeding migra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dependence of large purse seine fishing vessels on mackerel fishing in the Japanese EEZ water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ackerel by large purse seine fisheries in the Japanese EEZ waters from 2010 to 2016. The catch and fishing details were investigated. The total catch of mackerel by large purse seine fishery, the average catch rate of mackerel in Japanese EEZ is 4 percent per year. The amount is estimated at 10.2 billion won per year. Although there was an effect, it was not judg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and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catch and fish price in the domestic waters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total catch than the Japanese EEZ waters.
        4,000원
        15.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es in the fishing grounds for four drag-bagnet fisheries (large trawl, large pair trawl, large Danish seine and middle Danish seine) were investigated by year and sea-blocks in Korean waters. We used catch and effort data by sea-block (latitude × longitude: 30´ × 30´)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and yearly fishing production statistics of the Korean statistic information service from 2008 to 2014. The main benthic habitat of fishing ground was sand and sandy mud material. The average swept areas for the four fisheries were 181.7 km2, 606.4 km2, 2,720.9 km2 and 252.8 km2, respectively. The main fishing ground was around Jeju Island and the eastern South Sea. The main fishing ground moved to the northern part of the South Sea during the study period due to a closure of fishing grounds and changes in the target species.
        4,600원
        16.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선박의 안전운항과 해사안전 증진을 위하여 해사안전법을 통해 3가지의 수역 지정 및 관리 제도를 제정․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수역 지정 및 관리제도의 목적은 교통량이 집중되거나,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해역에 특정 항로 혹은 항법을 지정하여, 선박 충돌 등 사고의 위험성을 저감하고 대형 해양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 해사안전법상 3가 지 수역 및 항로지정방식은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고시 등에 산재하여 규정 되어 있어, 선박운항자가 해역별로 특정 항법을 숙지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특정항법이 적용되는 지정항로에서 적용항법이 복수로 규 정되어져 있는 지정고시의 경우, 수범자인 선박운항자가 항법을 적용하는데 있어 자신이 규율받는 항법이 무엇인지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이하, ‘국제규칙’이라 한다)의 해상 교통분리제도를 수용한 우리나라 해사안전법의 통항분리제도가 제․개정 작업 중 일부 구문이 삭제되어 결과적으로 국제규칙과 상이한 해석결과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수역 및 항로 관리제도의 본래 취지인 해양사고 방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로 수역의 통합관리와 조문 개정을 통해 근시일 내 개선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들은 우리나라 헌법원칙인 명확성의 원칙에도 어긋나며, 수범자가 규범을 오인해서 법규를 적용하는 착오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사실에 입각해 생성되는 과태료 부과에 있어, 수범자가 고의 및 과실의 부재를 소명해야 하는 행정력 낭비로 이어질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현행 항로지 정방식 및 관리제도에 관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5,7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