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developing a blended reading program for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process drama methodology to generate intrinsic motivation to read,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and language fluency, and foster twenty-first-century skills such as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ading program, a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udent questionnaires and diagnostic tests. From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sample lessons were designed based on the process drama methodology following its planning principles and strategies. Based on feedback from teachers and students after piloting the sample lessons, the blended reading program was finalized. The proposed blended reading program is expected to help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build a positive attitude toward reading English books and develop reading comprehension, language fluency, and 21st-century core competencies. It will also encourage English teachers to use innovative teaching methods in English education.
        8,300원
        2.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한국 드라마 <태양의 후예>를 분석하여 홍보가 한 나라 의 소프트 파워 전략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문화와 이데올로기 의 전파가 전 세계 매체 환경에서 어떻게 전파되는지를 탐구하였다. 우 선 국가 주도의 소프트 파워를 홍보에 접목한 이론적인 틀을 제시하였 다. 그리고 한국 영화와 드라마의 홍보 역사를 정리하였다. 이어서 <태양의 후예>는 소프트 파워가 갖춰진 한류 드라마이자 홍보 드라마 임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소프트 파워, 홍보, 한류 대중문화 사이의 관 계, 국가가 대중문화의 생산과 보급에 어떻게 참여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소프트 파워가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제시하였다.
        5,500원
        3.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1년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로 전세계에서 동시 공개되었던 <오징어 게임>은 2021년에 전세계적으 로 가장 유명한 영상콘텐츠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 작품의 성공이 흥미로운 점은 단순히 일회성이라고 하기엔 지금까지의 한국 대중문화의 역량이 폭발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성과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작품분석 및 흥행과 파급력에 대한 분석을 하고 있다. 특히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을 통해 노동환경, 탈북자, 이주노동자, 빈곤 등의 사회 문제를 보여주면서 한국의 양극화된 사회 현실을 스토리텔링에 잘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 서구권에서 자본이 많이 투입된 영상콘텐츠에서 흔히 보이는 천편일률적인 해피엔딩이나 현실과 유리된 영웅 서사가 아니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 제작되 고 있는 영상콘텐츠들의 사례를 통해 한국 대중문화의 위상과 질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4,900원
        4.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4인방이 실각 되면서 중국은 새로운 근대화 단계에 접어든다. 이 시기 새로 운 생활방식 도입과 중국 문단의 변화는 조선족 문단에도 영향을 끼친다. 철저한 계급의식과 사회주의 이념으로 무장했던 과거와 달리, 문화대혁명 시대의 규제에서 벗어난 조선족 문단은 새로운 사회의 변화를 문학에 수용하고 반영하기 시작한다. 이 글은 이러한 변화와 맞물려, 조선족 문단의 대표 극작가라 할 수 있는 리광수 희곡을 통해 1980년대 이후 조선족 희곡에 나타난 세태 반영 양상을 살펴보았다. 리광수 희곡은 중국의 개방정책 이후 변모하는 조선족 사회의 단면들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희곡집 ≪사랑의 품≫과 TV드라마 대본집 ≪사랑의 샘≫을 통해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의 삶을 밀도 있게 다루고 있다. 그는 작품을 통해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유입으로 혼돈과 변화를 거듭하는 조선족 사회에 대한 낙관적 관망과 더불어, 혼란과 분열에 대한 작가적 대안을 제시하려 했다. 당시 중국 조선족 사회의 변화를 작품 안에 담아내고, 문제의식을 형상화함으로 써 ‘상처문학’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리광수 희곡 의 변모 양상은 개방 이후 조선족 사회가 직면하게 된 개혁해방에 대한 태도의 변화와 궤를 같 이하며, 그의 조선족 사회에 대해 정확한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지점이다. 리광수는 80년대 이후 변화하는 중국 조선족 사회를 가장 적확하게 표현한 극작가라 할 수 있다.
        4,900원
        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 최근 동아시아에서 광범위하게 보여지는 한류에 대해 논의한 바, 특히 중국내륙에 엄청난 관심과 영향을 끼친 사극 드라마인 <대장금>의 수용양상에 대해 집중하여 분석하였다. 중국 사극 드라마가 지니고 있지 않은 독특한 매력을 갖은 <대장금>의 정체성과 특징 을 요약할 수 있었으며, 중국 역시 많은 역사 드라마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역사 드라마인 <대장금>이 중국내에 그러한 광범위한 관심을 가져올 수 있었던 이유 역시 간략하게 고찰하였다. 본고에서, 중국 시청자들의 <대장금>에 대한 평으로부터 그들의 취향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문화 할인율’에 근거하여 한국 역사 드라마가 해외에서 인기가 없을 것이라는 TV 평론가들의 유추에 반박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드라마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던 것에 의미를 둘 수 있겠다.
        4,600원
        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udies with various approaches are required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i) how the preferences of foreign students residing in Korea on K-Wave, K-Drama, K-Pop and K-Friend affect their prefer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and ii) which of the factors have the strongest effects on their prefer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K-Wave, K-Drama, K-Pop and K-Friend preferences, the stronger effect on the prefer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p=0.0001). Among the factors for Korean food preference, the most critical one was K-Wave preference (p=0.0001), followed by K-Drama preference (p=0.0500). For the satisfaction level of Korean food,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four was K-Wave preference (p=0.0496), followed by K-Drama preference (p=0.0500). For the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as the preference for K-Friend (p=0.0004), followed by K-Drama (p=0.0016) and K-Wave (p=0.0030). Based on these results, more efforts to invigorate the preferences for K-Wave and K-Drama, as well as various attempts to improve the preference for K-Friend are required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4,200원
        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류 콘텐츠 소비 시 나타나는 한국, 일본, 미국의 감정 반응을 통해 국가별 소비 성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대해진 텍스트 리뷰를 이용한 감정 분석 연구가 주목받고 있고, 콘텐츠 수요에 환경적 특성이 주요한 영향을 주고 있음에도, 국가별 감정 반응 차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ussell(1980)이 제시한 감정 원형 모델을 사용하여 한국형 판타지 멜로드라마 <도깨비>에 대한 국가별 감정 단어의 변수 중요도 및 단어 간 연관을 비교하였다. 우선, 2017년 1월 26일부터 3월 26일까지 2달간의 텍스트 리뷰를 수집하였다. 둘째, 수집한 데이터로부터 Russell의 감정 모델에 해당하는 감정 단어를 선별하였다. 셋째, 선별한 데이터에 랜덤포레스트를 적용하여 변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넷째, Russell 축에 따른 주요 감정 단어 간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모델의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국가별 감정 단어의 변수 중요도에서 한국과 미국은 Happy, 일본은 Pleased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단어 간 연관성에서 한국은 수동적 불쾌감, 미국과 일본은 수동적 쾌감이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류 콘텐츠에 대한 국가별 감정 반응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208 Chinese tourists who constitute the largest proportion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face to face (FTF) manner with the aim to contribute to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ve dramas on the relationship among image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cuisine. The main actor characteristics among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ve drama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cuisine. However, the thematic characteristics among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ve drama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cuisine; in addition, the production characteristic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cuisine. The eco-friendly and health images of Korean cuisin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cuisine, and the attitudes toward Korean cuisine significantly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cuisi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ontinuously publicize Korean cuisine through Korean wave dramas to build positive attitudes toward Korean cuisine through enhanced images of Korean cuisine.
        4,600원
        10.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족은 중국 역사의 격변을 함께 치루면서 생존했다. 물론 그 과정에서 그들은 역사적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었고, 그로 인해 각종 희생과 고난을 경험해야 했다. 특히 일본의 침 략, 한국의 6.25전쟁과 항미원조는 대표적인 역사적 사건에 해당한다. 이러한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조선족은 생존을 위한 선택을 강요받았다. 훗날 조선족 작가들은 이러한 역사와 생존 의 현장을 제재로 선택하여 작품을 집필했다. 그 중 조선족의 희곡에는 이러한 역사의 격변 과 생존의 문제가 수용될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조선족 희곡에 수용된 역사적 상처와 기 록으로서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황봉룡, 최정연 그리고 김훈은 이러한 역사적 순간을 포착하고 억압된 의미를 살려내는 것에 역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그들의 희곡에 담 긴 역사의 상처를 해석하고 기록으로서의 조선족의 희곡을 살펴보고자 한다.
        4,900원
        1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popularity of Korean drama and celebrities in China, Korean fashion is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in the Chinese market. Although the effect of Korean drama on Chinse consumers’ attitudes toward Korean products are known,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impact of Korean drama on the development of consumer attitudes. Thus, this study examines how Chinese consumers’ exposure to Korean dramas has influenced their attitudes towards Korean fashion products. Applying the similarity-attraction theory, the study explores the roles Chinese consumers’ perceived similarities in appearance and values with Korean characters in TV dramas plays in the process of attitude development. Data was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and the responses of 317 Chines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 that exposure to Korean dramas has a direct impact on Chinese consumers’ perceived appearance similarity, perceived value similarity, image of Korean people, and attitudes toward Korean fashion products—results that support the theory of mere exposure. In addition,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perceived appearance similarity positively influences the image of Koreans among Chinese people, which, in turn, influences attitudes toward Korean fashion products, supporting the similarity-attraction theory. However,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similarity on attitude toward Korean fashion products was not significant. The study concludes by describing i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fashion industry and presenting ideas for future research.
        4,900원
        12.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일본 드라마 “アルジャーノンに花束を”(앨저 넌에게 꽃다발을)와 이를 리메이크한 한국 드라마 “안녕하세요 하느님”에 나타난 장애 개별모델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봄으로써 장애 개별모델에 대한 단순하고 일원적인 설명을 지양하고 이를 위계적 수준으로 다원화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틀로는 Priestley(1998)의 사분위 장애모델 내 개별적 유물론(‘몸’ 차 원) 및 개별적 관념론(‘정체성’ 차원)을 바탕으로 하여, 현실반 영형 장애 개별모델과 허구형 장애 개별모델로 나누어 고찰하되, 장애 당사자 및 가족 차원, 특수교사 차원, 의사 차원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자 주인공의 지적장애에 대해 뇌수술 로 해소시키고자 하는 발상은 지적장애인의 몸과 정체성에 대한 완전한 부정을 바탕으로 한 허구형 장애개별모델로 정리되었다. 지적장애인 주인공의 변화에 대한 주변인물들의 반응은 단일한 양상으로 표출되지 않고, 현실기반형 장애 개별모델로부터 일부 사회모델적 발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반대중의 장애관의 형성 및 구축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되는 TV 드라마의 전향적 역할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7,000원
        1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e, Hyemin. 2014. Drama of Resistance, Resistance of Drama: Linguistic Practices, Discourses, and Identities in a South Korean Political Podcast Naneun Ggomsuda.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2(2), 111-134. This paper attempts to demonstrate how speakers' identities are shaped, negotiated, and performed through linguistic practices in a South Korean political podcast called, Naneun Ggomsuda. Focusing on the linkage between linguistic practices and identity performances, I employ two meaningful metaphors embedded in Naneun Ggomsuda, ‘resistant’ and ‘theatrical,’ and explore intersections among these metaphors and linguistic practices, discursive features, and speakers' identities. Within the resistant and theatrical fields of discourse, speakers actively apply speaking strategies to achieve their goals, which include their identity making process strongly interconnected to their resistant and theatrical linguistic practices. Two kinds of identities, resistant identity and theatrical identity, are the focus, and these identities are not only shaped and performed through speakers' linguistic interactions, but also collided and negotiated by both speakers and audiences in and out of the talk show. While many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Naneun Ggomsuda as an ‘alternative media,’ this paper reveals that Naneun Ggomsuda can actually be a fruitful venue for the academic investigation of linguistic practices and identity making processes. (171)
        6,100원
        1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드라마 대본으로부터 성격을 추출해 내고, 추출된 성격을 인공정서 캐릭터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드라마 대본을 이용하여 등장인물의 성격을 인공정서 캐릭터에 반영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드라마 대본에서 등장인물별로 텍스트를 분리한다. 분리된 텍스트에 대하여 형태소를 분석하고, 분석된 형태소들을 정서단어 데이터베이스와 매칭하여 정서 단어를 추출한다. 추출된 정서 단어를 이용하여 지배정서를 분석한다. 분석된 지배정서를 인공정서의 성격을 결정하는 수식에 반영하여 캐릭터의 성격을 설정한다. 드라마 등장인물의 성격이 반영된 인공정서 캐릭터를 검증하기 위해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였다. 외관상 동일한 세 개의 인공정서 캐릭터에 각각 서로 다른 등장인물의 성격을 반영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세 개의 인공정서 캐릭터에 어떤 등장인물의 성격이 반영된 것인지 맞추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 사용자들은 높은 비율로 정답을 맞추었고, 이를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이 잘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language class combined with "creative drama", one of the approaches in educational theatre, the stories told by a teacher are organically developed into an original drama with several drama techniques. Even though there are some research studies on using creative drama in the ESL context, there are few in the EFL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 of a study investigating how creative drama affects young language learners" English learning in a Korean primary school. An English drama class, at after-school program in Seoul, combined with creative drama had been observed once a week for a semester. Seven first graders in the class were presented with 6 different stories, which contain certain phonemes each and dramatized the stories in a creative way. They were assessed through pre-and post- tests and surveys in terms of their linguistic improvements and affective changes and analyzed quantitatively. 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individu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n linguistic and affective aspects by using field notes from classroom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made progress in linguistic aspects including phonics and vocabulary skills and that their affective factors including language anxiety level had shown a positive development throughout the semester. Moreover, each participant showed particular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in terms of linguistic and affective perspectives.
        8,100원
        16.
        2010.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육연극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의 발음 교육을 위해 적용 가능한 연극기법을 추출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유창하고 정확하게 한국어를 사용하여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발음교육이 가장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본고에서는 학습자의 흥미유발과 동기부여를 위해 Wessels(2008)가 고안한 연극기법을 중심으로 중급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교육연극기법과 발음교육과의 상관관계를 살피고 교육 연극기법을 통해 실행할 수 있는 발음 교육의 방안을 자세를 통한 교육, 호흡을 통한 교육, 음성연습을 통한 교육, 입술모양을 통한 교육, 노래를 통한 교육, 혀 꼬기 놀이를 통한 자음 교육, 동작을 통한 모음교육 등으로 분류하여 수업절차를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