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목과 접수의 결합 단계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를 오이접목묘의 엽록소형광반응, 엽록소함량, 활착 및 생장 특성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활착실 내의 광합성유효광양자속은 25, 50, 100, 150μmol·m-2·s-1의 4수준으로 설정되었고, 기온, 상대습도 및 LED 램프의 광주기는 각각 25oC, 90%, 16h·d-1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목의 최대양자수율은 0.84-0.85로서 광량에 따른 분명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접수의 최대양자수율은 접목 후 2일째에 0.81-0.82로 낮게 나타났으나, 3일째부터 광량이 높을수록 접수의 최대양자수율이 증가하였다. 활착 후 4일째에 측정된 접수의 엽록소함량은 광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오이접목묘의 활착율은 광량이 100μmol·m-2·s-1 이하일 때 90-95%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나, 150μmol·m-2·s-1의 처리구에서는 80% 정도로 저하되었다. 광주기에 따라 다르나, 오이접목묘의 활착에 적합한 한계 광량은 플러그 트레이 표면에 조사된 광량을 기준으로 100μmol·m-2·s-1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 처리된 광강도 하에서 활착된 오이접목묘의 발근에 최소 2일이 소요되었고, 이 기간에 접수의 최대양자수율은 최저치로 나타났다. 활착 단계에서 조사되는 광량에 따라 대목과 접수의 변이형광과 최대양자수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접목묘의 활착 단계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대목의 발근을 촉진하고, 접수의 최대 양자수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광 및 습도 등의 물리적 환경이 정확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향후 접목묘의 활착 단계에서 대목의 발근, 통도조직의 결합 상태, 수분의 이동에 따른 엽록소함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구명할 필요가 있다.
        4,000원
        3.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have taken LED lamps which are widely used recently, applied it to training ship's cabin and lounge, cafeteria, engine control room and analyzed the power consumption and illumination with existing fluorescent. Replacing 40W, 20W of fluorescents with 22W, 11W of same number of LED lamps, It showed 45% of power consumption savings and resulted to more than 20% of illumination improvement. If applied to all areas of the ship, It would surely contribute to great amount of energy savings and illumination improvement.
        4,000원
        4.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mon LED (Light Emitting Diode) lamp has many advantages to compare with fluorescent lamp, long life and no pollution matter like the mercury. The LED lamp is a good light source especially for shipboard lighting because of its compact structure which prevents explosion and shock. Also, low maintenance cost is expected due to its longer life time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lamps. The LED lamp, however, need some estimates that change of voltage and frequency, vibration, moisture on board to definite accommodation of the LED lamp to shipbo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hysical properties of a fluorescent lamp with one of the common LED lamp so as to analyze accommodation of common LED lamp on board.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wo stages. First, temperature, humidity of illumination, voltage, electric current, frequency and electric power were measured by using experimental equipments. Second,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sumption electric power, annual oil charge, annual CO2 emission and lamp life time, etc of the fluorescent lamp and common LED one was mad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sumption electric power of fluorescent lamp was 50% higher than one of the common LED lamp. As a result of measuring life time, it was found that life time of common LED lamp was more about 3.5 fold than one of the fluorescent lamp. Considering these results, it's thought that common LED lamp is verified that energy saving is possible and using is possible as substitute for fluorescent lamp on board.
        4,000원
        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열전구를 대체하기위한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7w급 LED 램프의 구동을 위한 전원장치를 설계하였다. LED 램프는 칩 LED를 여러개 직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적합한 직류 전압과 전류를 공급하여야 한다. 그런데 LED 램프는 상용 AC 220V 전원에 직접 연결해 사용하게 되므로 드라이버에는 전압제어와 전류제어가 포함된 AC/DC, DC/DC 전력변환기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램프의 LED 열에 따라 출력전압과 전류제어가 가능하며 변압기가 없는 간단한 구조의 LED 램프 드라이버를 설계하였다.
        4,000원
        6.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열전구를 대체하기위한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7W급 LED 램프의 구동을 위한 전원장치를 설계하였다. LED 램프는 칩 LED를 여 러개 직·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므0로 적합한 직류 전압과 전류를 공급하여야 한다. 그런데 LED 램프는 상용 AC 220V 전원에 직접 연결 해 사용하게 되므로 드라이버에는 전압제어와 전류제어가 포함된 AC/DC, DC/DC 전력변환기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램프의 LED 열에 따라 출력전압과 전류제어가 가능하며 변압기가 없는 간단한 구조의 LED 램프 드라이버를 설계하였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