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신동지구 지구단위계획부지를 대상으로 경관단위 유형분류 개념에 기초하여 유형분류 도면 및 가치평가 도면을 작성함으로써 경관개선을 위한 정량적인 기초자료 구축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 단위 유형분류 결과 경관단위 유형군(대분류)은 총 9개, 경관단위 유형(중분류)은 총 24개, 세 부경관단위 유형(소분류)은 총 56개로 분류되었다. 1차 평가 결과, 가치가 가장 높은 I등급에 해 당하는 경관단위 유형들은 총 12개로 나타났다. 1차 평가에서 중간등급 이상으로 평가된 경관단 위 유형들을 대상으로 한 2차 평가 결과, 미시각적 측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1a, 1b) 는 39개, 미시각적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2a, 2b, 2c)는 56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한 경관계획 관련 현행 법·제도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경관계획 내용과의 비교분석 결과 현 행 법·제도의 대부분은 인공물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바, 지구 단위개발계획의 공간적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는 미시각적으로 가치 높은 띠형 수림, 노거수 등 과 같은 다양한 크기, 형태를 지닌 자연경관요소들을 개발계획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수립되는 지구단위계획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심지 경관용으로 식재되는 초화류의 일조부족에 따른 관상성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생장 특성에 따라 수직형, 부채꼴형, 반구형 식물 6종을 대상으로 7개월간의 차광처리 후 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후 각 생장 유형에 따라 형태, 밀도, 색상 등의 관상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산출식을 도출하였다. 차광처리 전, 후 식물 생육을 측정 한 후 산출식에 따라 관상가치를 평가한 결과 가우라는 자생 지 환경에서의 관상가치를 5점으로 하였을 때 50% 차광에서 0.66점 낮았고, 돌단풍은 80%에서 0.99점 부족한 관상성을 나타냈다.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식물들의 생장 패턴을 유형화하는 등의 지속적인 경관식물의 가치 정량화에 대한 후속연구를 통해 도심지 녹지의 질을 높이는데 다양한 식물이 활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관상식물의 부가가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참억새군락은 우리나라 산림 내 미립목지, 경작지 주변, 묘지주변등 주로 목본식물이 생육하지 않는 광량이 풍부한 각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생육하고 있다. 현재 참억 새군락은 우리나라 산림 특성상 자연 천이에 의해 지속적 축소가 예상되며 그에 따른 빠른 쇠퇴가 진행되고 있는 중 이다. 참억새군락은 지역관광자원으로 대표적 가을 경관 중 하나로 참억새군락의 생육상태가 점차 쇠퇴해지고 있는 반면 방문객들의 관리요구는 도리어 높아지고 있다. 유명한 참억 새군락이 있는 지자체들은 참억새군락 보전관리유지에 많 은 고민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참억새군락을 자연에 맡겨 경관의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지, 아니면 참억새군락 경관 유지를 위해 참억새군락을 집 중적으로 관리하여 방해극상의 개념으로 참억새군락 경관을 유지해야 할 것인지가 해결해야 할 딜레마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참억새군락의 보전유지관리 여부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참억새군락 생육환경과 생육상태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참억새군락 경관보전가치를 추정하였다. 먼저 참억새군락의 효율적 유지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자 료 활용 모색으로, 부산 도심지에 위치한 대규모 참억새군 락으로 유명한 승학산을 대상지로, 참억새군락의 생육환경과 생육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더불어 화왕산과 재약산의 참억새군락의 생육환경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첫째, 산림지역의 참억새군락은 참억새군락의 생육을 방 해하는 수목들의 생장이 좋지 않은 유효토심이 낮은 지역에 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둘째, 현존식생 현황은 화재 등 교란이후 숲의 천이가 진행되는 과정에 있는 지역으로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식물군집구조현황은 참억새군락의 피도에 따라 관목의 유입정도, 초본식물별 피도 등을 고려하여 조사하였는데, 산불발생이후 유기물의 축척에 따라 토양환경이 변화되고 있으며, 천이의 과정상 자연스럽게 목본식물이 이입되고 있어 참억새군락의 쇠퇴가 가속화 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현재의 승학산은 부영양화 된 토양으로 다른 습윤지성 목본식물군락으로의 천이가 예상되고 있어 참억새군락의 생육을 오랜 시간 지속유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비용효율적인 참억새군락 관리를 위해 전체적인 참억새군 락의 유지보다는 탐방로에서의 가시권과 조망점에서의 가 시권과 같은 시각경관을 분석하여 관찰이 용이한 지역의 집중적 관리가 효과적인 참억새군락 경관관리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연구로 문화서비스(cultural services) 측면에서 참 억새군락의 지속가능한 자연자산자원으로서의 경관보전가치 평가를 위해, 대규모 참억새군락으로 유명한 승학산, 화 왕산, 재약산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3개 대상지의 탐방객 들을 대상으로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으로부터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해 참억새군락 경관의 공익적 가치를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있어서는 공통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대상지를 많이 방문하였고, 그 중 화왕산은 남성 방문객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환경보전에 대한 노력은 승학산과 화왕산의 경우는 적극적이다가 약 60% 내외로 탐방객들은 생활에서 환경을 위한 작은 실천들을 하고 있다고 답변을 하였으나, 재약산의 경우 응답자들이 보통 이하의 답변이 높게 나왔다. 셋째, 이중경계 로짓모델에서의 t-값의 유의확률을 보면 승학산의 경우, 수입과 환경보전 노력에 관한 변수들이 ‘예’ 라고 응답할 확률이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수입이 높을수록 환경보전노력을 많이 하는 탐방객일수록 제시액에 ‘예’라고 응답할 확률이 높아 짐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투입된 변수로 추출된 계수를 이용하여 추정한 이중경계에서의 로짓모델의 1인당 참억새군락 경관가치에 대한 평가는 승학산(38,277원), 화왕산(38,648원), 재약산 (48,891원)으로 전체 평균은 38,679원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참억새군락 경관가치는 영화 1회 관람비나 놀이 공원 입장료등의 현 시세 물가와 비교하였을 때 탐방객들의 지불의사가 높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탐방객들이 참억새군 락 경관을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 자연자산가치로서 인식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growing emphasis has been placed on the installation of rain gardens. However, previous rain garden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physicochemical effects such as rainfall runoff management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neral perceptions of rain gardens and landscape aesthetics among rain garden visitors.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of 100 rain garden visitors was conducted, gathering information about their general perceptions of rain gardens and landscape aesthetics at three pre-selected rain garden locations. Results showed that rain garden recognition was limited to 34% of the respondents, indicating that most people were not aware of rain gardens and were unable to notice differences between rain gardens and traditional gardens. However, stronger support for rain gardens was observed among those who were aware of the concept, those who recognized that rain garden planting types are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gardens, and those who rated positively the landscape aesthetic value of rain gardens. The main findings are expected to encourage further studies of quantitative indicators by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esthetics and functionality of rain gardens.
        4,200원
        6.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regard it as most meaningful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hedgerow in cultivated areas functioning as a residual landscape element in rural landscape and set improvement guidelines through landscape character and value analysis to cope with landscape malfunction. The results of summary are as follows. 1) First of all, as a result of landscape character analysis of edge stripe in cultivated land in total of 7 case areas, for example, the edge stripe in cultivated land in case area 4 and 8 maintain the width of 10m and are assessed satisfactory in terms of vegetation development condition, appearance of living species, connectivity, buffer capacity and so on. Also, as a result of structural character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item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width and appearance of living species showed 0.941, the highest. Following are connectivity and appearance of living species and width and buffer capacity respectively: 0.841 and 0.740. 2) As a result of landscape character analysis of uncultivated stripe in total of 6 case areas, it is analyzed that case area 4 maintains the widest width as almost 4.5m average width and considered valuable as I degree in vegetation development condition, filtering, and connectivity. 3) As a result of problem analysis of uncultivated stripe, for example, case 3, 9, and 10 was analyzed that the width was below 1.25m which is too small to carry out the function of buffer and habitat for living creature, so minimum standard width was set between 4~5m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f character of each case area. Based on the result above landscape character, value and problem analysis, main improvement guidelines are set in terms of width, connectivity, filtering, and vegetation development, restrictive practices and so on.
        4,000원
        7.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오대산 국립공원 일대의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 가운데 경관과 학술적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을 선정,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 활용하는 방안에 필수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조사과정에서는 147개의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지형은 구조지형이며, 다음으로는 풍화, 하천, 산지, 호소, 주빙하 지형 등이다. 다양한 지질 및 지형경관 자원 가운데 4개 노두가 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고, 5개 노두는 학술연구를 위한 가치 있는 자원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조사자료는 관광지질학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질관광 대상지역의 다양성 제고를 촉진하고, 국립공원관리공단 에서 탐방객에게 제공하는 자연해설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기능성 제고를 배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8.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terest on rural ecological landscape has recently grown on the part of policy makers for rural development. While considerable efforts and resources have been invested to preserve and utilize rural landscape, we still lack a systematic means to quantify and evaluate ecosystem service value of the rural landscape and management status. So this study suggests rural ecological landscape management indicator considering ecosystem service value. It consists of 28 criteria and 107 subcategories, which can be applied to rural village. And We have applied ecosystem service value assessment and resident’s management status on three villages, Moondang village, Yonggye village, and Sesim village.
        9.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 to define what measurement items in terms of subjective consideration and preference can be used to assess the landscape values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and second, to understand the perceptive patterns particularly how landscape experts weigh up the importance of the each measurement item. In order to extract the measurement items,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including research documents as well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y reports. A survey targeting the experts was conducted to ask their opin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selected items. For the analysis, SPSS 20.0 for Windows was used to carry out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arithmetic mean and frequency distribution,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ing. The results are: the importance value of the landscape values in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was 4.1494; the ratio value that the experts perceived the importance was 87.2%; and the average of the importance value of the analyzed items was 3.71. All the items have more than 3.00. Ten factor groups were summarized and defined whose total explanation power was 67.86%. The factor groups were named as lyricism, authenticity, environmentally-friendliness, durability, recognizability, regionality, visibility, value of sightseeing, social image, and universalit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ndscape values are, in order of importance, recognizability, authenticity, visibility, universality, durability, and nativen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however, environmentally-friendliness, regionality, value of sightseeing, and social image were not as important.
        1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study area, which will be formed into Daegu Science Park as 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to assess the landscape value based on biotop classification with different polygon forms, and to develop and computerize Biotop Value Assessment Tool (B-VAT) based on GI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biotop classification based on an advanced analysis on preliminary data, a field study, and a literature review, total 13 biotop groups such as forrest biotop groups and total 63 biotop types were classified. Second,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on landscape value assessment model of biotop, we development biotop value assessment tool by using visual basic programming language on the ArcGIS. The first application result with B-VAT showed that the first grade was classified into 19 types including riverside forest(BE), the second grade 12 types including artificial plantation(ED), and the third class, the fourth grade, and the fifth grade 12 types, 2 types, and 18 types respectively. Also, according to the second evaluation result with above results, we divided a total number of 31 areas and 34 areas, which had special meaning for landscape conservation(1a, 1b) and which had meaning for landscape conservation(2a, 2b, 2c). As such, biotop type classification and an landscape value evaluation, both of which were suggested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help to scientifically understand a landscape value for a target land before undertaking reckless development. And it will serve to provide important preliminary data aimed to overcome damaged landscape due to developed and to manage a landscape planning in the future. In particular, we expect that B-VAT based on GIS will help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pplicability for of current value evaluation models, which are based on complicated algorithms, and will be a great contribution to an increase in convenience and popularity. In addition, this will save time and improve the accuracy for hand-counting. However, this study limited to aesthetic-visual part in biotop assessment.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in the future research comprehensive assessment should be conducted with conservation and recreation view.
        11.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make value estimating system to valuate prototype landscape of rural and to derive itemized importance to select priority preservable ob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is examined value estimating standard by analyzing prototype landscape related previous study, law and order. Also, It is derived conclusive prototype landscape value estimating system by doing attribute assessment of preserving objects while surveying the site and interviewing professionals, Value estimating system is classified into five items of physical value which are integration, harmony, diversity, symbolism and aesthetics, The historical-cultural value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which are religious value, originality, historicity and scarcity, The communal value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sociality, continuing and regional locality and also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rarity, primitiveness and diversity as the ecological value, Relative priority of prototype landscape value estimating system result is derived as historical-cultural value as the superior position and physical value, communal value and ecological value as the priority order. In the subordinate, historical categories are derived to be the most valuable and originality, symbolism, integration, regional locality, continuing, harmony, aesthetics, religious value, primitiveness, diversity of physical values and diversity of ecological value in order of the priority assess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the meaning of practical use in prior selection and preservation plan of preserving prototype landscape as practical alternative plan for systematical preservation of damaging prototype landscape.
        12.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chotomous-choic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s applied to estimate the landscape value of Jeju mandarin(orchard). A distribution-free approach, Turnbull empirical distribution model, is employed to solve negative willingness to pay and truncation problems. The data used are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ith tourist about willingness-to-pay at the various donation amount levels of Jeju mandarin(orchard)'s landscape value. The evaluation result is shown that the average amount of willingness to pay for the Jeju mandarin's landscape value is 12,926 won per person with standard deviation of 1,874.7 won/person. When the number of Jeju visitors is considered, the economic value of Jeju mandarin's landscape rises every year(2005:64.89 billion won, 2011: 84.43 billion won). The average economic value of Jeju mandarin's landscape are estimated 59.65 billion won during 2000-2005 and 76.88 billion won during 2006-2011, respectively.
        1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chotomous-choic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s applied to estimate the landscape value of Jeju Island's stonewall fencing farming land. A distribution-free approach, Turnbull empirical distribution model, is employed to solve negative willingness to pay and truncation problems. The data used are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ith tourist about willingness-to-pay at the various donation amount levels of Jeju stonewall's landscape value. The evaluation result is shown that the average amount of willingness to pay for the Jeju stonewall fencing farming land is 3,001 won per meter with standard deviation of 511.0 won/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