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2

        4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ady-to-eats fresh cut-vegetables that may be consumed without further cooking or reheating can be grouped as potentially high risk foods. The foodborne disease outbreaks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the fresh cut-vegetables have been related with the contamin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The food survey and consumption data sets for fresh cut-vegetables and also the published dose-response models for L. monocytogenes, was used to estimate the risk of L. monocytogenes for fresh cut-vegetables in Korea. Also, the simulation model and formulas with Microsoft@ Excel spreadsheet program using these data sets and chose dose-response model was developed. The mean case of listeriosis by consumption of the fresh cut-vegetables per 10 million per year was estimated as 3.23 × 10-6. Results suggest that additional studies were needed to allow for a more realistic and accurate microbial risk assessment (MRA) in the future.
        4,000원
        42.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68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s, including 11 reference strains and 57 isolates from imported US beef, domestic meats (beef, pork, chicken meat), raw milk, and milk plants. L. monocytogenes was to evaluate the production of virulence proteins, such as hemolysin (LLO) and lecithinase (LCP), the adsorption of Congo red (CRA), and to detect virulence genes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 the study of virulence protein production, 68(100%), 62(91.2%), and 54(79.4%) of the 68 L. monocytogenes strains were positive for LLO production, the LCP test, and the CRA test, respectively, while strains of other species, such as L. innocua, L. gray, L. murrayi, and L. welshimeri, were no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 monocytogenes serotypes and the ability to produce LLO or LCP. L. monocytogenesstrains had very high hemolytic titers (2 to 16 fold), while the other Listeria species, other than L. ivanovii and L. seeligeri, did not. The hemolysin activities of L. monocytogenes, L. ivanovii, and L. seeligeri usually exceeded 1.0 HU/mg, while those of other Listeria spp. were less than 0.04 HU/mg. In the PCR assay, all of the L. monocytogenes strains contained the hlyA, plcA, plcB, inlA, and inlB virulence genes and produced a product of the expected size. In the PCR of the actA gene, the expected 385-bp product was seen in 39(57.4%) L. monocytogenesstrains, while an unexpected 268-bp product was seen in 29(42.6%) strains. Most L. monocytogenes strains isolated from Hanwoo beef produced the 385- bp actA gene product, while strains of imported US beef usually produced the 268-bp actA gene product. By contrast, no virulence gene products were amplified in the other Listeria spp.
        4,000원
        44.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산 과일 주스 4종을 준비하고 식중독 유발균인 Listeria monocytogenes와 Salmonella Typhimurium를 접종하여 14일 동안 4℃에서 보관하며 항균 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L. monocytogenes 에서는 매실 주스가 가장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어 보존 14일만에 생존하고 있는 균을 전혀 측정할 수 없었으며, 그 다음으로 키위가 3.0 log만큼 억제를 보이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감귤의 경우 1.0 log만큼 억제하는데 그쳤다. 매실주스 10%를 다른 주스에 혼합하였을 때 L. monocytogenes는 키위 즙에서 더욱 향상된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14일 후 생존 균을 측정할 수 없었고, 감귤주스에서도 1.5 log 만큼의 향상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은 전반적으로 L. monocytogenes 보다 더 쉽게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키위 즙과 매실 주스에서 접종한 모든 균이 보존 14일 후 생존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감귤의 경우에는 1.4 log 만큼밖에 억제하지 못했다. 10%의 매실과 혼합된 주스에 S. Typhimurium을 접종한 결과 키위 즙에서는 접종한 전 균이, 감귤주스에서는 3.2 log 만큼의 증가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매실은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과실주스에서의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 보존 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0.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생물학적 위해성 평가(Micribial risk assessment: MRA)에서 노출평가시 확률적 접근방법은 식중독 발생에 관련된 많은 위해 미생물의 다양성과 변이성 그리고 불확실성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고 과적의 접근방법인 point estiamte 보다 훨씬 더 현실성이 반영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어 현재 MRA의 노출평가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MRA 방법론 중 노출평가에서 이용될 수 있는 수학적 확률분포 모델을 이용하여 위해 미생물의 발생수준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식육에서의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오염수준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 국내 식육에서의 L. monocytogenes의 오염수준은 평균 (50_(th) percentile) -4.08 Log CFU/g이며, 최소 (5_(th) percentile) -4.88 Log CFU/g, 최대 (95_(th) percentile) -3.56 Log CFU/g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4,000원
        52.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PD 분석은 한 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임의의 DNA조각을 증폭하는 것이다. 이때 만들어지는 여러 형태의 DNA pattern을 이용하여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를 분류할 수 있다. 리스테리아균들을 효과적으로 RAPD typing 할 수 있는 primer들을 엄선하기 위하여 리스테리아 표준균주 13종을 대상으로 총 31가지 primer들의 RAPD분리력을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는 재현성이 높았으며 이중 6가지 primer(primer 6, HLWL74, UBC155, UBC127, Lis5, Lisll)가 discrimination index, band의 숫자, band scoring의 난이도 등을 고려해 볼 때 나머지 primer 들에 비해 우수한 분리력을 보였다. 이들 primer들은 장차 리스테리아의 RAPD typing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이들을 이용하여 돈육공장의 오염원 규명을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4,000원
        55.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치미액은 전통적으로 냉면국물로 이용되어왔다. 냉면국물의 미생물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이 높은 김치 젖산균 Lactobacillus homohiochii B21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16을 스타터로 혼합사용하여 동치미액을 제조하고, 이를 냉면국물에 100%, 50%, 10% 및 0% 첨가하여 20℃ 및 10℃에서 보관할 때에 동치미액의 항균력으로 인하여 의도적으로 첨가한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의 증식이 억제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동치미액 100%인 냉면국물은 20℃에서 보관할 때에 Listeria monocytogenes는 8시간만에, Escherichia coli O157:H7는 40시간만이 10^6CFU/ml에서 10^0CFU/ml로 각각 급격히 사멸하였고, 10℃에서 보관할 때에도 시간경과에 따라 생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감소속도는 20℃에서 보관할 때보다 느렸다. 동치미액을 50% 첨가한 육수에서도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는 시간경과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감소속도는 동치미액 100%일 경우보다 느렸다. 동치미액을 10% 첨가한 육수는 20℃에서 보관할 때는 초기에 Listeria monocytogenes 및 Escherichia coli O157:H7의 균수증가가 약간 있었으나 동치미액 무첨가에 비하여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16시간 이후부터는 균수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동치미액을 첨가하지 않은 육수는 20℃에서 보관할 때는 초기부터 Listeria monocytogenes 및 Escherichia coli O157:H7의 균수증가가 급격히 이루어졌으며, 10℃에서 보관할 때는 24시간 이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Listeria monocytogenes 및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본 동치미액의 항균활성은 후자의 미생물보다 전자에 대하여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동치미액을 육수에 50% 첨가하여 냉면국물을 제조한다면 보관중의 미생물 오염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6.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pork fabrication processing were examined for isolation and serotyping of Listeria monocytogenes. Three hundred thirt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gloves, knife sharpeners, knives, cutting boards, conveyer belts, skinning machines, working room air, pig carcasses, and cut meat. Among the 234 samples taken from processing environment, the isolation rates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other Listeria spp. were 17.5%, 34.2% respectively. Isolation rates of Listeria monocytogenes from different specimens during processing were 20.8% in gloves, 21.3% in knife sharpeners, 14.6% in knives, 20.8% in cutting boards, 28.6% in conveyer belts, 16.7% in skinnig machines. Listeria monocytogenes and other Listeria spp. were not detected in working room air. Isolation rate of Listeria monocytogenes 14.6% in pork was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8.5% in pig carcasses (p$lt;0.05). The serovars of 41 isolates from processing environment were 4b 36.6%, 1/2a 24.4%, 4ab 17.0%, 4a 4.9%, 1/2c 2.4%, and 4c 2.4%. The serovars of 4b, 1/2a, 4ab were detected from carcassess and cut meats.
        4,000원
        57.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 vitro effects of trisodium phosphate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on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investigated. The trisodium phosphate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was bactericidal toward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The killing effects of the 1 × 10^(-2) M trisodium phosphate on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30-40%, 40-50%, respectively. The killing effects of the 5 × 10^(-7) M cetylpyridinium chloride on E. coli 0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90-95%, 95-99%, respectively. The killing effects of the trisodium phosphate was 105 times that of the cetylpyridinium chloride. Factors effecting the bactericidal action of trisodium phosphate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were investigated and the action depended on temperature and pH.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