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ver aquaculture, which occupies a large proportion in the aquaculture industry in Korea, is still highly dependent on human lab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system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aquaculture production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an improved system in a study for the loading-unloading and automatic weighing systems in laver aquaculture industry. Economic analysis of the developed unloading and automatic weighing system were implemented under various conditions to calculate more accurate benefits and cos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conomic feasibility was found to be very high in the three models: net present value (NPV), benefit-cost ratio (B/C), internal rate of return (IRR). Moreover, the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showed that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automatic loading, unloading, and weighing system in laver aquaculture was very high.
        4,000원
        2.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적액체위험물의 하역 운영의 안전규제와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고로 인하여 산적액체위험물 취급과 관련한 안전성 확보가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원유운반선 우이산호 부두접촉사고, 2015년 중국 텐진항 폭발사고 및 2019년 울산 스톨트 그로앤랜드호 폭발사고로 인하여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가운데 중국 텐진항 폭발사고와 울산 스톨 트 그로앤랜드호 폭발사고는 주변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액체위험물은 개별업체에서 제조되어 도로 또는 철도를 통 하여 항만의 위험물 보관업체의 위험물 취급 저장시설로 이동되어 보관되었다가 선박을 통해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액체위험물의 수입도 동일한 경로를 통하여 반대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액체위험물의 하역 운영에 대한 사항은 선박입출항법상 자체안전관리계획제도에 의존하고 있지만, 폭발사고 등으로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효과적으로 안전을 확보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적액체위험물 하역 운영에 관한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 하고 우선적으로 관련 법령의 개정안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현재 선박입출항법에 따른 자체안전관리계획제도 보다 강화된 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으므로, 그 논의의 기초단계로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할 수 있는 입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6,100원
        3.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n automatic system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of a laver aquaculture industry in Korea was developed by combining a hydraulic control system and a load cell in a current landing work of the laver. The improved gathering laver system allowed the automatic gathering process of the laver in the sea with the hydraulic control system connected to a cutting machine of the laver on the operating ship, which has been used for gathering the laver semi-automatically in a form of the traditional farming method. The transporting process of the laver from an operating ship to the land was improved as follows. A frame installed on the operating ship and the bag nets were designed and made to hold about 1,000 kg of the laver inside. The bag nets contain the laver on the improved operating ship were tied in knots and hooked on a crane using a load cell. The weight is measured immediately by lifting the bag nets through the load cell system. Weight information is communicated to the fishermen and successful bidders through the application. The advantages of the improved system can help fishermen to fish by improving their working environment and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The field survey to improve the landing operation of the laver aquaculture was conducted in Gangjin, Goheung, Shinan, Wando, Jindo, and Haenam in South Jeonnam Province. A total of 10 sites including Gunsan in Jeonbuk Province, Daebu Island in Ansan City, Jebu Island in Hwaseong City in Gyeonggi Province, and Seocheon in Chungnam Province were searched to collect data. Prototypes of the system were tested at the auction house of laver located in Goheung, where laver collection using hydraulic control and landing using road cell could be improved.
        4,000원
        4.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nalyzed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current maintenance of Incheon port's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s and the possibility of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application.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 current maintenance of Incheon port's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s was not good. So we suggest TPM as the future maintenance methodology of equipments. Using TPM to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s we will expect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and to increase the life time of equipment. And also it will raise the safety of Incheon port.
        4,900원
        5.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pplied the TPM to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s of Incheon port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maintenance of Incheon port's equipments. Also we analyzed the death disaster causes of equipments and work tools and suggested TPM techniques as a plan of disaster prevention. Using TPM to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s we expect to obtain the breakdown zero, defective zero, and disaster zero. And then it should raise the productivity of harbor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s.
        4,900원
        6.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변형 탄소성 프레임의 해석은 운동학적, 재질적, 수치해법상으로 매우 복잡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요소나 알고리즘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보요소에 대하여 봉이론으로부터 유한요소를 만들고 소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Cauchy응력과 공학적변형률을 구성방정식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객관화된 증분해법에 의한 보요소를 제안하였다. 특히 항복조건의 만족을 위하여 정확하고도 효율적인 소성방정식의 적분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연속법과 일차원 탐색 등을 고려하여 광역수렴성과 2차 수렴속도를 갖는 수치해법을 개발하고 예제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4,000원
        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상인 소비자에게 서비스가 어떻게 인식되고 평가되는지에 대한 명시적인 모형이 부족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비스품질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Parasuraman et all.(1988)의 연구를 토대로 구성한 PZB모형 과 Brady and Cronin(2001)의 연구를 토대로 구성한 BNC모형에 서비스품질모형을 적용하고, 그에 대한 우수성을 비교하였다. 터미널 이용자 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PZB모형보다 상대적으로 BNC모형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이 많아짐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설명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결과는 산업의 특성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겠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는 추후 항만하역업에 대한 연구범위의 확장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8.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주요 생산성 지표는 안벽에서의 작업 효율성이라 할 수 있다. 안벽에서는 Q/C(Quay Crane)이라는 장비가 접안 선박의 컨테이너를 하역한다. Q/C의 작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효율적인 Y/T(Yard Tractor)운영 방식이 필요하다. 기존 작업 방식(싱글 사이클)에서는 양하작업 이후 적하 작업이 이루어진다. 듀얼 사이클이란 양하작업과 적하 작업을 동시에 함으로써 안벽 생산성과 야드 트랙터의 이용률을 높이는 방법이다. 터미널에서 듀얼 사이클의 도입은 추가적인 장비의 도입 없이 운영에서의 변화만을 요구한다. 즉, 기존의 dedicate 시스템에서 pooling 시스템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듀얼 사이클을 이용하는 항만에서의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선적 계획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문제를 풀기위해 유전 알고리즘과 타부서치를 제시하였다.
        9.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ick-up/delivery of consumer goods to offices, shops, and restaurants in order to support urban lives is one of the most vital activities in a city. With economic growth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 greater variety of goods have come to be supplied, and pick-up/delivery of consumer goods has become more complex. Efficient urban goods movement in Central Business District(CBD} starts with an efficient system for loading/unloading, and pick-up/delivery activities. Loading/unloading activity may be carried out on-street, or on especially designated space inside or outside buildings.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ty the efficient urban goods movement in CBD(also called the pick-up/delivery activity) from the three different types of loading/unloading 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e differences in loading/unloading and truck-trip activity time of each loading/unloading facility was compared by performing the simulation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