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형선박 기관실 내 화재 시 개구부 유동 및 온도에 대해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하여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열방출률이 10 kW 급인 경유(Diesel) 화재를 대상으로 하였고, 천장 통풍통의 위치, 측면 개구부 유·무 및 크기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였다. 측면 개구부의 유·무 및 크기는 연기 거동 뿐 아니라 개구부를 통한 질량 유량 및 온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측면 개구부가 미설치되거나 크기가 작은 경우 연기층이 기관실 내 바닥까지 도달하였고, 측면 개구부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개구부를 통한 질량 유량이 증가하고 온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천장 통풍통의 위치가 연기 거동, 개구부를 통한 질량 유량 및 온도에 미치는 영향은 측면 개구부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소형선박의 기관실 내 화재 시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천장 통풍통 위치보다 측면 개구부의 크기가 더 중요한 설계 인자인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2.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transportation size and the location of distribution centers to minimize logistics cost in a distribution system where products are transported from the distribution centers to the retailers. Logistics cost consists of the
        4,000원
        3.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해 중 발생하는 선박의 화재는 외부로부터 소방 활동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선내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더구나 여객선의 경우에는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이고,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더욱 심각하다 화재가 발생하며 연소과정에서 열 뿐만 아니라 많은 연기가 동시에 발생하고 다량의 유독성 연기는 질식사와 같은 인명피해를 가져오게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박의 실내공간에서 화재의 크기 및 위치에 따른 연기거동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화원의 크기를 두가지로 하고 세가지 형태의 화재 위치에 따라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견과 연기 및 열의 확산 특성은 모서리형 화재에서 가장 가파른 상승 곡선을 보였다.
        4,000원
        5.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의 개시 후에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목표크기나 목표위치의 변화가 계획된 주동근과 길항근의 활동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운동명령의 동작중 조절과정에서 시각정보가 이용되는 방식을 검토하는 것이다. 남자대학생 20명이 목표의 크기나 위치가 예기치 않게 변화되는 상황에서 시각적으로 명시된 공간적 목표지점을 향하여 팔꿈치 신전운동을 수행하였으며, 각 동작시 팔꿈치 관절의 이동각도와 주동근 및 길항근의 근전도 활동을 측정하였다. 목표위치조건에서의 최종팔꿈치각도는 목표위치가 멀어진 경우에는 커졌으며 가까워진 경우에는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표크기조건에서는 과제제약의 변화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동작의 가속국면동안 측정된 주동근 활동의 강도는 목표위치가 멀어질 경우에만 증가되었으며 목표크기의 변화에는 민감하지 않았다. 동작의 감속기동안 측정된 근육활동 역시 목표크기의 변화에는 민감하지 않았으나 목표위치의 변화에 부응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목표위치가 증가될 경우 주동근 활동은 증가한 반면 길항근 활동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목표위치가 가까워질 경우에는 반대로 주동근 활동은 감소하였으나 길항근 활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작의 개시 후에 과제상황의 얘기치 않은 변화가 발생할 경우 시각체계는 변화된 과제제약의 특성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변화된 과제제약의 특성이 제어전략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선택된 제어전략은 운동명령의 동작중 조절과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변화된 과제제약이 부과하는 운동학적 요구에 부응하는 근육활동유형을 생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