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분지 신동층군의 백악기 진주층 일부 사암에서 산출되는 흑색의 불투명 탄화수소인 고열역청(pyrobitumen) 의 산상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고열역청은 녹니석 공극벽 선충진(pore-lining) 교결물을 피복하거나 교결물 끝부분에 스 며들어간 상태로 산출되므로, 녹니석 교결물 침전 이후에 생성된 것이며, 이는 과거 원유가 존재했음을 지시한다. 액상 의 탄화수소는 진주층이 상당한 깊이로 매몰되는 동안 유입되었으며, 진주층 사암은 저류암의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 다. 진주층에 고열역청이 존재하는 것은 진주층이 액상 탄화수소의 이동 이후 심부 매몰과정을 겪었음을 지시한다. 그 후 매몰 온도가 더 증가하면서 탄화수소의 열분해가 일어나고 고열역청이 저류암에 잔류물로 남게 되었다.
        4,000원
        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fossil liverwort (Hepaticae) of Thallites yabei (Kryshtofovich) Harris is described based on the newly obtained material from the Lower Cretaceous Nakdong Formation of Sindong Group, Korea. The thalli of T. yabei is ribbon-like, bifurcating at least three or four times, and has a distinct midrib. Although the thalloid plants are herbaceous with little hard part, the thalli of T. yabei is relatively well preserved to show the sequentially bifurcating pattern in the specimens occurred in the same fossil locality. Such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hey were probably buried in situ. The abundant occurrence of thalli plants also indicate that land was covered densely by them as one of the terrestrial land plant members, and flourished under the tall arbor trees in the humid environment during the Early Cretaceous in the Gyeongsang Basin.
        4,000원
        3.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pressinocladus sp. found from the upper part of the Jinju Formation of the Shindong Group, Korea is described here based on the newly found leafy shoots.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the branched leafy shoot with decussate scale leaves. The presence of Cupressinocladus in the Jinju Formation indicates that the Early Cretaceous flora-sites in Eastern Eurasia are in a close association with territories of the mixed-type floras. The finding of this species records the first report for the Nakdong flora.
        4,000원
        4.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북 영동 지역에 분포하는 하부 백악계 영동층군에서 식물화석이 많이 산출되었다. 영동 식물군은 이번에 처음 산출된 Pseudofrenelopsis의 자성생식기관과 웅성생식기관을 포함하여 Frenelopsis cf. alata, Pseudofrenelopsis cf. parceramosa, P. cf. varians, Brachyphyllum cf. vulgare, Pagiophyllum sp. 및 Classostrobus sp.의 5속 6종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모두 케이로레피드과에 속한다. 영동 식물군은 전기 백악기 중기-후기에 아열대의 건조한 기후 하에서 번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5.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분지 중앙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하부 하양층군의 사암과 이암에서 산출되는 속성광물은 탄산염 광물(방해석, 백운석), 점토 광물(I/S, C/S, 일라이트, 녹니석 및 캐올리나이트), 알바이트, 석영 및 적철석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각 층별 특징적인 속성 광물상으로는, 칠곡층에서는 알바이트-녹니석(C/S포함)-적철석이, 신라역암은 알바이트-일라이트-방해석이, 함안층에서는 일라이트-녹니석-적철석이, 반야월층에서는 알바이트-녹니석-백운석이 산출된다. 속성 작용 과정의 물리, 화학적 환경 변화를 지시하는 점토 광물로는 일라이트가 전층군을 통하여 보편적으로 산출되나, 녹니석(C/S포함)은 회색 또는 녹색암이나 화산기원 물질의 함량이 높은 칠곡층 사암과 이암에서 주로 나타난다. 이러한 속성 광물상에 근거할 때, 속성 광물의 생성은 일차적으로 기원암과 밀접히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라이트 결정도를 기준으로 이 지역의 사암과 이암은 후기 속성 작용 단계 내지 저변성 단계에 해당되며, 속성 작용은 매몰 심도 보다 백악기 화강암체의 관입, 유기물의 함량과 입자의 크기 및 퇴적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