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misia tabaci is a species complex consist of about 40 cryptic species. This species is also a vector of at least 100 begomovirus including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TYLCV transmitted by B. tabaci in a circulative propagative manner but its molecular mechanism is remain unclear. We investigate the transcriptional response of B. tabaci MED to TYLCV infection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analysis. In total 16757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viruliferous and non-viruliferous whiteflies were analyzed. Among them 289 transcripts found significant, where 116 up-regulated and 173 down-regulated. Our results reveal the whitefly-TYLCV relationship and provide important molecular information about virus transmission of vector insects.
        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is a pest that sucks a plant's phloem, excretes nectar and infects tomatoes with TYLCV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causing severe economic damage. In order to explore the cause for occurrence of areas where the genetic structure of B. tabaci MED (Mediterranean) was revers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B. tabaci MED populations from tomato greenhouses in some areas where their genetic structure was reversed between two years 2016 and 2017. As a result, the genetic structure of B. tabaci MED populations was found to be close between populations of the nursery and the greenhouses where tomato seedlings were supplied from that nursery, even if greenhouses were located far away each oth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causes for occurrence of abrupt reverse of genetic structures of B. tabaci MED populations observed in some areas throughout the country.
        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the known result of the expected busy period for the triadic Med (N, T, D) operating policies applied to a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its upper and lower bounds are derived to approximate its corresponding actual values. Both bounds are represented in terms of the expected busy periods for the dyadic Min (N, T), Min (N, D) and Min (T, D) or Max (N, T), Max (N, D) and Max (T, D) with the simple N, T and D operating policies without using any other types of triadic operating policies such as Min (N, T, D) and Max (N, T, D) policies. All three input variables N, T and D are equally contributed to construct such bounds for estimation of the expected busy period.
        4,000원
        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러시아인의 주식이자 농업의 근간은 축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낙농업은 구소련 해체 후 사유화 과정에서 턱없이 부족한 기계와 자재 등 자본재 결여로 사양길에 접어드는 듯했다. 지속적인 구조조정을 거쳐 이제는 제법 규모화 된 농장들이 생겨나고 가공시설의 현대화로 생산량이 부쩍 늘었다. 그러나 러시아는 새로운 시장 진출에 대한 높은 무역장벽, 각주별 생산농가 지원 수준의 불균형, 새로운 기술도입 등에 대한 문제로 러시아가 해마다 정하는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하고있다. 그 의미는 아직도 러시아가 축산에 대한 높은 생산성과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러시아는 미국의 쇠고기, 돼지고기 수출에 있어서 가장 뜨거운 시장 중에 하나이다. 2011년 미국의 러시아 수출은 규모로 볼 때 71.2(백만)파운드 금액으로는 1억4천만 달러로 재작년에 비해 83% 증가 했다. 2012년에 러시아는 WTO 회원국으로서 농축산물에 대한 더 많은 교류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그동안 빗장을 닫아 두었던 무역장벽을 스스로 허물면서 자본재 및 금융시장의 글로벌 전략을 택함으로 농축산 분야에 위기인가 기회인가는 러시아의 자구적인 노력에 달려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다.
        4,300원
        7.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측정 시험에서 피험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정확한 시험결과를 통해 향후 자외선 조사시험의 기초 데이터 확보 및 연구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피부유형 기준표에 따라 피험자의 피부유형 Ⅰ, Ⅱ, Ⅲ 형에 해당되는 피험자 3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색차계를이용하여 피부색을 측정한 뒤 ITA (Individual Typology Angle) 값을 계산하고 그 값이 28 이상인 사람을대상으로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자외선을 60 s 간 조사한 후 24 h 뒤 피험자의 홍반 상태를 판정하였다.전면에 홍반이 나타난 부위에 조사한 UVB의 광량 중 최소량을 최소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 MED)으로 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피부 유형이높아질수록 MED 값이 증가하여 피부색이 어두워질수록 MED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MED로 여성이 남성보다 어두운 피부유형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 MED는 피부타입별 모든 연령대에서 연관성이 없었으나 이 같은 결과를 단정 짓기에는 성별, 연령대별 피험자 수가 적어 통계적유의성을 뒷받침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피부유형별 MED 측정값은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기 전 MED 값을 예상하여 자외선차단제의 효능 평가 시 비교, 판독을 할 수 있는 기준이 되므로임상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